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존환경

검색결과 1,902건 처리시간 0.024초

현풍석빙고의 미기후 분석을 통한 손상요인 해석과 보존환경 평가 (Damage Factor Interpretation and Conservational Environment Assessment by Microclimatic Analysis of Hyeonpung Seokbinggo (Ice-storing Stone Warehouse), Korea)

  • 김지영;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85-395
    • /
    • 2010
  • 이 연구는 현풍석빙고의 미기후 특성을 분석하여 손상에 영향을 미친 기후인자를 해석하고 보존환경을 평가한 것이다. 석빙고의 내부 구성부재에는 균열, 이격, 탈락, 박락, 백화, 갈색 변색, 흑색 변색 및 생물에 의한 변색이 발생하였으며, 이 중 생물에 의한 변색이 가장 높은 훼손율(24%)을 보였다. 석빙고 내부의 환경은 외부의 기상 변화에 따라 변동하나 변동폭과 일교차가 작고 일정한 온습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석빙고 전면의 산사면과 폐쇄된 입구환경이 외기를 차단하여 온습도의 변화를 최소화하였기 때문이다. 석빙고의 단열환경은 수분의 응축과 동결 현상을 방지하여 물리적 손상도를 저감하고 장빙기능을 극대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99% 이상의 높은 상대습도는 미생물의 생장을 활성화시켜 생물학적인 손상도를 높인 것으로 해석된다.

제품개발에 있어서의 환경 보존적 디자인 요인에 관한 연구-인식 전환 적 측면을 중심으로- (Green Design Factors on Product Development)

  • 조영식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
    • /
    • pp.41-48
    • /
    • 1997
  • 환경보존의 문제가, 재편되어져 가는 가치구조에 있어 매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은 우리 주위에서 쉽게 목격되어지고 있다. 디자인 역시 이런 환경 보존의 요인이 디자인의 가치구조 재편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환경 보존의 문제가 갖는 가장 중요한 특성은 그 자체가 매우 총체적인 성격을 띈다는 것이다. 이는 그 문제의 접근과 그 해결방안이 총체적이어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역시 환경 보존을 위한 디자인의 문제 접근과 그 해결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디자인이라는 분야의 전문성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환경 보존의 문제에 있어 디자인 일반에는 재활용이나 포장 등과 같은 지엽적인 부분에서만 그 해결의 실마리를 찾으려 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는 문제 전체를 왜곡시키거나 문제를 더욱더 확산시킬 수 있는 잠재성이 내재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 해결방안을 총체적으로 도출시키기 위한 인식 적 전환 요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방법적 측면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디자인 내부의 자기반성이든, 디자인 외부의 요구이든 이젠 환경 보존의 문제 해결을 외면한다면 사회적 공헌을 위한 디자인의 진정한 고유 목적이 희석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 PDF

비누로 제작된 현대미술 작품의 보존과 적정 온습도 환경 연구 (Conservation of Contemporary Artworks Made with Soap and Research on the Appropriate Hygrothermal Environment)

  • 신정아;한예빈;차순민;김영목;권희홍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64-476
    • /
    • 2021
  • 현대미술은 작가의 개성에 따라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한 재료의 특성과 작가의 표현 의도를 파악하여 보존처리를 실시해야 한다. 본 연구는 비누로 제작된 작품의 열화원인을 분석하고 안정적인 전시 및 보관을 위한 온습도 환경 실험을 실시하여, 작가의 제작의도 변화에 따른 작품의 형태를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비누작품의 용출물은 분석결과 글리세린으로 확인되었으며, 글리세린이 습도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온습도 환경실험을 통해 상대습도 60~65%가 안정적인 환경임을 확인하였다. 각 작품에 적절한 보존처리를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하였으며, 실험결과와 연구 자료에 따라 비누 적정 온습도 환경을 온도 20±2℃, 상대습도 60±5%로 제안하였다.

