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존조치

Search Result 8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Naming and Object Specifying of Dangsan Forests and Bibo Forest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천연기념물 지정 당산숲·비보숲의 명칭 부여 및 지정 물량 실태 고찰)

  • Choi, Jai Ung;Kim, Dong Yeob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3 no.1
    • /
    • pp.28-55
    • /
    • 2010
  • Currently, the natural monument system of Korea for naming and designation of natural monuments is based on "Chosun Natural Monument Conservation Acts for Treasure, Ancient Landmark, and Natural Beauty" enacted in 1934 during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The framework of natural monument system is still in effect, which is pointed out as a problem. The Dangsan forests and Bibo forests are Korean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representing countryside of Korea.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ollows and relies on the 'Limsu of Chosun' (1938), a report written by a Japanese, for naming and classification of natural monuments. A Dangsan forest at Yesong-ri was named "Yesong-ri evergreen forest" in 1938. They followed the naming system of "evergeen forest" until toda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issues and problems of 'Limsu of Chosun' and natural monument naming system begun during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suggest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situation where naming natural monument accordingly without discretion. Eighteen dangsan forests bibo forests were selected for examination and analysis. The names of the dangsan forests bibo forests were evaluated to find out whether various aspects of the forests are reflected in the name. The study suggests that many forests and old trees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 should be named as "~Dangsan forest", "~Dangsan forest Bibo forest", or "~Dangsan tree" with consistency accordingly. The new names will bring a momentum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natural monument naming system continued sinc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also enhance the value of Dangsan forests and Bibo forests as Korean traditional and cultural landscapes.

The Meaning and Tasks of Guidelines for Utilization of Healthcare Data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의 의미와 과제)

  • Shin, Tae-Seop
    •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 /
    • v.22 no.3
    • /
    • pp.31-55
    • /
    • 2021
  •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one of the revised 3 Data Laws, established a special cases concerning pseudonymous data. As a result, a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 may process pseudonymized information without the consent of data subjects for statistical purposes, scientific research purposes, and archiving purposes in the public interest, etc. In addition, as a follow-up to the revis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 'Guidelines for Utilization of Healthcare Data' was prepared, which deals with the pseudonymization in the medical sector. The guideline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practical criteria for accomplices by defining specific interpretations and exampl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healthcare data. However, the guidelines need to clarify the purpose of using pseudonymous data and strengthen the fairness of the composition of the data deliberation committee. The guidelines also require establishing a healthcare data compensation framework and strengthening the protection of rights for vulnerable subjects. In addition, the guidelines need to be adjusted for inconsistency with the Bioethics and Safety Act and the Medical Service Ac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safe environment for the utilization of healthcare data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related laws and systems.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Case of Technical Standard for Electronic Record Information Package (전자문서 정보패키지 구축 사례 연구 - '공인전자문서보관소 전자문서 정보패키지 기술규격 개발 연구'를 중심으로-)

  • Kim, Sung-Kyum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16
    • /
    • pp.97-146
    • /
    • 2007
  • Those days when people used paper to make up and manage all kinds of documents in the process of their jobs are gone now. Today electronic types of documents have replaced paper. Unlike paper documents, electronic ones contribute to the maximum job efficiency with their convenience in production and storage. But they too have some disadvantages; it's difficult to distinguish originals and copies like paper documents; it's not easy to examine if there is a change or damage to the documents; they are also prone to alteration and damage by the external influences in the electronic environment; and electronic documents require enormous amounts of workforce and costs for immediate measures to be taken according to the changes to the S/W and H/W environment. Despite all those weaknesses, however, electronic documents increasingly account for more percentage in the current job environment thanks to their job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production costs. Both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have made efforts to come up with plans to maximize their advantages and minimize their risks at the same time. One of the methods is the Authorized Retention Center which is described in the study. There are a couple of prerequisites for its smooth operation; they should guarantee the legal validity of electronic documents in the administrative aspects and first secure the reliability and authenticity of electronic documents in the technological aspects. Responding to those needs,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and the Korea Institute for Electronic Commerce, which were the two main bodies to drive the Authorized Retention Center project, revised the Electronic Commerce Act and supplemented the provisions to guarantee the legal validity of electronic documents in 2005 and conducted researches on the ways to preserve electronic documents for a long term and secure their reliability, which had been demanded by the users of the center, in 2006. In an attempt to fulfill those goals of the Authorized Retention Center, this study researched technical standard for electronic record information package of the center and applied the ISO 14721 information package model that's the standard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data. It also suggested a process to produce and manage information package so that there would be the SIP, AIP and DIP metadata features for the production,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by users points of electronic documents and they could be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center's policies. Based on the previous study, the study introduced the flow charts among the production and progress process, application methods and packages of technical standard for electronic record information package at the center and suggested some issues that should be consistently researched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A study on improvement of regular survey system of state-designated movable cultural heritage (국가지정 동산문화재의 정기조사제도 개선방안 연구)

