• Title/Summary/Keyword: 보행시설(계단)

Search Result 18,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Estimating Level-of-Service for Pedestrian Facilities (보행자 시설 서비스 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 김정현;오영태;손영태;박우신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1
    • /
    • pp.149-156
    • /
    • 2002
  • 본 연구는 보행자 시설 중 계단과 대기공간에 대해 공학적으로 합리적인 분석방법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안전하고 편리한 보행시설의 제공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계단과 대기공간에 대한 외국의 조사방법과 분석방법을 참조, 비교하여 서비스 수준 결정기준을 정하고 용량 값을 산출하여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적정한 설계기준을 산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계단의 경우 효과척도로 보행 교통량을 그리고 대기공간에 있어서는 1인당 점유면적을 사용하였다. 현장 조사 결과 계단에서의 보행량은 보행자가 군을 형성했을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최대 보행량에 차이가 나는 것을 고려하여 보행자 군의 형성 여부에 따라 서비스 수준의 기준을 다르게 제시하였으며, 대기공간의 경우에는 1인당 점유면적을 한국인의 평균체형을 기준으로 하여 서비스 수준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계단과 대기공간에 있어서 이러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산출된 결과는 외국의 경우와 다른 값을 나타내는데, 계단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유효계단 폭에 따라 최대 보행 교통량의 타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대기공간의 경우에는 한사람이 점유 할 수 있는 용량상태에서의 공간이 0.2$m^2$/인으로 외국의 경우보다 적게 나타난다.

A Study on the Design Criteria of Pedestrian Facility (Stairs) by Motion Analysis of Walking Parameters in the Elderly (고령자 보행변수 실측을 통한 보행시설물 설계기준 정립 1: 고령자 보행특성을 고려한 계단 챌면 높이 연구)

  • ROH, Chang-Gyun;PARK, Bum 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5 no.5
    • /
    • pp.396-408
    • /
    • 2017
  • In Korea, the number of elderly has been increasing rapidly. So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economic activity and the trip frequency of the elderly will increase. On the other hand, elderly related accidents such as falls during walking are steadily increasing and the satisfaction about pedestrian environment of elderly is very low. In this paper, we found one of the reasons for these dissatisfaction in pedestrian facility, which is not considering the walking ability (about 75% of non-elderly person) of the elderly. So, we analyze the kinematic walking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ith the motion analysis system, when the elderly use stairs. As a result of analysis of various walking variables, the current standard for stairway height in Korean law (18cm) requires excessive force to elderly so it was difficult for elderly to keep the balance of the body in ascending and descending walk of stair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tair design criteria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of walking parameters reflecting the gait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is change is not a big for non-elderly person, but it can promote more socioeconomic activities for the elderly.

A Study on Users' Evaluation for the Trail Facilities in Gayasan National Park, Korea (가야산국립공원 탐방로 보행시설에 대한 탐방객 평가 연구)

  • Kwon, Tae-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4 no.3
    • /
    • pp.293-30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visitor's attitudes for trail facilities in Gayasan National Park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effectiv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rail facilities.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wo trails were conducted to 227 visitors on the way back home after using the trails. The use characteristics of two trails were a littl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conditions of two trails were rated relatively high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By the evaluation of 5 types of trail facilities in Haein trail and 4 types in Baegun trail, The responses were noticeably positive about wood deck, log steps with stones and wood steps in Haein trail and about deck-type wood steps and log fences in Baegun trail from the point of three aspects; harmony with nature, resources conservation and user convenience. On the other hand it seems necessary to replace the steel steps of both trails with eco-friendly materials. So, from now on it is necessary for introducing the trail facilities in National Parks to apply the eco-friendly materials extensively and to upgrade the design aspects comprehensively of harmony with nature, resources conservation and user convenience

Comparison of Pedestrian Walking Characteristics Between Highway Crosswalk and Pedestrian Underpass (횡단보도와 지하보도간의 횡단보행특성 비교)