한국 흙벽화 채색층 고착제의 보존환경에 따른 안정성 연구 (A Study on Stability according to the Conservation Environment for Fixative of Korean Mural Painting Layers)

  • 진병혁;위광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3호
    • /
    • pp.150-171
    • /
    • 2013
  • 흙벽화 보존처리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채색층에 균열이 발생되어 결속력을 잃었을 때, 또는 안료의 분말화가 일어났을 때, 고착제를 주입하여 손실위험에 처해진 벽화를 보존하는 것이다. 그러나 흙벽화 채색층에 사용되는 고착제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흙벽체 시료를 제작하여 총 4종의 합분, 주사, 석록, 황토안료를 채색하고 Paraloid $B-72^{(R)}$, Caparol-$binder^{(R)}$, 우피아교(牛皮阿膠), Hydoxypropyl $cellulose^{(R)}$ 총 4종의 고착제를 도포하여 보존처리 후 발생할 수 있는 환경변화 요인인 온도, 습도, 자외선을 인공적으로 부여하였다. 안료별로 도포된 고착제의 보존환경에 따른 물성변화는 색안정성, 접촉각, 광택도, 접착력, 표면관찰을 통해 다각적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 및 고온다습한 환경은 합분을 제외한 고착제가 도포된 모든 채색층에서 명도와 채도의 변화가 일어나는 등 색안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고착제의 노화가속에 영향을 주어 결국 분해시키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그중 전통재료인 아교는 함께 실험한 합성수지들과 비교하여 볼 때, 채색층 표면에 대한 색안정성과 영향력(보존성) 유지, 친수성 면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접착력 부분에서는 모든 채색층에서 우수한 특성이 확인되었기에, 흙벽화 채색층 고착처리 시 안정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국가지정 지류문화재의 보존현황 파악 및 조사방안 연구 - 국가지정 동산문화재 정기조사를 중심으로 - (Research of Monitoring of Conservation Condition and Investigation Method of National Designated Heritage - Focusing on Regular Monitoring of National Designated Movable Cultural Heritage -)

  • 정선화;박상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4호
    • /
    • pp.196-217
    • /
    • 2016
  • 본 연구는 국가지정 동산문화재에 대하여 국가가 직접 수행하는 정기조사를 중심으로 국가지정 지류문화재의 보존상태 및 보존환경을 파악하고 보존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은 2014~2015년도에 문화재보존과학센터와 미술문화재연구실이 공동조사한 내용으로 제한하였다. 지류문화재는 재질상 온 습도, 빛 등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기 쉽고 물리적 힘에 의해서도 쉽게 손상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보존환경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시행되는 동산문화재 정기조사를 통하여 오염, 찢어짐, 꺾임, 마찰, 결손 등 보존처리가 시급한 문화재이다. 따라서 처리시기를 놓침으로써 돌이킬 수 없는 상황에 이르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하며 처리 후 관리상황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정기조사를 통해 문제점이 노출된 국가지정 문화재들을 중심으로 안료, 재질, 구조분석 등 정밀조사 추진, 문화유산 보존관리 데이터 축적을 정기조사와 병행하여 별도 추진할 필요가 있음이 판단되었다. 이러한 국가지정 문화재의 상세한 데이터들은 향후 국가지정 지류문화재의 보다 합리적인 보존관리 체계 구축의 기반이 될 것이며, 정기조사 방법의 지속적인 개선 역시 가능하게 할 것이다.

전자기록물의 장기보존을 위한 방안 연구 :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methodology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 focus on the preservation concept)

  • 남성운;윤대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01-119
    • /
    • 2001
  • 전자기록물의 정의와 구성요소를 설명하고 보존 개념을 재정립하였다. 전자적인 환경에서 기록물을 장기보존을 위한 접근방법과 요구조건을 논의하였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보존은 신뢰성 있는 진본 기록물 자체에 대한 보존과 접근가능성을 보장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전자기록물을 장기보존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환경 변화에 따른 지속적인 변환과 기록물을 생산한 소프트웨어에 독립적인 표준포맷 전략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략을 통하여 전자기록물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처리절차와 관련 정보를 메타테이터화 하여야 한다. 전자기록물 보존시스템은 크게 등록처리, 보존처리, 접근처리와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는 기록물관리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보존매체의 선택 기준과 안전 및 재해복구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생태·환경관련 포털사이트를 통한 환경공간정보구축 (Methodological study of Spatial Map Construction for Environment)

  • 한승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7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3-244
    • /
    • 2017
  • 도시계획과 환경정책의 경우 장기적인 고려가 필요하므로 도시기본계획과 환경보존계획을 주기적으로 수립해야만 한다. 특히 환경보존계획의 경우 환경속성정보의 분석은 물론 환경공간분석을 통해 대상영역에 대한 환경관력 공간분석이 필요하다. 그러나 환경관련자료가 분산되어 있어 데이터베이스구축이 불편하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공간분석자료구축을 위한 데이터 소스를 정리하고 효율적은 구축방법과 함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