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편 소식자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The Prevalence of Oral Spirochetes in Korean Adult Periodontitis (한국인 성인성 치주염 환자에서의 구강 스피로헤타의 분포)

  • Kim, Hay-Hyun;Choi, Bong-Kiu;Choi, Seong-Ho;Chai, Jung-Kiu;Kim, Chong-Kwan;Cho, Kyoo-S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28 no.4
    • /
    • pp.659-678
    • /
    • 1998
  • In the present study, oligonucleotide probes based on 16S rRNA were taken to investigate the diversity of oral spirochetes without culture method.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revealed oral spirochetes of both presently cultivable and uncultured oral spirochetes in Korean adult periodontitis patients. Subgingival plaque samples were taken from diseased sites(probing depth ${\geq}6\;mm$, experimental group, n=116) and healthy sites(probing depth${\leq}3mm$, control 1 group, n=28) in 29 patients with adult periodontitis, and from 20 periodontally healthy subjects(probing depth${\leq}3mm$, control 2 group, n=100). Following being examined under phase-contrast microscope, all samples were submitted to dot-blot hybridization after polymerase chain reacton with eubacterial primers. 5 species-specific probes(TVIN, TDEN, TMAL, TSOC, and TPEC) and 7 group-specific probes(TRE I, TRE II, TRE III, TRE IV, TRE V, TRE VI, and TRE VII) were used one by one for the identification of both cultivable and so far uncultivable oral spirochetes. All probes were labeled with digoxigenin(DIG)-ddUTP and detected by chemilumininescen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Under phase-contrast microscope, 91.37% and 14.28% of oral spirochetes were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1 groups, respectively. None of oral spirochetes were observed in control 2 group. 2. With universal probe, 98.27%, 46.42%, and 22.0% of oral spirochetes were observed in experimental, control 1, and control 2 groups, respectively. 3. With specific probe, 95.68%, 35.71%, and 19.0% of oral spirochetes were observed in experimental, control 1, and control 2 groups, respectively. 4. With species-specific probes, T. socranskii were recovered in a high percentage of sites(81.89%) examined, followed by T. maltophilum(50.0%), T. vincentii(36.20%), T. denticola(13.79%), respectively. With group- specific probes, TRE IV was recovered in a high percentage of sites(85.34%) examined, followed by TRE II(77.58%), TRE I(56.89%), TRE III(25.86%), TRE VI(5.17%), and TRE V(2.58%), respectively. 5. T. vincentii were only observed in the diseased sites, not in the healthy sites. 6. Neither T. pectinovorum nor group VII oral spirochetes were observed in any sites. The findings warrant further investgations of the recovered spirochetes to elucidate the possible associations of oral spirochetal prevalence in race and types of periodontitis, pathogenesis of T. vincentii and the possible distributional change of oral spirochetes before and after treatments.

  • PDF

Study of the Small Theater of Traditional Dancing as a Cultural Welfare (문화복지로서의 전통춤의 소극장공연 의미)

  • Bae, Na-Ra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7
    • /
    • pp.284-289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Korean traditional dancing performances in small theaters a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Korean traditional dances, as cultural welfare, are expected to be attractive to the public and our cultural heritage is expected to be inherited from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Korean tradition dancing to be supplied to the public as a Traditional Cultural Welfare Program. A qualitative approach was taken to best achieve the aims of this study.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July 10th to September 1st, 2016, using in-depth interviews. Seven Korean dance professionals with more than 15 years' experience in traditional dancing performance were enrolledin this study. The traditional dancing performance in small theaters is necessary in terms of providing concert halls to local cultural artists and high quality performances to audiences as traditional cultural welfare. The traditional dancing performance in small theaters as cultural welfare will provide a platform to enjoy various traditional cultures across all ages and all class levels of the society in auniversal dimension.