  • Lee, Jong-Suk;Kim, Chang-Gyoo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1 no.4
    • /
    • pp.146-169
    • /
    • 2018
  • Artificial or natural artifacts, which have historical, artistic, academic or scenic value as national, ethnic or global assets, are designated as "cultural heritages" under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Cultural heritages can be divided into 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monument and folklore heritages.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object of designation, a cultural heritage can be designated either as a city or a provincial cultural heritage or a cultural heritage material, by a city mayor or provincial governor, and as a state-designated heritage by the administrator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The regular survey is a part of the policy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state-designated heritages, which requires that surveys be undertaken every three to five years for the preservation, repair and maintenance of cultural heritages. It was stipulated in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 in 2006, and since then has substantially contributed to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state-designated heritages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damage to cultural heritages and the application of appropriate treatment measures. However, some parts of the guidelines on the regular survey, legislated in 2006, occasionally give rise to confusion in managing the regular survey system of state-designated movable cultural heritages, and need to be modified to facilitate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the regular survey system.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regular survey system of state-designated movable cultural heritages, and proposes plans for improving the way of specifying each department which leads, manages and executes the regular survey, the process of entrusting the survey, and its guidelines and forms. I hope that these plans concerning the regular survey of state-designated movable cultural heritages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and management of the system.

Geophysical Exploration of Songsalli Ancient Tombs and Analysis of King Muryeong's Tomb Structure, Gongju (공주 송산리 고분군(公州 宋山里 古墳群)에서의 물리탐사와 무령왕릉(武寧王陵)의 구조분석)

  • Oh, Hyun-dok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6 no.4
    • /
    • pp.4-23
    • /
    • 2013
  • Songsalli Ancient Tombs of Gongju consists of seven tombs. King Muryeong's tomb, the seventh tomb, is a brick chamber tomb discovered during the drainage works for the fifth and the sixth tombs in 1971. The excavation at the time focused on topographic surveys of the tomb entrance and the inside of the burial chamber as well as collection of the remains. The burial mount survey confirmed the status of some stone slab remaining and lime-mixed soil layers, but the survey did not examine the exterior structure of the whole tomb as the mounds were removed even more deeply. The excavation revealed damages to the bricks and mural damages due to moisture and fungus in the sixth and the seventh tombs. Between 1996 and 1997, Gongju National University conducted a comprehensive detailed survey of Songsalli Ancient Tombs including a geophysical survey, with an aim to identify the root causes of such degradation. Based on the results, repair took place in 1999 and the fifth, sixth and seventh tombs were placed under permanent conservation to conserve the cultural assets. General public is currently denied ac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three-dimensional resistivity and GPR surveys on the ground surface of the fifth, sixth and seventh tombs of Songsalli Ancient Tombs in order to understand the underground status after repair. The study also aimed to understand the thickness of all the tomb walls and exterior structure based on GPR inside King Muryeong's tomb. The exploration on the ground surface found that the three tombs and soil adjacent to the tombs had resistivity as low as 5 to $90{\Omega}m$, which confirmed that the soil water content was still as high as that prior to the repair work. Additionally, GPR found that the wall construction of the burial chamber of King Muryeong's tomb was approximately 70cm in thickness, while the structure was of 2B with two bricks, about 35cm in length, put together longitudinally(2B brick masonry). The pathway to the burial chamber was of the 2B structure just like that of the burial chamber walls, while its thickness was 80cm with an eyebrow-type arch connected to it. Also, the ceiling exterior appears to have an arch structure, identical to the shape inside.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 (환경오염의 세계적인 경향)

