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전가치평가

Search Result 20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 Beetle (Coleoptera: Carabidae) Community for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in Agricultural Landscape (농업경관에서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딱정벌레 군집 특성 연구)

  • Kang, Bang-Hun;Lee, Joon-Ho;Park, Jong-Ky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3 no.6
    • /
    • pp.545-552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ment of habitat-based conservation strategies of biological diversity in agricultural ecosystem. The carabid beetle assemblages were examined at four kinds of habitats(levee, dike, forest patch remnants and streamside) from three differently stressed areas located in Paltan-myun, Hwaseong city, Korea: agricultural and forest area(site 1), industrial area(site 2), and residential area(site 3). Pitfall trap samplings were carried out 39 times from November 2000 to November 2002. Our study's findings were that the composition of carabid beetle fauna, dominance species, and pattern of carabid beetle assemblage were different among the habitats. The similarity index was highest between two levees in site 2 and 3, and lowest between hillock in site 2 and streamside in site 3, and that among habitats fragmented by road with high traffic was lower than that among any other habitat types. So, we could know that agricultural land use respectively do an important role in diversity conservation and networking. These findings will be used to establish the land use and management plans in the aspects of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ssessing Habitat Quality and Risk of Coastal Areasin Busan (부산 연안역의 서식지 질 및 위험도 평가)

  • Jeong, Sehwa;Sung, Kijune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1 no.2
    • /
    • pp.95-105
    • /
    • 2022
  • Busan, where the coastal ecosystem health is deteriorating due to high development pressure and intensity of use, needs ecosystem management that considers human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together for sustainable use and ecosystem preservation of the coastal areas. In this study, the InVEST model was applied to assess the habitat status of the coastal land and coastal sea to manage the ecosystem based on habitats. As a result of the assessment of the coastal land, the habitat quality of Gadeok-do, Igidae, and Sinseondae, Gijang-gun are high, and Seo-gu, Jung-gu, Dong-gu, and Suyeong-gu are low. In the case of the coastal sea, the habitat risk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low, and some areas of Yeongdo-gu, Saha-gu, Gangseo-gu are high. Therefore, for the sustainable use and preservation of coastal ecosystems, it is necessary to prepare ecosystem-based management measures to improve damaged habitats and reduce threats. In addition, the impact on coastal seas should be fully considered when planning coastal land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InVEST habitat quality model in coastal land show similar tendencies to the biotope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The results of the habitat risk assessment in the coastal sea are expected to be utilized to identify habitats in the coastal sea and management of threat factors.

Conservation Methods and Vascular plants of Oriental Thuja Community in Dodong, Daegu (도동 측백나무군락지의 식물상 및 보전방안)

  • Choi, Byoung-Ki;Lim, Jeong-Cheol;Lee, Chang-W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3
    • /
    • pp.72-83
    • /
    • 2015
  • A plant diversity, which consists of indigenous plant community with Orientla thuja community (Natural monument no. 1) in Dodong, Daegu, is identified and analyzed as ecological characteristic to consider worth plants and vegetation resource of the region. The vascular plants of Thuja orientalis community were listed as 219 taxa (3.7% of all 4,881 taxa of Korean vascular plants); 67 families, 147 genera, 199 species, 16 varieties, and 4 forms. Vulnerable species (VU) and least concerned species (LC) were recorded based on IUCN standard; Koelretueria paniculata (VU), Thuja orientalis (LC), and Exochorda serratifolia (LC). Although the study site is a non-limestone area, a total of 15 taxa of calciphilous plants were identified; Cheilanthes argentea,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Asplenium retamuraria, Thuja orientalis, Spiraea blumei, Smilax sieboldii, etc. A total of 4 taxa endemic plants were identified; Prunus mandshurica for. barbinervis, Lespedeza maximowiczii var. tomentella, Forythia koreana (artificial origin), and Veronica pyrethrina. Among the list, 8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Fallopia dentatoalalta, Rumex crispus, Nasturtium officinale, Bidens frondosa, Erigeron annuus etc. Naturalization rate (NR) was 3.6%, of all 219 taxa of vascular plants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2.2% of all 321 taxa of naturalized plants. Thuja orientalis occupies a lot of indigenous landscape in this study area which is the southern-limited part of a natural distribution where it can survive. The T. orientalis community, where indigenous plants have formed a characterful species composition based on habitat, has been confirmed as a worth national vegetation resource in an indigeous flora. It has been considered of plans for persistent conservation.

