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편적 정보교육

Search Result 12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Case Study on Necessity of Universal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o Nurture Digital Talents (디지털인재 양성을 위한 초등학교의 보편적 정보교육 도입의 필요성 연구)

  • Choi, Moonseok;Shin, Seungk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6 no.3
    • /
    • pp.209-218
    • /
    • 2022
  •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discusses ways to expand computer science education to solve the digital divide.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also aware of the need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with 77.3% of those who responded positively to the expansion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The participating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has conducted computer science education for more than an hour per a week since the 1980s. As a result of a survey, the proportion of students taking private education was 16.2%. It shows 50.3% lower than 66.5% of other surveys conducted in 2021, which means the effectiveness in reducing private education when continuous computer science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the school system. In the case study analysis,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 instructional content varies by instructors due to the absence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parent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but did not know the learning content and mentioned the necessity of the national computer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It means that computer science education should provide a universal educational opportunity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elementary schools for nurturing future talents.

An investigation to E-Learning accessibility (이러닝 콘텐츠 접근성 현장)

  • Ahn, Mi-Lee;Kim, Sung-Nam;Hwang, Yun-Ja;Boo, Hya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269-270
    • /
    • 2009
  • 이러닝 학습은 다양한 목적을 지닌 많은 대상들에게 눈부실만한 기여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닝의 특성을 가장 절실히 필요로 하는 장애인과 노인 등의 소외된 사람들에게 혜택을 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안타까운 일이다. 이러한 현실에 대하여, 그동안 정보통신기술분야에서도 소외된 대상들을 고려한 접근성 관련 제도적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는 점을 상기한다면, 자성만이 아니라 그 이유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닝 기업 CEO의 인식을 조사하여 웹 접근성과 관련한 제도적인 여건 속에서도 학습 환경에서는 여전히 접근성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를 찾아보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위의 목적을 위하여 현업에 종사하는 운영자와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보편적 교수 설계을 위한 이러닝의 접근성 관련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이러닝 접근성에 대한 CEO의 인식은 매우 저조하며, 중요성에 대해서는 공감하나 비용적인 부담으로 인해 보편적 이러닝 콘텐츠 개발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닝 기업 CEO의 낮은 인식은 곧 개발자와 교수설계자들에게 접근성 기술 적용의 필요성을 강조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해서는 우선 정부와 관련기관의 적극적인 홍보와 제도적 장치가 필수적이며, 현재 제공되는 이러닝의 접근성 개선을 위한 연구와 지원방안이 필요하며, 구체적으로는 보편적 학습설계와 접근성에 대한 교육과 확산을 위한 대안이 필요하다.

Developing the Teaching material about LOGO Programming for Improving the Creativity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생의 창의성 신장을 위한 로고프로그래밍 교육 자료 개발)

  • Moon, Hyun-Kook;Kim, Jong-Hoo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289-294
    • /
    • 2010
  • 지식정보화 사회에서는 보편적인 지식의 습득과 활용을 넘어 기존의 정보를 창의적으로 재활용하는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반면 현재의 컴퓨터 교육은 소프트웨어의 활용교육에 그치고 있어 다양하고 창의적인 사고를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7차 교유과정에서 교육목표로 다루고 있는 창의성이라는 주제와 학교현장에서 아동들에게 쉽게 접목시킬 수 있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로고를 선택, 분석하여 적용 가능한 교육 자료로 개발하여 보았다.

  • PD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on Education (교육정보화를 위한 정보통신 표준기술)

  • Yi, J.H.;Huh, M.Y.;Kim, Y.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4 no.4 s.58
    • /
    • pp.93-103
    • /
    • 1999
  • 21세기 지식정보사회를 준비하는 일원으로 국내 교육분야에서는 교육정보화 촉진 시행계획에 따라 모든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열린교육 및 평생교육 사회구현에 목표를 두고 교육정보화를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정보화를 위해 현재 추진중인 정책, 지원사업, 기술개발 등 전반적인 현황을 진단하고, 문제점을 분석한다. 그리고, 향후 보편적인 교육방법으로 자리잡을 사이버 교육 환경의 특징과 활용되는 정보통신 표준기술을 살펴보며, 관련 국제 표준화 활동을 소개한다.

Using digital teaching media for ensuring the accessibility of diverse learners (다양한 학습자의 접근성 보장을 위한 디지털화 교수매체 활용 : 보편적 학습설계(UDL)의 적용)

  • Kim, Hee-Jin;Ahn, Mi-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588-1591
    • /
    • 2011
  • 통합교육의 실시와 다문화 가정의 자녀 증가 등으로 학교 교실의 구성원들이 다양화 되고 있다. 그러나 제한적인 매체와 전통적인 교육과정, 교수방법 및 평가 등의 사용으로 학습자들의 다양성을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화 교수매체의 활용함으로써 다양한 학습자들의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해 주고 나아가 교육현장에서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를 적용하여 학습자의 다양성을 보장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교육현장에 UDL 적용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그룹 토론을 통해, UDL의 적용가능성과 적용함에 있어서 어려움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정해진 교육과정과 교재, 다양한 학습자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부족, 학생들 간의 학습 차이, 학급당 많은 학생수, 교사의 많은 업무량 등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UDL 적용이 어렵다고 하였다. 해결방안으로 교수설계에 UDL의 적용과 다양한 디지털화 교수매체의 활용으로 접근성 보장을 제안하였다. 교육현장에서의 UDL 확대와 다양한 학습자들의 접근성이 보장된 교육을 할 수 있도록 교사들이 수업에서의 UDL 적용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Provision of Universal Literac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ra of Fake News (가짜뉴스의 시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보편적 리터러시의 구축 및 제공에 대한 실험적 연구)

