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전가치

Search Result 47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Principle of Ecological Investigation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bout Cultural Asset Cave (문화재동굴의 생태환경보전조사의 요령)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52
    • /
    • pp.3-10
    • /
    • 1997
  • 문화재동굴이란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동굴로 그 희귀성과 학술문화적 가치에 따라 천연기념물 동굴과 지방기념물 동굴들로 나뉜다. 우리나라에는 천연기념물동굴로는 16개소, 지방기념물동굴로는 20개소가 지정되고 있다. 이들 중에는 필요에 따라 이미 관광동굴로 공개되고 있는 것도 있고 아직 비공개동굴로 보전 관리되고있는 것도 있다.(중략)

  • PDF

POLICY & ISSUES 환경정책 - 생물다양성의 지속가능한 이용 정책 방향

  • Jang, Seong-Hyeon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05
    • /
    • pp.5-7
    • /
    • 2013
  • 우리 사회에는 생물다양성을 바라보는 매우 다양한 인식의 스펙트럼이 존재하고 있다. 극단적으로 동식물의 보전을 위해서 인간의 접근을 근원적으로 차단해야 한다고 주장에서부터, 동식물을 인류 발전의 도구나 수단으로 여겨, 인간을 위해서는 폭넓은 포획과 도축을 허용해야 한다는 주장에 이르기까지, 그 인식의 격차가 크지만 생물자원의 진정한 가치를 생각해 본다면 그 가치가 무한히 지속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Valuation Standards for the Korea Agricultural Heritage (한국 농어업유산의 가치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 Beak, Seung-Seok;Moon, Young-Suk;Jung, Ki-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4 no.4
    • /
    • pp.110-118
    • /
    • 2016
  • The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has established the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e Heritage Site in 2002, designating the Agricultural Heritages with global value, and carries forward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Korea, the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was adopted to conserve and manage the valuable resources of agricultural space in 2012. Although, the interest in the Agricultural Heritage has been developed, the valuation standards for unique value of the Korea Agricultural Heritage has not been yet established, so discovery and designation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are at a standstill. Meanwhile, a study from the conceptual viewpoint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resources investigation for discovery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index development, and a study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thods through sightseeing are focused, and a study for the valuation standards about the Korea Agricultural Heritage are not focused. Therefore, the study has analyzed a value of the Korea Agricultural Heritage, and suggested the standards of evaluation a value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rightly. This study suggested the valuation standards of the Korea Agricultural Heritage used in discovery and designation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so prepared a base to conduct the valu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Such standards will contribute to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Agricultural Heritage in the future.

에머지(Emergy) 개념을 이용한 산지가치의 계량화에 관한 연구

  • Kim, Nam-Guk;Kim, Jin-Lee;Lee, Seok-Mo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421-424
    • /
    • 2006
  • 종래의 개발은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개발로 인한 경제적 효율성과 편리성 부분이고, 다른 하나는 그러한 개발로 인한 자연훼손 및 생태계 파괴이다. 이로 인해 개발과 보전은 양립할 수 없는 상반적인 개념으로 받아들여져 왔고, 개발론과 보전론의 대립적 구도가 지속되어 왔다. 우리나라는 국토의 65% 이상이 산지이기 때문에 산지의 부분적 개발은 피할 수 없는 사회적 요구인 동시에, 산지는 자연생태계의 보고로서 생태계 보전이 필수적인 지역이다. 이러한 산지 개발과 보전에 대한 상반적 이해를 통합하여 자연과 인간의 공생체계를 갖추기 위해서는 인간중심의 사고에서 탈피하여 사람과 생태계 그리고 자연을 하나로 보는 총체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설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의 정량적인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시 공간적으로 다양한 인자들에 대해 시스템적인 관점에서 그 중요성을 고려하고자 하는 에머지 개념을 통해 산지 본래의 가치를 평가하였다. 에머지 개념은 그 동안 생태계가치평가, 개발사업의 편익-비용평가, 환경수용력 평가, 개발대안 평가, 환경계정, 환경훼손 소송관련 비용 평가 등에 적용되었다. 이러한 에머지 개념을 이용한 평가 방법을 통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면 산지뿐만이 아닌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실현하기 위한 적절한 정책의 선택과 이의 이행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자연환경 가치의 정량적 평가를 통해서 우리는 한층 더 자연환경 및 자원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자각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환경정책 - 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 정책과 방향

  • Kim, Jong-Ryul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11
    • /
    • pp.4-7
    • /
    • 2014
  • 환경부에서는 지난 3월 제3차 국가 생물다양성 전략을 수립하였다. 2050년까지 "생물다양성을 풍부하게 보전하여 지속가능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한민국을 구현"하는 장기 비전과, 2020년까지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가치 제고를 통한 창조경제 견인"하는 중기 비전을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6대 전략과 18개 실천목표를 마련하였다.

