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존액

검색결과 390건 처리시간 0.037초

희석액 $\textrm{BF}_5$ 엔오투와 Butschwiler를 이용한 돼지 액상정액 보존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reservation of Liquid Boar Semen with $\textrm{BF}_5$ and Butschwiler Diluents)

  • 천용민;박창식;서길웅;이규승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9-166
    • /
    • 1996
  • 본 연구는 돼지 액상정액을 인공수정용 100ml 플라스틱 병에 보존하면서 BF5희석액과 Butschwiler 희석액 간에 보존 온도별 차이를 조사하고, BF5 희석액에서의 글리세롤 농도의 효과를 조사하여 돼지 액상정액을 좀더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돼지 액상정액을 5$^{\circ}C$ 냉장고에 보존하면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37$^{\circ}C$에서 0.5 및 2시간 배양후의 정자운동성은 전체 보존기간동안 BF5 희석액이 Butschwiler 희석액보다 유의하게 (P<0.05) 높게 나타났고, 정상첨체비율은 두 희석액간에 차이가 없었다. 돼지 액상정액을 15$^{\circ}C$에 보존하면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3일부터 7일 보존시 까지 정자운동성과 정상첨체비율에 있어서 Butschwiler 희석액이 BF5 희석액보다 유의하데 높게 나타났다. BF5 희석액을 이용한 돼지 액상정액의 글리세롤 농도의 효과에 있어서는 최종 글리세롤 농도가 0, 2, 3, 및 5% 보다 1%일 때 가장 높은 정자운동성과 정상첨체비율을 나타내었다. 분만율, 복당 생존자돈수 그리고 출생시 평균 생시체중은 BF5 희석애과 Butschwiler 희석액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BF5 희석액을 5$^{\circ}C$에서 Butschwiler 희석액은 15$^{\circ}C$에서 6-7일 동안 돼지 액상정액을 보존할 수 있었다.

  • PDF

돼지 액상정액의 보존액, 보존온도 및 기간이 정액성상과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ender, Preservation Temperature and Period of liquid Boar Semen on Semen Characteristics and Reproductive Performance)

  • 김인철;이장희;김현종;박창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16
    • /
    • 2002
  • 돼지 인공수정센터에서 사육중인 인공수정용 종모돈을 이용하여 1995년부터 2000년까지 보존액 종류, 보존온도 및 보존기간에 따른 정액성상 변화와 번식성적을 조사하여 돼지 인공수정시 번식성적 향상과 실용화에 기여코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 돼지 액상정액의 보존액 종류에 따른 보존기간별 활력은 Androhep 보존액은 3일째부터, BTS 및 Modena는 5일째부터 현저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P<0.05), pH변화는 6.24~7.06 범위에서 변이가 심하게 관찰되었으며 Androhep 보존액이 산도가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규칙 적 인 경향을 나타내었다. 보존액 종류별 보존기간에 따른 분만율은 BTS, Modena 및 Androhep 보존액 모두 5일 보존까지 차이가 없었다. 보존액별 분만율은 Androhep 보존액이 BTS 보존액과는 차이가 없었으나 1일 보존과 5일 보존에서 Modena보존액 보다 우수하였다 (P<0.05). 산자수는 보존 기간별 보존액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Androhep 보존액은 3일 보존부터 산자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2. 보존온도에 따른 액상정액의 운동성과 정상첨체 비율에서 17$^{\circ}C$ 보존정액의 운동성은 3일째부터, 정상 첨체율은 4일째부터 감소하였으나 5$^{\circ}C$ 보존정액은 4일 보존까지 정액성상의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7$^{\circ}C$에 보존한 액상정액이 5$^{\circ}C$에 보존한 것보다 분만율은 현저히 높았으나 산자수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분만율은 보존 2일째부터 산자수는 3일째부터 감소하였다. 5$^{\circ}C$ 보존정액은 4일까지 분만율에 큰 변화가 없었으나 산자수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말똥성게, Hemicentrotus pulcherrimus 정자의 냉장보존에 미치는 희석액의 효과 (Effect of Diluents on the Cold Storage of Sperm in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