  • 임종훈;김동녕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5
    • /
    • pp.17-29
    • /
    • 2000
  • 본 연구는 지하횡단보도 이용시 계단에서 나타나는 보행자 특성에 관한 연구로써, 교차로에서 횡단보도와 지하보도에서 보행자의 편의성을 정량화한 것이다. 지하보도 계단에서의 보행자특성에 관한 연구, 즉 속도, 밀도와 보행자교통량에 관한 연구는 비디오촬영을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지하보도나 횡단보도 횡단시 이동 거리, 소요시간, 소요에너지는 보행자특성 분석에서 나온 결과와 직접 시설을 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하보도 계단에서 보행자 속도는 상향이동시의 평균속도는 37.7m/분(또는 0.67m/초)이고, 하향이동시의 평균속도는 46.7m/분(또는 0.77m/초)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균 이동거리는 단순횡단의 경우 지하보도는 119m이고, 횡단보도는 78m이다. 대각횡단의 경우 지하 보도는 161m이고, 횡단보도는 111m이다. 평균 소요시간은 단순횡단의 경우 지하보도는 125.6초이고, 횡단보도는 111.3초로 나타났다. 대각횡단의 경우 지하보도는 162.3초이고, 횡단보도는 178.8초로 나타났다. 평균 소요에너지는 단순횡단의 경우 지하보도는 20.2kcal이고, 횡단보도는 4.7kcal이다. 대각횡단의 경우 지하보도는 23.5kcal이고, 횡단보도는 6.6kcal이다. 단순횡단시 지하보도가 횡단보도보다 이동거리는 평균 1.5배 더 길고, 시간은 평균 1.2배 더 소요되고, 에너지는 평균 4.5배가 더 소요된다. 대각횡단시 이동거리는 평균 1.5배 더 길고, 소요시간은 비슷하고, 에너지는 평균 3.5배 더 소요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교차로나 가로구간에 지하보도만 설치되어 있는 지점에 횡단보도의 설치여부에 관한 정책결정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Study on the Enhancement of the Level of Service for the Pedestrian Queuing Area (보행자 점유공간 현행화 및 대기공간 서비스수준 산정을 위한 개선 연구)

  • Jungeun Yoon;Kyeongjin Lee;Hyoungsuk Jin;Heecheon You;Ilsoo Y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3 no.1
    • /
    • pp.1-12
    • /
    • 2024
  • Pedestrian facilities encompass pedestrian roads, stairs, and queuing areas exclusively designed for pedestrian use. The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 provides guidelines for analyzing the capacity and level of service of pedestrian faciliti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analysis methods tailored specifically for pedestrian faciliti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introduced a new standard of pedestrian space to account for changes in the Korean body ellipse. Furthermore, based on this newly defined pedestrian space, we proposed a new standard value for the level of service of queuing areas. The results of on-site survey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level of service can effectively reflect the actual walking situation.

A Study on the Evacuation Time According to the Width of Corridor, Stair and Density of Evacuee in University Education Facilities (대학교육시설(大學敎育施設)의 복도(複道).계단(階段) 폭(幅)과 보행자(步行者) 밀도(密度)가 피난시간(避難時間)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한 연구)

  • Lee, Jeong-Soo;Mun, Jae-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17 no.1
    • /
    • pp.13-20
    • /
    • 2010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verify the relationships of evacuee speed and affections to the evacuation time according to the width of corridor and stairs in university education facilitie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present conditions of university education facilities were analyzed, and the evacuation experiments were executed in relation to the width of corridor and stai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deviations of numbers of residents per stair is very high, and the number and width of stairs, corridors are only depend on the minimum guidelines of building code, not considering the residents' evacuation. (2) The width of corridor and stairs are affects on the evacuation speed and time. The rate of decreasing speed is large in stairs, and also the possibility of danger is increasing depend on the speed and density.

An Experimental Study on Change of Evacuation Critical Depth in Underground Space (실증실험기반 지하공간 침수 대피 한계수심 변화에 관한 연구)