  • Lee, Jeong-M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5 no.1
    • /
    • pp.85-106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fake news focusing on misinformation/false information and is to examine the ways in which our society can respond to the distortion of social reality and damage to democracy caused by information distortion such as fake news. To do this, the concept of fake news was examined based on the level of facticity and intention to device, and our social environment in which fake news was created and spread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datafication. In this environment, the library community, which plays a pivotal role in human access to and use of information, argued that it should strive to establish and provide universal literacy education in order to realiz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of the UN 2030 agenda. The core of universal literacy education is to understand the society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data communication typ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tafication and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society. For this reason, it was concluded that universal literacy should be implemented flexib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datafiation and users of each society.

Study on the Direction of Universal Big Data and Big Data Education-Based on the Survey of Big Data Experts (보편적 빅데이터와 빅데이터 교육의 방향성 연구 - 빅데이터 전문가의 인식 조사를 기반으로)

  • Park, Youn-Soo;Lee, Su-J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4 no.2
    • /
    • pp.201-214
    • /
    • 2020
  • Big data is gradually expanding in diverse fields, with changing the data-related legislation. Moreover it would be interest in big data education. However, it requires a high level of knowledge and skills in order to utilize Big Data and it takes a long time for education spends a lot of money for training. We study that in order to define Universal Big Data used to the industrial field in a wide range. As a result, we make the paradigm for Big Data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We survey to the professional the Big Data definition and the Big Data perception. According to the survey, the Big Data related-professional recognize that is a wider definition than Computer Science Big Data is. Also they recognize that the Big Data Processing dose not be required Big Data Processing Frameworks or High Performance Computers. This means that in order to educate Big Data,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 methods of Universal Big Data rather than computer science (Engineering) knowledge and skills. Based on the our research, we propose the Universal Big Data education on the new paradigm.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DL to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Era of Multiculturalism (다문화시대 기독교통일교육에 대한 보편적학습설계(UDL) 적용 제고)

  • Kim, Seongkyeol;Ahn, Milee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 /
    • v.63
    • /
    • pp.407-433
    • /
    • 2020
  • South Korea is currently facing multiculturalism, appropriately demanding broadened view and access to the study of Unification, especially in terms of who should be the subject. In congruence, recent Unification Education studies are proposing values stressed in Multiculturalism to function as the core ground, upon which other traits and contents are to follow. Similarly, Christian Education field is also reflecting the recent trend, welcoming 'everyone' to participate in preparing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However, most studies consist of suggesting and introducing directions for new approaches, not so much of dealing with systems or guidelines for practical practices. Information provided in fragments can rather cause confusion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and lack of specific guidelines can soon lead to poor performances. In this study,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is introduced as a methodology to be examined, whether it could effectively embody and systemize the newly emerged Multicultural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generalize the concept of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introduced in the multicultural era and 2) examine whether UDL is suitable for uniformizing and spreading the Multicultural approach of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highly focused on examining whether UDL is a suitable methodology to achieve the goal of Multicultural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while uniformizing the diversities within multicultural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a thorough research, it was proved that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Christian unification education are similar to those of UDL in that both focus on accepting heterogeneity as something "different" rather than something "wrong." Also, it was foun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and guidelines of UDL can effectively unify while respecting the diverse methodologies used in Multicultural Christian Education.

A Study on the Programming Education Using Raspberry Pi (라즈베리 파이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

  • Park, YoungSun;An, SangJi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451-453
    • /
    • 2014
  • 프로그래밍 교육은 문제해결력, 논리적 사고력과 같은 고등사고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지만,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려운 구조와 문법은 프로그래밍 학습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언어 습득 자체의 부담을 줄인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나 로봇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로봇 활용 교육은 높은 비용과 관리의 어려움,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는 실제 세계와 연결된 실제적인 문제해결 측면에서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보다 보편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면서 여러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다양한 도구의 도입이 요구된다고 본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도구로써 라즈베리 파이를 제안하며,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a education resource service system based on functional broker (기능형 중재자 기반의 교육자원 서비스 시스템의 구현)

  • Choi, Byeong-Seok;Oh, Ji-Hoon;Han, Sung-Koo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6 no.4
    • /
    • pp.147-155
    • /
    • 2003
  • Most of web-based education systems are only to supply education information. As the web becomes the common basis to support the effective education, it is used for not only applying education information but also developing to the dimension to provide various services. The education service models prospering to the newly diverse environment are necessary. In this paper, a education resource service system based on functional broker is implemented to overcome the weakness of the traditional Web-based instruc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web-based education service system such as functional broker can manage the varied education resources efficiently and so contribute to realize the life-long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