  • PDF

A Case Study on Selecting Sites for Wetland Restoration - Focusing on the Research Survey of National Inland Wetlands Monitoring in 2016 - (복원대상습지 선정 사례 연구 - 2016년 전국내륙습지 모니터링 결과를 중심으로 -)

  • Lee, Jung-Hwan;Lee, Chang-Su;Kim, Mi-Jeo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8 no.1
    • /
    • pp.71-81
    • /
    • 2019
  •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selecting sites for wetland restoration projects. To this end, the current list of demaged wetlands was identified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nationwide monitoring project in 2016 targeted at wetlands in inland areas. Then, to determine the necessity of restoration for these demaged sites, the cause of demage was investigated, and their conservation value was examined from an ecological and legal perspective. The 2016 monitoring project identified a total of 20 demaged wetlands, of which one site was deemed to have high conservation value through analysis of its ecological and legal values and on-site re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upport policymakers' decision-making in selecting wetlands for restoration projects since it identifies priority sites among demaged wetlands that require immediate restoration efforts. It should also be pointed out that wetlands in South Korea cannot benefit from legal protection despite their high conservation value unless they have a designated status as protected areas.

Evaluation Criterias of Site and Plant Species for Conservation Priorities in Korea : An Overview (우리나라에서 보전우선순위를 위한 입지 및 식물종 선정의 평가기준 : 개관)

  • Yong-Shik Kim;Michael Maunder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8 no.1
    • /
    • pp.11-26
    • /
    • 1994
  • The criteria which have been used for the assessment of wildlife conservation values and particularly botanical values during the last decade, 1969~1986, were reviewed in order to select an appropriate set of criteria applicable for Korea. Fifteen studies, including studies of particular sites reviews of ecological evaluation are reviewed. Four criteria, rarity, diversity, size & extent and naturalness were used in more than half of these studies reviewed. The sixteen components were arranged with the scale of the sites, in view of the Korean situation. The human Interference, ecological fragility. as well as rarity, etc. were major components to be considered at small scale sites. In the contrary, area, diversity position in ecological and geographical unit, and naturalness, etc. considered the major components at larger scale sites. The components such as uniqueness, typicalness, research and educational, etc. were considered both applicable. Although this criteria should be tested by applications in the field and amended there after, It will be one of the first-step to evaluate of the protected areas, as well as specific plant species in the future.

  • PDF

Estimating the Economic Value of Sindu Coastal Sand Dune (신두해안사구의 경제적 가치 추정)

  • Shin, Young-Chul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4
    • /
    • pp.702-717
    • /
    • 2009
  • This study estimates the willingness-to-pay(WTP) for conserving Sindu coastal sand dune and asset value of Sindu coastal sand dune by means of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 market scenario is designed to elicitate his/her WTP considering use value and nonuse value of Sindu coastal sand dune. The yearly WTP for Sindu coastal sand dune is 3,059 won(95% C.I. 2,591~3,612 won) in the case of a househodl, therefore amounts to 44 billion won(95% C.I. 37~52 billion won) for the whole nation. We estimate the asset value of Sindu coastal sand dune by 7.5% discount rate to be 587 billion won with 95% confidence interval of 497 to 693 billion won. The direct use value which has accounted for 13.4% is 79 billion won(95% C.I. 67~93 billion won), and the indirect use value which has accounted for 30.2% amounts to 177 billion won(95% C.I. 150~209 billion won), and the option value which has accounted for 19.4% is 114 billion won(95% C.I. 97~135 billion won), and the conservation value which has accounted for 37.0% amounts to 217 billion won(95% C.I. 184~256 billion won).

  • PDF

The Create Cultureal art space in the urban regeneration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예술공간 만들기 - 창원 마을흔적보전사업의 환경조형물을 중심으로 -)

  • Min, Seong-Ki;Kim, Su-Gyeong;Han, Cha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105-106
    • /
    • 2017
  • 현대의 도시재생사업은 도시의 기존 모습을 유지하면서도 낙후된 도심 환경을 개선하여 원주민의 재정착률을 높이고 쇠퇴한 구도심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도시재생에서 환경조형물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그것이 놓이는 장소 혹은 공간이 가지는 의미, 공공성 또는 공익성이라는 영역에서 예술적 가치를 창출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마을흔적보전사업의 환경조형물을 '리사이클, 업사이클, 뉴사이클'이라는 3개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를 통해 환경조형물이 예술적 가치뿐만 아니라 마을흔적보전이라는 사회적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담아냄으로서 도시재생이 가지고 있는 목표를 실현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