  • Kim, Yerim;Keum, Hojun;Ko, Taekjo;Joo, Jaeseung;Jung, Do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80-80
    • /
    • 2021
  • 2020년은 장마와 태풍으로 인해 중부 및 남부지방에 폭우가 발생하여 강남역을 비롯한 지하철 역사와 지하 주차장 등 많은 지하시설이 침수되었고, 부산에서는 침수된 지하차도에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가 사망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였다. 지하에 설치된 시설들은 침수가 발생할 경우 대부분 출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거슬러 대피해야 하므로 낙상과 그로 인한 익사 등 자칫 큰 인명피해를 초래할 수 있어 특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대피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필요한 시간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게 대피 가능한 최대수심(한계수심)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한계수심을 제시한 여러 연구가 있지만 대부분 소수의 성인만을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이기 때문에 성별, 연령, 체중 등 다양한 유형의 사람을 고려한 대피방법 제시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 참가자의 유형(성별, 연령, 체중, 신장)에 따른 대피시간의 차이를 고려한 한계수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총 308명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이중 남성은 164명, 여성은 144명이었다. 참가자의 연령은 14세부터 75세까지이며, 신장은 최소 145cm에서 최대 187cm, 체중은 35kgf에서 110kgf 범위이다. 대피시간은 물이 흘러 내려오는 5.1m 길이의 계단을, 난간을 잡은 채 거슬러 올라가는 시간으로 설정하였으며, 계단 상층부의 수심이 30cm일 때와 40cm일 때(한계수심 조건), 2회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이 종료된 후, '안전하게 대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심'을 선택하도록 하여 참가자가 체감한 실험 난이도를 간접적으로 확인하고 향후 연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여성의 경우 수심 30cm와 40cm의 평균 대피시간이 4초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남성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안전하게 대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수심'에 대한 답변으로 다수가 실험의 최대 수심 조건인 40cm 이상을 선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보아, 실험의 난도가 높지 않았다고 예상할 수 있으며, 그 원인은 참가자의 안전을 고려해 실험 조건을 난간을 잡은 채 보행하도록 설정한 것이 한계수심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볼 수 있다. 유형에 따른 대피시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실험의 한계수심 조건을 높이거나, 난간을 잡지 않고 보행할 수 있도록 안전장치를 추가하는 등, 실험조건의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추가적으로 난간을 잡은 채 보행하는 것이 한계수심을 얼마나 높일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정량적인 대피가능 시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nalysis of Built and Walking Environment for Coastal Ferry Terminal using IPA -Focusing on Yeosu Coastal Ferry Terminal- (IPA를 이용한 연안여객터미널의 시설 및 보행특성 분석 -여수연안여객터미널을 중심으로-)

  • Song, Tea-Han;Kim, Hwa-You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7 no.3
    • /
    • pp.93-104
    • /
    • 2021
  • A coastal ferries, which serve as a mode between mainland and offshore islands, are frequently used by islanders and travelers visiting islands. Therefore, it is located in a place with good accessibility to the downtown so that users can use it conveniently. However, research on the built environment and walking environment of coastal ferry terminals has not been conducted to ensure that elderly islanders and general travelers can use comfortably the coastal ferry terminal. In this study, with a focus on the coastal ferry terminal space, the walking section was set as 1)the accessibility of the coastal ferry terminal, 2)the built environment for using the coastal ferry terminal, and 3)walking environment in the ferry boarding and disembarkation at the coastal ferry terminal, and 4, 5)walking environment in the ferry. An evaluation tool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walking environment for each walking section, and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users were analyzed using the IPA for the Yeosu Coastal Ferry Terminal. As a result, in the process of approaching the ferry terminal, 'convenience of using public transportation by foot' and 'convenience of using signposts guiding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ferry terminal' were investigated as concentrated areas. On the other hand, the built environment inside the ferry terminal and the walking environment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was high. Regarding the walking environment from the ferry terminal to the ferry, the 'surface walking environment of the walking path', 'convenience of walking with luggage', 'convenience of walking in the slope section', and 'convenience of walking in the ferry ramp section' showed low satisfact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facilities and walking environment of Yeosu Coastal Ferry Terminal and is expected to be used as data for comparative research with other coastal ferry terminals.

The Analysis of Movement of Old People in the Crossing-Facilities (횡단시설에서 고령자의 거동분석)

  • 정헌영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301-310
    • /
    • 1998
  • 사람들은 나이가 들어감에 EK라 건강상태와 신체적 기능이 쇠퇴한다. 그래서 대부분의 고령자들은 이동이 제한되고, 교통시스템의 이용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연구는 60세 이상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횡단보도, 육교와 같은 횡단시설의 이용에 대한 고령자들의 교통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실태조사와 설문조사를 행하여 고령자들의 횡단보도, 육교 등의 횡단시설의 이용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고령자들의 연령, 성별 건강상태, 보행능력, 계단승하강능력 등의 개인속성들 사이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자들의 횡단시설이용이 그들의 건강상태와 신체적 기능의 장애로 인해 매우 제한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어, 고령자의 신체기능 및 교통수단 이용특성을 고려한 교통시설의 정비 및 확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Level of Service in Transfer Walking Facilities (환승 보행시설의 서비스수준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Yun, Tae-Gwan;Lee, Yeong-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1
    • /
    • pp.143-156
    • /
    • 2010
  • The walking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its environment friendly and low accident rate, and transferring is also important as increasing public transportation uses. Facilities for transferring such as transfer path in Sadang station and internal stairways in Sindorim station are the object of this paper. Using preexistence methodology for Level of Service is not appropriate to transferring facilities because they are occurred only when the train arrive that station.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uses queuing theory and utilization factor. In result, we can get Level of Service which can simulate real situation of the facilities by using new methodology which introduce by this paper. Also it reveals that preexistence methodology cannot simulate real phenomenon in transferring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