  • 고강희;강경호;김재민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7권1호
    • /
    • pp.9-13
    • /
    • 2003
  • 말똥성게 정자의 냉장보존을 위한 여러 가지 희석액의 보존 효과를 비교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포도당 용액, 인공해수(ASW)를 희석액으로 하여 정자를 4$^{\circ}C$에서 보존하였다 보존효과는 정자 활성지수 (SAI), 생존율 및 말똥성 게 난에 대 한 수정률로 평가하였다. ASW와 1.2 M glucose액을 희석 액으로 하여 30일간 냉장보존하였을 때 가장 높은 운동성 및 생존율을 유지하였다. 정자의 냉장보존을 위한 희석액의 적정 pH는 7.0∼8.0 이었다. 정자의 SAI와 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항생제로는 neomycin(400 ppm)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단백질 가수분해 물을 이용한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저온 보존액 개발 (Development of hypothermic preservation solution for the human dermal fibroblast using protein hydrolysates)

  • 변순휘;최태부
    • KSBB Journal
    • /
    • 제24권3호
    • /
    • pp.312-320
    • /
    • 2009
  • 치료용 단백질을 생산하는 생물의약품 산업이나 세포치료제 및 이식용 세포를 다루는 재생의학 분야 등의 세포기반 산업에서 안정적인 세포의 보존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피부 섬 유아세포의 $4^{\circ}C$ 저온보존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개선된 저온보존액을 개발하고, 저온에 의한 세포 손상을 보호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세포 저온보존 기술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세포의 저온보존에서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는 핵심 성분을 탐색한 결과, yeast hydrolysate 등의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첨가한 보존액에서 월등히 뛰어난 보존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단백질 가수분해 물은 미생물, 식물, 동물유래 단백질 가수분해 물에서 모두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단백질 가수분해물 성분 중 분자량 10kDa 이하의 펩타이드를 첨가한 저온보존에서 우수한 보존효과가 나타났다. 저온에 의한 세포손상에 대해 단백질 가수분해물은 세포내 ATP level의 감소를 막아주고 ROS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제 및 삼투압 조절물질을 단백질 가수분해 물과 함께 첨가하였을 때 더욱 우수한 세포 보존효과를 보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KUL261 저은보존액 (DMEM/F12 1 : 1 medium, yeastolate 1%, $\alpha$-tocopherol $100{\mu}M$, dextran 2.5%)은 기존의 저온 보존액에 비해 세포 생존을 및 성장률에서 월등히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핵심 유효성분으로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개선된 저온보존액은 기존의 보존액보다 월등히 우수한 보존효과를 제공하며, 세포치료제 및 재생의학 분야의 발전과 글로벌 상업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돼지 액상정액 보존을 위한 Lactose-Egg Yolk와 $B\ddot{u}tschwiler$ 희석액의 비교 (Comparision of Preservation of Liquid Boar Semen between Lactose-Egg Yolk and $B\ddot{u}tschwiler$ Diluents)

  • 박창식;천용민;서직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1-109
    • /
    • 1996
  • 본 연구는 돼지 액상정액을 인공수정용 100ml 플라스틱 병에 보존하면서 Lactose-Egg yolk 희석액과 B tschwiler 희석액 간에 보존 온도별 차이를 조사하고, Lactose-Egg yolk 희석액에서의 글리세롤 농도의 효과를 조사하여 돼지 액상정액을 좀더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돼지 액상정액을 5$^{\circ}C$ 냉장고에 보존하면서조사한 바에 의하면, 37$^{\circ}C$에서 0.5 및 2시간 배양 후의 정자 운동성은 전체 보존기간동안 Lactose-Egg yolk 희석액이 B tschwiler 희석액보다 유의하게 (P,0.05) 높게 나타났고, 정상첨체비율은 두 희석액간에 차이가 없었다. 돼지 액상정액을 15$^{\circ}C$에 보존하면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3일부터 7일 보존시까지 정자 운동성과 정상첨체비율에 있어서 B tschwiler 희석액이 Lactose-Egg yolk 희석액보다 유의하데 높게 나타났다. Lactose-Egg yolk 희석액을 이용한 돼지 액상정액의 글리세롤 농도의 효과에 있어서는 최종 글리세롤 농도가 0, 1, 3 및 5%보다 2%일 때 가장 높은 정자 운동성과 정상첨체비유을 나타내었다. 분만율, 복당 생존자돈수 그리고 출생시 평균 생시체중은 Lactose-Egg yolk 희석액과 B tschwiler 희석액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Lactose-Egg yolk 희석액은 5$^{\circ}C$에서 B tschwiler 희석액은 15$^{\circ}C$에서 6~7일 동안 돼지 액상정액을 보존할 수 있었다.