  • 송인현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72.03a
    • /
    • pp.3.4-5
    • /
    • 1972
  • 생활수준이 낮은 단계에 있어서는 우선 식량에 대한 수요가 강하다. 인간의 욕구가 만족스럽게 먹는다는 것에 대하여 제일 강하게 발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점차 과학기술과 산업과 경제가 발전하여 성장과정에 오르게 되고 소득수준도 향상하게 되면 시장기구를 통해서 구입 할 수 있는 개인의 물적 소비재에 대해서는 점차 충족하게 되며 식량이외에도 의복, 전기기구 및 일용생활용품, 자동차 등에 이르기까지 더욱 고차원의 소비재가 보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며는 사람의 욕구는 사적 재물이나 물적 수요에서 점진적으로 공공재나 또는 질적 수요(주택, 생활환경 등)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으로써 여기에 환경오염 또는 공해문제에 대하여 의식하게 된다. 그러나 여기에서 더욱이 문제점이 되는 것은 소득 수준의 향상 과정이란 그 자체가 환경오염의 커다란 요인이라는 점이며 자동차의 급격한 보급과 생활의 편의성을 구하여 집중되는 도시인구의 집적, 높은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생산성 높은 중화학공업의 발전 등등은 그 자체가 환경권이란 사람이 요구하는 고차원의 권리를 침해하는 직접적인 요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나 공해문제에 대한 세계적인 논의는 이미 시작된 지 오래이지만 현재는 우리의 건강보호를 위해서나 생활환경의 보전을 위해서라는 점에서는 그치는 것이 아니고, 더욱 넓혀서 자연의 보호, 자원의 보호라는 견지로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세계적인 확대된 이해와 이에 대한 대책강구의 제안은 1968년 국제연합의 경제사회이사회에서 스웨덴 정부대표에 의하여 제시되었으며 1969년의 우- 탄트 사무총장의 인간환경에 관한 보고서, 1970년 Nixon 미대통령의 연두일반교서 그리고 1972년 5월 6일 스웨덴의 스톡홀롬에서 개최되는 인간환경회의의 주제 등을 통해서 알 수 있고, 종래의 공해나 생활환경의 오염문제라는 좁은 개념에서가 아니고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 다루고 있는 것이다. 즉 환경개발(도시, 산업, 지역개발에 수반된 문제), 환경오염(인위적 행위에 의하여 환경의 대인간조건이 악화하는 문제) 자연ㆍ자원의 보호관리(지하, 해양자원, 동식물, 풍경경치의 문제)란 3개 측면에서 다루고 있는 것이다. 환경오염이란 문제를 중 심하여 보면 환경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로서 대기, 물, 토지 또는 지각. 그리고 공간의 사대요소로 집약하여 생각할 수 있음으로 이 4요소의 오염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대기의 오염은 환경의 오염중 가장 널리 알려진, 또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오염의 문제로써 이에 속하는 오염인자는 분진, 매연, 유해가스(유황산화물, 불화수소, 염화수소, 질소산화물, 일산 화염소 등) 등 대기의 1차 오염과 1차 존재한 물질이 자외선의 작용으로 변화발생 하는 오존, PAN등 광화학물질이 형성되는 2차적인 오염을 들 수 있다. 기외 카도미움, 연등 유해중금속이나 방사선물질이 대기로부터 토지를 오염시켜서 토지에 서식하는 생물의 오염을 야기케 한다는 점등이 명백하여지고 있으며 대기의 오염은 이런 오염물질이 대기중에서 이동하여 강우에 의한 침강물질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소위 광역오염문제를 발생케하며 동시에 토지의 토질저하등을 가져오게 한다. 물의 오염은 크게 내육수의 오염과 해양의 오염의 양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천의 오염을 방지하고 하천을 보호하기 위한 움직임 역시 환경오염의 역사상 오래된 문제이며 시초에는 인분뇨와의 연결에서 오는 세균에 의한 오염이나 양수 기타 일반하수와의 연결에서 오는 오염에 대비하는 것부터 시작하였지만 근래에는 산업공장폐수에 의한 각종 화학적유해물질과 염료 그리고 석유화학의 발달에 의한 폐유등으로 인한 수질오탁문제가 점차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것은 측 오염이란 시초에 우리에게 주는 불쾌감이 크므로 이것을 피하자는 것부터 시작하여 인간의 건강을 지키고 각종 사용수를 보존하자는 용수보존으로 그리고 이제는 건강과 용수보존뿐만 아니라 이것이 농림 수산물에 대한 큰 피해를 주게됨으로써 오는 자연환경의 생태계보전의 문제로 확대전환하고 있는 것이다. ?간 특히 해양오염에 대한 문제는 국지적인 것에만 끝이는 것이 아니고 전세계의 해양에 곧 연결되는 것이므로 세계각국의 공통관심사로 등장케 되었으며 이것은 특히 폐유가 유류수송 도중에 해양에 투기되는 유류에 의한 해양의 유막성형에서 오는 기상의 변화와 물피해등이 막심함으로 심각화 되고 있다. 각국이 자국의 해안과 해양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치를 서두르고 있는 현시점에서 볼 때에는 이는 국제문제화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국제적 협력과 협조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좋은 예라 하겠다. 