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전생태학

Search Result 31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Review on the Domestic and Foreign Lawa Connected with the Environmental Comservation and Ecology from Sandscape Architectural Point (조경적 측면에서의 환경보전 및 생태학 관련 국내, 외 법규에 관한 고찰)

  • 신익순;김용수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1
    • /
    • pp.18-36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ext relating to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ecology among the text of the constitution of Korea and collect the domestic laws(40 statutes, 1 guide, 1 leading case) and the foreign laws(1 constitution, 34 statutes, 2 ordinances, 3 leading cases). To make the text of the collected domestic and foreign law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ceptual principle, plan establishment and project operation, types, policy and allied projects, rights and duties, allowed and restricted act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administration procedure and system of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ecology by items, it was considered to the mutual relation with lots of laws which are scattered with the various laws and studied to how to set the many foreign countries on their laws connected with the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ecology from the other department and carry out the advanced environmental works.

  • PDF

Korean and Worldwide Research Trends on Rare Plant and Endemic Plant in Korea (한국의 희귀 및 특산식물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

  • Chae, Hyun-Hee;Kim, Young-Chul;Son, Sung-W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6 no.3
    • /
    • pp.257-276
    • /
    • 2022
  • Studies on rare and endemic plant conservation should be performed nationally to conserve plant diversity. Studies targeting a specific taxon have been reported based on the necessity of conserving plant diversity. From this point of view, there is an increasing necessity to compare and evaluate the studies for conserva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review the direction for study subjects and items required for effective conservation of rare and endemic plants in Korea,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collected data. We analyzed trends of studies on rare and endemic plants worldwide. In particular,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tudy trend in Korea. Study fields of the rare and endemic plants were divided into six classifications, of which the conservation ecology classification was sub-divided into the species traits, population study, and biological interaction. We have collected conservation ecology studie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gions and countries. They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Europe and North America by region and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by country. On the contrary, studies on basic ecology accounted for the most, followed by conservation genetics and restoration ecology in Korea. It was revealed that the portion of conservation ecology conducted in Korea was lower than that of the world. Moreover, studies mainly focused on a specific taxon of rare and endemic plants, such as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Particularly in Korea, conservation genetics and restoration ecology studies accounted for high percentages. Considering the worldwide study trends, particularly those in Europe and North America that lead the study of conservation ecology, we suggest approaches to increase the percentages of conservation ecology, including securing the information on species traits, population structure and population dynamics, and interaction between animals and plants are necessary for effective conservation of rare and endemic plants in Korea.

Rare and Endangered Plant Conservation in Chinese Botanical Gardens-The Construction and Analysis if Database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중국 식물원에서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의 보전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분석)

  • 장덕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1
    • /
    • pp.1-16
    • /
    • 2001
  • 현재 중국에서는 100개 이상의 식물원이 있으며, 대부분의 식물원은 희귀식물이나 멸종위기 식물의 생식질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중국의 식물원에서 현지 외 보전과 이와 관련한 일을 수행하기 위하여 1999년 REPC-CBG-DATA라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본 데이터베이스 구축 결과에 따라 중국내 389종의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보전상태를 분류하였으며, 이를 토태로 관리보전에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 내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의 보전을 위하여 각 식물원에 수집된 식물종을 대상으로 REPC-CBG-DATA를 바탕으로 각 해당 식물종의 관리에 대하여 토론하였다.

  • PDF

Urban Climate and Urban Ecology (도시기후와 도시생태)

  • 이현영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224-229
    • /
    • 1997
  • 쾌적하고 능률적인 생태도시 건설을 계획할 때는 도시의 자연환경을 고려하여 공공시설의 입지선정을 신중히 해야한다. 도시계획과 운영이 합리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도시는 쾌적한 촌락환경과 크게 다르게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도시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도시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와 관련된 모든 분야 즉, 도시계획, 토목공학, 생태학, 기후학, 지리학 등의 전문가들이 함께 문제를 검토하고 계획하는 학제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즉, 도시의 기온분호으 ㅣ패턴, 탁월풍과 도로망 및 구조물의 배열, 도시공원과 가로수의 적정 수종을 이해한다면 도시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하여 비싼 대가를 치르지 않아도 될 것이다. 또한 도시의 행정책임자는 쾌적한 도시 환경을 보전하기 위하여 제도 및 업무수행에 유연하여야 할 것이다.

  • PDF

Mammalian Research Topics and Trends in Korea (국내 포유류 연구의 주제와 동향)

  • Ko, Byung June;Eo, Soo Hy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1 no.1
    • /
    • pp.30-41
    • /
    • 2017
  • Mammals in Korea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nimal science, veterinary medicine, laboratory animal science, ecology, and genetics. As the importance of biodiversity has been emphasized recentl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ammals have attracted much public attention. However, in spite of such an increase in scientific research and public interest, it is still difficult to find a report or summary to grasp the trend of mammalian research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future plans of the detailed research area and the related policies by grasping the research trends of mammals in Korea. Using text-ming and co-word analysis, we analyzed 392 mammalian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n national journals as of 2015. Our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mammalian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 has gradually increased and that the research target species have also become increasingly diverse. The major research areas identified through text-mining and co-word analysis are (1) evolution/phylogenetics/genetics, (2) environmental science/ecology, (3) embryology/reproductive biology/cell biology, (4) veterinary medicine related to parasites, (5) parasitology related to rodents, (6) bacteriology/virology, (7) anatomy/cell biology/laboratory animal science, (8) veterinary science related to morphology and anatomy, (9) animal science, (10) marine mammalogy, and (11) Chiroptera (bat) research. Environmental science/ecology has been the most active field among the 11 research areas in recent times, and the proportion of research has increased sharply compared to the past. Environmental science/ecology is the core of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as the importance of biodiversity has been emphasized in recent years, researchers' interest in mammal ecology appears to have increased.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future research plan and related policies on mammals in Korea.