The Influence of Chinese Immigrants at Early Stage on Western Fisheries of the United States (미국 서부 초기 수산업에 미친 중국인의 경향)

  • 김수관
    •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 /
    • v.30 no.2
    • /
    • pp.91-105
    • /
    • 1999
  • 본 연구는 필자가 미국 Oregon 주의 수산업사를 조사하던 중 1940년대부터 시작된 미국으로 이민 한 중국인들이 미국 서부 수산업에 미친 영향이 거대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에 관련된 문헌을 찾아 최초 미국 서부(특히, California 주)에 이민하기 시작했던 중국 이민자들이 미국에서 수산업 활동을 시작한 배경과 그에 따른 영향 등을 살펴본 것이다. 중국인이 미국에 이민하기 시작한 배경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국내적인 요인으로서 중국에서의 경제적 빈곤과 정치적 핍박이었고, 다른 하나는 국외적인 요인으로서 금캐기가 가능하다는 소식 등 미국 생활에 대한 동경이었다. 중국인의 미국 이민사에서 독특한 점의 하나는 중국 남부지 방에 위치한 광동성 지방민들이 절대적인 비중(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가장 큰 이유는 광동성은 일찌기 외국문물이 드나드는 곳이어서 인근 광동성 지방민들은 다른 지방민보다 외국소식을 쉽게 접할 수 있었기 때 문이었다. 미국에 도착한 광동성 지방민들은 쉽게 직업을 구할수 없는 처지이 되자 그들이 익숙하게 알고 있는 바다생활에 뛰어들었고, 마침내는 미국 서부에서 진취적인 어업인이 되었다. 따라서 서부에서 최초의 상업적 어업인이 되었으며, 미국 서부에서 시작한 중국인의 수산업은 점차 다른 주로 퍼져 나갔다는 기록은 중국인이 미국 전역에서 최초의 상업적 어업인이었음을 알게 한다. 최초의 중국인 어촌은 1854년 San Francisco의 Rincon Point에 세워졌으며, 25척의 어선과 150여명의 주민이 살았다. 그들이 사용한 어구ㆍ어업은 통발, 정치망, 선망, 낚시, 연승 등이었으며, 중국풍의 어선과 어구를 직접 만들어 새우, 철갑상어, 대구, 우럭, 넙치, 게, 가재, 전복 등을 어획했다. 1888년에는 San Francisco 전역에 20개의 어촌이 형성되었고, 2천여명의 어업종사자가 있었다. 1900년부터는 점차 그 수가 줄기 시작하였다. 가장 크고 오래 지속된 어업은 새우어업은 1860년대부터 1940년 중반까지 계속되었으며, 이 어업에 의해 새우가 인근 지역의 보편적인 식품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인디언에 의해 단순한 장식품으로 사용되던 전복은 중국인에 의해 그 맛이 알려지게 되었고, 유럽이나 미국 동부로 팔려 나갔다. 상어 또한 중국인에 의해 먹기 시작하였으며, 내장에서 뺀 기름이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게를 잡기 위한 통발과 시장형성으로 San Francisco부두의 많은 부분이 차지되었다. 1880년대부터 시작된 해조류의 채취는 처음에는 인디언들에 의해 시작되었으나, 곧 중국인들에 의해 본격화되었다. 광동성 지방민들의 초속식품의 하나인 오징어를 잡기 위해 중국인들은 배를 만들어 야간에 횃불을 밝혔다. 오징어는 곧 San Francisco 주민은 물론 태평양 연안주와 미국 전역에 있는 중국식당에서 수요가 지속되었다. 중국인들은 1849년부터 연어를 상업적으로 잡기 시작하였으며, Washington주에서 시작되어 Oregon, British Columbia, Alaska로 퍼진 통조림 공장은 주로 중국인의 노동력에 의해 운영되었다. 위와 같이 중국인들이 미국 수산업 분야에서 크게 활동하자 미국인들은 그들의 수산업 활동을 제재 또는 통제하고자 일정한 납세를 명시한 각종 법률, 특히 The Chinese Exclusion Act 등을 제정하였다. 미국 서부에서 중국인의 수산업은 미국인의 법적 제재, 중국인의 다른 직업으로의 이직 등으로 1940년대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