토양의 오염에 있어서는 대기나 수질의 오염이 구국적으로 토양과 관련되고 토양으로 환원되는 것이지만 근래에 많이 보급사용되는 농약과 화학비료의 문제는 토양자체의 오염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고 농작물을 식품으로 하여 섭취함으로써 발생되는 인체나 기타생물체의 피해를 고려할 때 더욱 중요한 것이며, 또 토질의 저하를 가져오게 하여 농림생산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을 것이다. 지반강하는 지각 에 주는 인공적 영향의 대표적인 것으로써 지하수나 지하 천연가스를 채취이용하기 위하여 파들어 감으로써 지반이 침하 하는 것이며 건축물에 대한 영향 특히 풍수해시의 재해를 크게 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공간에 있어서의 환경오염에는 소음, 진동, 광선, 악취 등이 있다. 이들은 특수한 작업환경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건강에 직접적인 큰 피해를 준다고 생각할 수 없으나 소음, 진동, 관선, 악취 등은 일반 일상시민생활에 불쾌나 불안을 줌으로써 안정된 생활을 방해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공간의 오염물로써 새로운 주목을 끌게된 것은 도시산업폐기물로써 이들은 대기나 물 또는 토지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공간을 점령함으로써 도시의 미관이나 기능을 손상케 하는 것이다. 즉 노배폐차의 잔해, 냉장고등고형폐기물등의 재생불가능한 것이나 비니루등 합성물질로 된 용기나 포장 등으로 연소분해 되지 않은 내구소비재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는 maker의 양식에 호소하여 그 책임 하에 해결되어야 할 문제로 본다. 이렇듯 환경오염은 각양각색으로 그 오염물질의 주요 발생원인 산업장이나 기타 기관에서의 발생요인을 살펴보며는 다음과 같은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A. 제도적 요인 1. 관리체재의 미비 2. 관리법규의 미비 3. 책임소재의 불명확 B. 자재적 요인 1. 사용자재의 선택부적 2. 개량대책급 연구의 미흡 C. 기술적 요인 1. 시설의 설계불량, 공정의 결함 2. 시설의 점검, 보전의 불충분 3. 도출물의 취급에 대한 검사부족 4. 발생방지 시설의 미설치, 결함 D. 교육적 요인 1. 오염물질 방제지식의 결여 2. 법규의 오해, 미숙지 E. 경제적 요인 1. 자금부족 2. 융자상의 문제 3. 경제성의 문제 F. 정신적 요인 1. 사회적 도의심의 결여(이기주의) 2. 태만 3. 무지, 무관심 등이다. 따라서 환경오염의 방지란 상기한 문제의 해결에 기대하지 않을 수 없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국내적 국제적 상호협조에 의한 사회각층의 총력적 대책이 시급한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단속된다 하며는 미구에 인류의 건강은 물론 그 존립마저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며, 현재는 점진적으로 급성피해에 대하여는 그 흥미가 집중되어 그 대비책도 많이 논의되고 있지만 미량의 단속접촉에 의한 만성축적에 관한 문제나 이와 같은 환경오염이 앞으로 태어날 신생률에 대한 영향이나 유전정보에 관한 연구는 장차에 대비하는 문제로써 중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기외에 우려되는 점은 오염방지책을 적극 추진함으로써 올 수 있는 파생적인 문제이다. 즉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생산기업체가 투자를 하게 되며는 그만큼 생산원가가 상승할 것이며 소비가격도 오를 것이다. 반면 이런 시책에 뒤떨어진 후진국의 값싼 생산국은 자연 수입이 억제 당할 것이며, 이렇게되면 후진국은 무역경쟁에서 큰 상처를 입게될 것이고 뿐만 아니라 선진국에 필요한 오염물질의 발생이 높은 생산기기를 자연후진국에 양도하게 될 것임으로 후진국의 환경오염은 배가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 해양오염을 방지할 목적에서와 같이 자국의 해안보호를 위하여 마련된 법의 규제는 타국의 선박운항에 많은 제약을 가하게 될 것이며 이것 역시 시설이 미약한 약소후진국의 선박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임으로 교통, 해운, 무역등을 통한 약소후진국의 경제성장에 제동을 거는 것이 될 것이다. 이렇듯 환경오염의 문제는 환경자체에 대해서만 아니라 부산물적으로 특히 후진국에는 의외 문제를 던져주게 되는 것임으로 환경오염에 대해서는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인간환경전체의 문제로써 Nixon 대통령이 말한 결의와 창의와 그리고 자금을 가지고 과감하게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An Examination into the Illegal Trade of Cultural Properties (문화재(文化財)의 국제적 불법 거래(不法 去來)에 관한 고찰)