  • PDF

클로로필린이 첨가된 탈구치아 보존액에서의 치주인대 세포 생활력에 대한 연구 (In Vitro Assessment on Viability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after Storage in Chlorophyllin-added Medium)

  • 정원균;김진;이은주;이승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6호
    • /
    • pp.600-611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클로로필린이 치주인대 세포 생활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다. 치주인대 세포는 건강한 사람에서 발치한 소구치의 치주인대 조직으로부터 채취하여 배양하였다. 비교 기준을 설정하기 위하여, HBSS 내에서 $37^{\ circ}C$로 보관한 치주인대 세포수의 50%가 생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MTT 분석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6시간이었다. HBSS에 클로로필린 10, 100, 500 nM이 각각 첨가된 3군의 실험 보존액과 F-medium, ViaSpan, Likorol 등 모두 6군의 실험 보존액을 96-well plate에 접종한 후, 치주인대 세포를 동일한 수로 분주하였다. 이를 6시간동안 보관한 후, 각 실험군 보존액에서의 세포 생활력을 MTT 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HBSS와 F-medium 및 클로로필린 500 nM이 첨가된 HBSS군의 세포들에 대해 유식세포 계측을 시행하여 각각의 세포주기를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클로로필린 500 nM이 첨가된 HBSS에서 보관한 세포들이 가장 높은 생활력을 나타내었으며, 클로로필린이 첨가되지 않은 HBSS에 비해서 유의하게 양호한 세포 생활력 유지 능력을 보였다. 클로로필린으로 처치한 세포들은 클로로필린의 농도가 커짐에 따라 세포 생활력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유식세포 계측 결과, HBSS와 F-medium 및 클로로필린 500 nM이 첨가된 HBSS에서 보관한 세포의 77~80%가 G0-G1 단계의 세포 주기로 측정되어, 대부분의 세포들이 안정된 세포 대사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클로로필린 처치는 치주인대 세포의 생활력 유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전처리와 보존용액이 절화장미 'Saphir'의 수명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treatments and Holding Solutions on Vase Life and Quality of Cut 'Saphir' Rose)

  • 방창석;이종석;송천영;송정섭;허건양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6호
    • /
    • pp.758-760
    • /
    • 1999
  • 몇가지 전처리제와 절화장미에 효과적인 보존용액으로 알려진 HQS+sucrose+ethionine 혼합액을 병행 처리하여 절화수명과 품질을 비교함으로써 절화장미의 관상가치를 향상시키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절화수명은 증류수에 보존시에는 전처리 효과가 없었으며, HQS+sucrose+ethionine 용액에 보존하였을 때에는 aluminum sulfate 혼합액과 NaOCl 전처리에서 수명이 연장되었다. 흡수량은 증류수에 보존한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여 생체중과 반대의 결과를 나타냈다. 생체중은 STS+sucrose 전처리를 제외하고는 HQS+sucrose+ethionine 혼합액에 보존시 증류수보다 증가하였다. 꽃목굽음은 HQS+sucrose+ethionine 용액에 보존했을 때에는 모든 전처리에서 증류수보다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aluminum sulfate 혼합액 전처리에서는 수명 종료시까지 꽃목굽음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화경과 꽃잎의 건물중은 STS+sucrose 전처리를 제외하고는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며, 보존용액에 있어서는 HQS 혼합액이 증류수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화색은 L값과 a값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 으나 b값은 증류수에 보존한 처리구에서 최초의 값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 PDF

황복(Takifugu obscurus) 정자의 냉동보존 및 해동정자의 수정능력 (Sperm Cryopreservation and Fertility of Post-thaw Sperm in River Puffer, Takifugu obscurus)

  • 장영진;임한규;장윤정;김형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5
    • /
    • 1999
  • 황복(Takifugu obscurus) 정자의 냉동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냉동보존 조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황복 정자의 냉동보존을 위한 희석액으로는 다른 여러 가지 희석액에 비해 MFRS가 가장 적합하였으며, 동해방지제로는 DMSO가 glycerol에 비해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MFRS를 희석액으로 하고 동해방지제인 DMSO를 최종농도가 5%되도록 첨가하여 정자를 냉동보존하였을 때, 해동정자의 수정률은 74.3±7.5%로 가장 보존효과가 좋았다.

