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the Small Theater of Traditional Dancing as a Cultural Welfare

문화복지로서의 전통춤의 소극장공연 의미

  • Bae, Na-Rae (Dept. of Social Welfare, KonYang Cyber University)
  • 배나래 (건양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5.17
  • Accepted : 2017.07.07
  • Published : 2017.07.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Korean traditional dancing performances in small theaters a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Korean traditional dances, as cultural welfare, are expected to be attractive to the public and our cultural heritage is expected to be inherited from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Korean tradition dancing to be supplied to the public as a Traditional Cultural Welfare Program. A qualitative approach was taken to best achieve the aims of this study.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July 10th to September 1st, 2016, using in-depth interviews. Seven Korean dance professionals with more than 15 years' experience in traditional dancing performance were enrolledin this study. The traditional dancing performance in small theaters is necessary in terms of providing concert halls to local cultural artists and high quality performances to audiences as traditional cultural welfare. The traditional dancing performance in small theaters as cultural welfare will provide a platform to enjoy various traditional cultures across all ages and all class levels of the society in auniversal dimension.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로서 전통춤의 소극장공연에 대한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문화복지로서 전통춤이 대중들에게 친근해질 수 있도록 하여 전통을 계승하고 차후 전통문화복지프로그램으로 대중들에게 보급되기 위한 기초 연구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인 접근을 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6년 7월 10일에서 2016년 9월 1일까지이다. 연구대상은 전통춤 전공자로 15년 이상 전통춤 공연경력을 지닌 7명을 선정 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심층면담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화복지로서의 전통춤의 소극장공연은 문화유산의 알리는 장소로 소극장은 친근함을 줄 수 있으며, 관객과 공연자가 소통하며 교감함으로 전통춤의 흥미를 더 할 수 있었다. 또한 손에 잡힐듯한 공연으로 관객은 현장감을 느끼고 공연자는 관객의 반응을 몸소 체험할 수 있게 하였으며, 함께 호흡하며 만들어가는 공연으로 혼연일체의 장이 되었다. 전통춤의 소극장 공연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것은 전통춤 공연을 많이 접하고 관람할 수 있도록 작은 공연을 기획하는 것이 필요하며, 많은 비용을 들인 공연보다 살아있는 공연을 할 수 있도록 기획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관객이 공유할 수 있는 장기적 지속가능한 공연 기획, 개발, 보급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아울러 전통춤이 대중 속에서 친근한 공연으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 관객들에게 공연소식을 적극적으로 전달하며 전통캐릭터 발굴을 통해 전통춤 이미지를 익숙하게 하는 생활 속 마케팅도 필요하다. 전통춤의 소극장 공연은 지역문화예술인에게 공연장을 마련해주고 문화복지적차원에서 관객들에게는 질 높은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는 것에서 상당히 필요하다고 하겠다. 전통춤의 소극장 공연의 의미는 모든 대상들에게 문화복지를 누리게 한다는 보편적 차원에서 필요하며, 전 계층, 전 연령층이 골고루 전통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보편적인 문화서비스의 장(場)을 마련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Tae Won Kim, "Two articles on the aesthetics of a small theater dance performance-Dance phenomenon of 1986", The performing arts & film review, 91, pp. 106-111, 2015.
  2. Tae-Seon Cho, Na-Rae Bae, "A Study on Cultural Activity among the Baby-boom Generation",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2, pp. 470-475,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12.470
  3. Bo Rahm Suh, Ha Rim Jang, Taik Soo Hyun, "A Study on the Development History of Cultural Welfare Policy in Korea",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Review, 29, pp95-124, 2011.
  4. Taik Soo Hyun, "A Study on types of social workers' perception of cultural welfare", Korean Studies, 38, pp. 491-519, 2011.
  5. Hyun Sung Park, Shik Heo,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otivation Factors for Participation in Korean Traditional Arts",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vol. 16, no. 1, pp. 73-102.
  6. Mi Sook Song, Hye Soon Song, "Humanistic Approach and Basic Dance Motions for Integrated Korean Danc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Dance, vol. 32, no. 1, pp. 133-162, 2013.
  7. Duck Kyung Youn, "The current state of affairs and offering options about preservation and Transmiss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 ", Journal of Korean Dance, vol. 28, no. 2, pp. 57-76, 2010. DOI: https://doi.org/10.15726/jkd.2010.28.2.003
  8. Min-Jung Lee, "A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Meaning of Chifdren's Music Activity", Anthropology of Education, vol. 5, no. 2, pp. 55-82, 2002.
  9. Creswell, J. W., Research design: Qualitative & quantitative approaches. Thousand Oaks, CA: Sage, 1994.
  10. Patton, M. Q.,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Newbury Park, CA: Sage, 1991.
  11. Glassersfeld, E. V., Knowing without metaphysics: Aspects of the radical constructive positions.(p. 21). New York: Longman,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