  • Cho, Boo-Keu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37
    • /
    • pp.371-405
    • /
    • 2004
  • International circulation of cultural assets involves numerous countries thereby making an approach based on international law essential to resolving this problem. Since the end of the $2^{nd}$ World War, as the value of cultural assets evolved from material value to moral and ethical values, with emphasis on establishing national identities, newly independent nations and former colonial states took issue with ownership of cultural assets which led to the need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statutory provisions for the return of cultural assets. UNESCO's 1954 "Convention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y in the Event of Armed Conflict" as preparatory measures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assets, the 1970 "Convention on the Means of Prohibiting and Preventing the Illicit Import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Cultural Property" to regulate transfer of cultural assets, and the 1995 "Unidroit Convention on Stolen or Illegally Exported Cultural Objects" which required the return of illegally acquired cultural property are examples of international agreements established on illegal transfers of cultural assets. In addition, the UN agency UNESCO established the Division of Cultural Heritage to oversee cultural assets related matters, and the UN since its 1973 resolution 3187, has continued to demonstrate interest in protection of cultural assets. The resolution 3187 affirms the return of cultural assets to the country of origin, advises on preventing illegal transfers of works of art and cultural assets, advises cataloguing cultural assets within the respective countries and, conclusively, recommends becoming a member of UNESCO, composing a forum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Differences in defining cultural assets pose a limitation on international agreements. While the 1954 Convention states that cultural assets are not limited to movable property and includes immovable property, the 1970 Convention's objective of 'Prohibiting and preventing the illicit import, export and transfer of ownership of cultural property' effectively limits the subject to tangible movable cultural property. The 1995 Convention also has tangible movable cultural property as its subject. On this point, the two conventions demonstrate distinction from the 1954 Convention and the 1972 Convention that focuses on immovable cultural property and natural property. The disparity in defining cultural property is due to the object and purpose of the convention and does not reflect an inherent divergence. In the case of Korea, beginning with the 1866 French invasion, 36 years of Japanese colonial rule, military rule and period of economic development caused outflow of numerous cultural assets to foreign countries. Of course, it is neither possible nor necessary to have all of these cultural properties returned, but among those that have significant value in establishing cultural and historical identity or those that have been taken symbolically as a demonstration of occupational rule can cause issues in their return. In these cases, the 1954 Convention and the ratification of the first legislation must be actively considered. In the return of cultural property, if the illicit acquisition is the core issue, it is a simple matter of following the international accords, while if it rises to the level of diplomatic discussions, it will become a political issue. In that case, the country requesting the return must convince the counterpart country. Realizing a response to the earnest need for preventing illicit trading of cultural assets will require extensive national and civic societal efforts in the East Asian area to overcome its current deficiencies. The most effective way to prevent illicit trading of cultural property is rapid circulation of information between Interpol member countries, which will require development of an internet based communication system as well as more effective deployment of legislation to prevent trading of illicitly acquired cultural property, subscription to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cataloguing collections.