  • PDF

돼지정자의 동결융해 후 활력 및 생존성에 대한 보존액, 동해보호제, 예비동결 및 동결처리시간의 영향 (Effect of Cryodiluents, Cryoprotectants, Pre-freezing Method and Total Time Required for Freezing on Post-thaw Viability of Boar Spermatozoa)

  • 이장희;김인철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5-174
    • /
    • 1999
  • 본 연구는 동결융해 후 정자의 생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동결융해 후 생존성에 대한 요인으로써 동결보존액, 동해보호제, 예비동결법 및 동결소요시간을 비교하였다. 동결과정중 정액의 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활력, NAR 및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돼지정액을 BF5, LYE, Soejima 및 modified Soejima 보존액으로 동결하였을 때 동결융해 후 정자활력은 M-Soejima 보존액이 44.5$\pm$6.4%로 다소 높았다. M-Soejima 보존액의 2차 회석액에 caffeine(2mM), heparin(l00 ${\mu}\ell$/$m\ell$) 및 caffeine+heparin 를 첨가하였을 때 동결융해 후 활력은 caffeine 첨가구가 61.7% 로 가장 높았으며, 단독 혹은 혼합첨가가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력을 나타내었다 (p<0.05). M-Soejima 보존액에 동해보호제로서 glycerol(Gly), ethylene glycol(EG), propylene glycol(GP), Gly+EG 및 Gly+PG을 첨가하였을 때 동결융해 후 활력 및 NAR 율은 Gly+PG의 혼합첨가시 (31.3%/39.5%) 가 다른 첨가구보다 다소 높았으며 생존율은 Gly+EG 첨가구가 21.2% 로 다른 첨가구보다 다소 높았다. BE5와 M-Soejima 보존액으로 straw 및 pellet 동결법으로 동결하는 동안 dry ice-pellet, dry ice-straw 및 L$N_2$vapor-straw 법으로 예비동결하였을 때 각각 22.8, 47.5, 52.5% 및 42.5, 47.5, 57.5% 의 활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M-Soejima 보존액의 straw 법으로 l차 희석부터 동결완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2, 5 및 7시간으로 하였을 때 동결융해 후 활력 및 생존율은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NAR 율은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동결융해 후 활력, NAR 및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caffeine 이 첨가된 M-Soejima 보존액에 동해보호제로 glycerol과 propylene glycol 또는 ehtylene glycol 을 사용하여 2시간 동안 빠르게 동결처리된 정액이 다소 유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처리된 목초액 첨가 장류의 품질향상효과 및 보존성 (Effect of Quality Improvement and the Preservation on Soybean Sauce and Paste by Adding Pyroligneous Liquor Treated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윤선경;이승진;윤성옥;박선영;김학경;전병수
    • KSBB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117-121
    • /
    • 2003
  • 4$0^{\circ}C$, 110 bar 조건에서 초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추출한 목초액을 GC/MS로 분석한 결과 타르, 탄화취 등의 유해 성분이 제거되었다. 이 정제 목초액을 천연보존제로써 간장 및 된장에 첨가하여 보존성을 관찰한 결과, 간장의 경우 정제 목초액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총균수가 적었으며, 간장 내에 있는 미생물이 어느 진도 성장에 저해를 받은 것으로 나타나 보존성 및 품질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된장의 경우 정제 목초액을 첨가한 것이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대체로 총균수가 적어 보존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된장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정제 목초액을 첨가한 것은 첨가하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명도(L$^{*}$ )와 황색도(b$^{*}$ )는 증가하였고, 적색도(a$^{*}$ )는 낮아 된장의 갈변이 첨가하지 않은 것에 비해 느리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임계 기술로 추출한 목초액은 간장 및 된장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첨가물로써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