The Present States and Management Proposal of Odaesan National Park (오대산 국립공원의 현황과 관리개선방안)

  • Lee, Kyong-Jae;Kim, Gab-Tae;Cho, Wo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9 no.2
    • /
    • pp.250-268
    • /
    • 1996
  • 1992년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이후 세계는 환경보전의 중요성이 크게 제고되었고, 다가올 21세기는 환경의 시대라 불리고 있으며, 특히 국립공원은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성역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제는 인류가 생각한 최고의 이념이라고도 불리는 국립공원의 숭고한 정신을 살리고 21세기 환경시대를 살아갈 후손들이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국립공원의 관리정책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겠다. 본 고는 환경생태학회의 국립공원분과에서 1995년 1년동안 오대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식물상, 식물군집구조, 조류 및 곤충상, 등산로훼손 및 주연부 식생구조, 산림경관인식 및 이용자 행태 등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오대산 국립공원의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관리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PDF

Analysis of Discharge Variation considering Water Balance Method in Mountain Wetland (물수지 방법을 고려한 산지습지 유량변동 분석)

  • Oh, Seung Hyun;Kim, Jung Wook;Kim, Jae Ge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74-174
    • /
    • 2017
  • 습지는 생산성이 높은 생태계이며 범람원, 수문저장, 오염원의 분해 및 침전의 기능과 동시에 동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인간의 복지에 매우 유용한 자연공간이다. 습지의 생태적, 수문학적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습지 내 유량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습지를 유지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유량 변동을 분석하여 유량 변동에 따른 습지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산지습지는 주변과 고립되어 있어 외부의 위협에 민감하고, 특이하며 다양한 생물상이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어 생태학적 가치가 매우 크다. 특히 양산지역 산지에는 고산습지가 많아 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희귀동물이 살고 있는 청정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야생생물이 분포하는 보전가치가 높은 산지습지인 경남 양산 장군습지를 대상으로 습지 내 유량 변동에 따른 습지 유지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습지유역으로 유입되는 물의 양과 유출되는 물의 양의 차이를 분석하는 물수지 방법을 적용하여 습지 내의 유량 변동을 분석하였다.

  • PDF

The Present Condition of Urban Vegetation and It' Ecological Management Proposal (도시녹지의 실상과 생태학적 관리방안)

  • 오구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230-239
    • /
    • 1997
  • 공원법이 제정된 이후 40여년 동안 어려운 여건 속에서 공원녹지분야의 양적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면 21세기에는 질적 발전이 이루어져야 되겠다. 도시계획의 틀속에서 최소한의 공원녹지가 지정, 조성되어 관리되고 있으나 지정된 공원녹지가 사유지인 곳이 많기 때문에 공원조성 뿐만 아니라 적절한 녹지관리가 어려워 자연보호식 녹지보호나 식묵행사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변화하는 시민 요구와 도시환경에 발 맞추어 도시환경보전과 경관보전을 위한 녹지체계 수립이나 관리목표를 세분화하지 못하고 체계적이고 선진적인 도시녹지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체계적이고도 질적인 도시농지관리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저확한 녹지실태 조사와 수요를 토대로 녹지체계정립, 녹지종류의 조정, 녹지종류별 생태학적 관리목표설정 및 세부지침이 선행되어야 한다.

  • PDF

Phytosociological Study on Vegetation of Mt. Myongji for Management of Natural Ecosystem (명지산 생태계 관리를 위한 식물사회학적 식생 연구)

  • 안영희;김봉찬;김문홍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2
    • /
    • pp.125-138
    • /
    • 2001
  • 본 연구는 명지산 식생의 보전방안의 수립과 생태계의 건전한 이용을 위해 수행되었다. 인위적인 훼손이 지속되는 등산로 주변은 질경이군란과 쑥-미국쑥부쟁이군락 등 노변식물 군락으로 나타났으며, 등산로 주변과 벌목지는 중부지방에서 잡목림이라 할 수 있는 고추나무-산뽕나무군락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부지방에 위치한 명지산의 기후적 극상림인 낙엽활렵수림의 군락은 표고 300m 이상의 깊은 계곡과 정상부근에 극상림에 가까운 신갈나무-당단풍군락으로 잔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갈나무-당단풍군락 주변에는 비교적 인위적인 영향을 크게 받은 병꽃나무-조록싸리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이들 군락 내에서는 금강초롱꽃, 백작약, 도깨비부채, 개족도리 등의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