Floristic study and conservation management strategies of algific talus slopes o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풍혈지의 관속식물상과 보전관리 방안)

  • Kim, Jin-Seok;Chung, Jae-Min;Kim, Jung-Hyun;Lee, Woong;Lee, Byoung-Yoon;Pak, Jae-Hon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6 no.2
    • /
    • pp.213-246
    • /
    • 2016
  • Algific talus slopes tend to occur on steep north-facing slopes with bedrock that retains ice and emits cold air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Algific talus slopes provide a suitable microclimate for disjunct or relict populations of northern plant species at low altitude habitats in temperate zo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trategy for the comprehensive conservation of the vegetation of algific talus slopes through studies of the floristics and plant species compositions and threat factors at present and in the future of 15 major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As a result, the vascular plants surveyed on 15 major algific talus slopes were recorded, with a total of 587 taxa, 109 families, 323 genera, 531 species, 7 subspecies, 47 varieties 1 form and 1 hybrid. Of them, endemic plants numbered 26 taxa, and threatened species according to the IUCN valuation basis numbered 8 taxa. Fourth (IV) and fifth (V) degree indicator species as specified by floristic subregions numbered 31 taxa. Peculiarly, several subalpine-native plant species, in this case Cystopteris fragilis, Gymnocarpium dryopteris, Huperzia selago, Rosa koreana, Vaccinium vitis-idaea and Woodsia hancockii, were distributed on algific talus slopes at 100-600 m above sea level. Numerous and diverse biological resources native to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have been consistently disturbed or damaged by human activities without some form of protection. An all-taxa biodiversity inventory should be surveyed to provide more information about all biological species living on algific talus slopes. In addition, conservation strategies to ensure biodiversity and effective management of algific talus slopes are discussed in detail.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Lee, In-Soo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1 no.1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

The Effectiveness of Intravenous Immunoglobulin for Clinically Suspected Neonatal Sepsis (임상적으로 의심되는 신생아 패혈증에서 정맥용 면역 글로불린의 치료 효과)

  • Na, Hyun Jung;Kim, Ji Young;Lee, Gyeong Hoon;Lee, Jun Hwa;Choi, Eun Jin;Kim, Jin Kyung;Chung, Hai Lee;Kim, Woo Taek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8 no.11
    • /
    • pp.1187-1192
    • /
    • 2005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intravenous immunoglobuin (IVIG) administration in fullterm neonates having clinically suspected neonatal sepsis. Methods : Forty full-term neonate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with clinically suspected neonatal sepsis, who had at least two positive diagnostic criteria were enrolled. Twenty neonates were enrolled into the IVIG arm and 20 in the placebo arm. Neonates with a gestational age of less than 36 weeks and those with any major congenital malformation were excluded. The neonates were randomized to receive 1 g/kg of IVIG or equivalent amount of normal saline. The treatments including antibiotics and supportive care were administered. Results : The neonates in the therapy and placebo groups were comparable in terms of birth weight, gestational age, sex distribution, duration of antibiotics therapy and admission, elevation of serum IgG level, mortality rate, change of CBC, and serum level of acute phase reactants etc. Conclusion : Serum IgG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5 days after administration of IVIG in the IVIG-treated group and decreased significantly 5 days after administration of normal saline in the placebo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uration of antibiotics therapy and admission, or of mortality between the IVIG-treated and placebo groups. No adverse reactions to the IVIG infusions were noted during the study. Our preliminary observations suggest that the administration of 1 g/kg IVIG to neonates had some effect on augmentation of humural immune status in neonates with clinically suspected sepsis. But further study is needed to verify the benefit of IVIG infusion to neonatal sep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