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valence of Oral Spirochetes in Korean Adult Periodontitis

한국인 성인성 치주염 환자에서의 구강 스피로헤타의 분포

  • Kim, Hay-Hyun (Department of Oral biology, Dent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 Choi, Bong-Kiu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Dent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 Choi, Seong-Ho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Dent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 Chai, Jung-Kiu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Dent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 Kim, Chong-Kwan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Dent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 Cho, Kyoo-Sung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Dental College, Yonsei University)
  • 김혜현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생물학교실) ;
  • 최봉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최성호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채중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김종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 조규성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Published : 1998.12.31

Abstract

In the present study, oligonucleotide probes based on 16S rRNA were taken to investigate the diversity of oral spirochetes without culture method.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revealed oral spirochetes of both presently cultivable and uncultured oral spirochetes in Korean adult periodontitis patients. Subgingival plaque samples were taken from diseased sites(probing depth ${\geq}6\;mm$, experimental group, n=116) and healthy sites(probing depth${\leq}3mm$, control 1 group, n=28) in 29 patients with adult periodontitis, and from 20 periodontally healthy subjects(probing depth${\leq}3mm$, control 2 group, n=100). Following being examined under phase-contrast microscope, all samples were submitted to dot-blot hybridization after polymerase chain reacton with eubacterial primers. 5 species-specific probes(TVIN, TDEN, TMAL, TSOC, and TPEC) and 7 group-specific probes(TRE I, TRE II, TRE III, TRE IV, TRE V, TRE VI, and TRE VII) were used one by one for the identification of both cultivable and so far uncultivable oral spirochetes. All probes were labeled with digoxigenin(DIG)-ddUTP and detected by chemilumininescenc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Under phase-contrast microscope, 91.37% and 14.28% of oral spirochetes were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1 groups, respectively. None of oral spirochetes were observed in control 2 group. 2. With universal probe, 98.27%, 46.42%, and 22.0% of oral spirochetes were observed in experimental, control 1, and control 2 groups, respectively. 3. With specific probe, 95.68%, 35.71%, and 19.0% of oral spirochetes were observed in experimental, control 1, and control 2 groups, respectively. 4. With species-specific probes, T. socranskii were recovered in a high percentage of sites(81.89%) examined, followed by T. maltophilum(50.0%), T. vincentii(36.20%), T. denticola(13.79%), respectively. With group- specific probes, TRE IV was recovered in a high percentage of sites(85.34%) examined, followed by TRE II(77.58%), TRE I(56.89%), TRE III(25.86%), TRE VI(5.17%), and TRE V(2.58%), respectively. 5. T. vincentii were only observed in the diseased sites, not in the healthy sites. 6. Neither T. pectinovorum nor group VII oral spirochetes were observed in any sites. The findings warrant further investgations of the recovered spirochetes to elucidate the possible associations of oral spirochetal prevalence in race and types of periodontitis, pathogenesis of T. vincentii and the possible distributional change of oral spirochetes before and after treatments.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성인성 치주염의 관련세균 중에서 구강 스피로헤타의 분포를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하지 않고도 구강 스피로헤타를 분리할 수 있는 16S rRNA에 의거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소식자를 사용하였다. 성인성 치주염 환자 29명을 대상으로 한 사람당 6mm 이상의 탐침 깊이를 보이는 부위 4곳(실험군)과 3mm 이하의 탐침 깊이를 보이는 건강한 부위 1곳(대조 1군), 건강한 치주조직을 가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한 사람당 5부위로부터 치은연하 치태를 채취한 뒤(대조 2군) 중합효소연쇄반응과 점상블롯보합결합법을 시행하였다. 소식자로는 구강 스피로헤타의보편 소식자 및 현재 배양이 되는 구강 스피로헤타중에서 T. denticola, T. pectinovorum, T. socranskii, T. vincentii, T. maltophilum에 대한 종 특이 소식자 TDEN, TPEC, TSOC, TVIN, TMAL과 현재 배양이 되지않은 구강스피로헤타중에서 I-VII군에 대한 군 특이 소식자 TRE I-TRE VII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위상차 현미경으로 본 결과는 실험군, 대조 1군에서 각기 91.37%, 14.28%의 구강스피로헤타가 관찰되었으며 대조 2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2. 보편 소식자를 사용한 경우는 실험군, 대조 1군, 대조 2군에서 각기 98.27%, 46.42%, 22.0%의 구강 스피로헤타가 관찰되었다. 3. 특이 소식자를 사용한 경우는 실험군, 대조 1군, 대조 2군에서 각기 95.68%, 35.71%, 19.0%의 구강 스피로헤타가 관찰되었다. 4. 종 특이 소식자를 사용한 경우는 T. socranskii가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81.89%), 그다음이 T. maltophilum(50.0%), T. vincentii(36.20%), T. denticola(13.79%)순이었고, 군 특이 소식자를 사용한 경우는 TREIV(85.34%), TRE II(77.58%), TREI(56.89%), TRE III(25.86%), TREVI(5.17%), TRE V(2.58%) 순이었다. 5. T. vincentii는 치주염에 이환된 부위에서만 관찰되었고, 건강한 부위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6. T. pectinovorum과 VII군에 속하는 구강스피로헤타는 어느 표본에서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16S rRNA에 의거한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소식자로 구강 스피로헤타의 성인성 치주염과의 연관성과 분리되지 않은 구강 스피로헤타를 확인하였으며, 인종 및 치주염의 형태에 따른 구강 스피로헤타의 분포 차이, T. vincentii의 병원성, 치료 전후의 구강 스피로헤타의 분포 변화등의 보다 세분화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