The Study on Identifying Key Biodiversity Areas(KBAs) based on the Flora of Demilitarized Zone(DMZ) and Transboundary in Korea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 및 접경지역의 식물상을 기반으로 한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설정방안 연구)

  • Kim, Sang-Jun;Park, Seon-Joo;Shin, Hyun-Ta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24-24
    • /
    • 2019
  • DMZ 및 접경지역은 지난 60여 년간 인간의 간섭을 받지 않아 세계적으로 우수한 생태계의 보고이며, 백두대간, 도서연안과 함께 한반도 3대 핵심생태축의 하나로서 한반도생태계보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지역이다. 이러한 DMZ 및 접경지역에 대하여 국내적 중요성 인식 제고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으로서의 가치인식을 위해 IUCN에서 제시하는 평가기준을 검토하고 이의 기준을 적용하여 DMZ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국제적 가치정도 판단 및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으로서의 보전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첫째, DMZ 일대를 대상으로 서식하는 자생식물의 분포지역을 파악하여 DMZ 및 접경지역의 식물상은 18과 139속 367종 1아종 44변종 10품종 422분류군으로, 총 138과 613속 1,517종 8아종 217변종 58품종으로 총 1,80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대상지의 동부지역에서 가장 많은 1,482분류군, 중부지역은 1,225분류군, 서부지역은 1,080분류군으로 가장 적은수의 식물이 확인되었다. 둘째, DMZ 및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을 통한 DMZ 및 접경지역의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지정기준을 적용하여 개느삼, 금강초롱, 모데미풀 3종을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후보종으로 선정하였다. 후보종별로 분포예측 결과 전체 면적 $5,270.5km^2$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지정을 제안하였다. 셋째, 지정기준을 통하여 선정된 DMZ 및 접경지역에 서식하는 주요 식물에 대한 국제적 가치를 판단하여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을 적용함으로써 효과적인 관리방안으로 투명하고 체계화된 국제적 기준으로 해당 지역 내의 생물종 다양성을 지속가능하게 보호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 설정 및 관리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 할 수 있다.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에 적합한 종을 중심으로 보호구역을 지정하고 국내적으로 중요한 지역적 멸종위기종에 대한 적용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식물다양성이 중요한 지역의 보호를 위한 우선순위 및 구체적 접근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DMZ 및 접경지역의 지속적인 조사를 통하여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기준 적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충분히 수집하고 국내 환경에 부합하는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기준 적용을 통하여 꾸준히 재평가하여 후속연구의 발판을 마련하여야 한다.

  • PDF

Collection and Exhibition of Useful Plant Resources in Myanmar (미얀마 유용식물자원 수집 및 전시 활용)

  • Ahn, TaiHyeon;Goh, YeoBin;Bae, JunKyu;Lee, JeongHo;Lee, Ki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7-47
    • /
    • 2019
  • 미얀마 Indo-Burma 지역은 13,500종의 식물종이 분포하고 있는 생물다양성 핫스팟이다. 북부 산악지역에서 남부의 망그로브 지역에 이르는 다양한 특성의 생태계로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풍부한 생물 다양성은 인간에 의해 인위적인 간섭, 개발, 모노크림 재배와 같은 지속적인 삼림 벌채로 위협 받고 있다. Dprovidedc와 Krupnick (2018년)은 123과 472종의 미얀마 약용식물을 학명, 영명, 미얀마 식물명 그리고 미얀마 현지에서 쓰이고 있는 약용식물의 활용 및 보존 상태를 종합적으로 정리했다. 이 중 약 13%가 보존 상태에 대한 평가를 받았으며 IUCN의 멸종 위기 종 목록(IUCN2017)에 등재되었다. 비록, 전국에 다양한 식물 및 생물 다양성이 분포되어 있지만, 미얀마는 여전히 지속 가능한 관리와 사용을 위한 인적자원과 시설이 부족하다. 국립수목원(KNA)은 2013년부터 미얀마 천연자원환경보전부(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MONREC)와 미얀마 산림과학원(Forest Research Institute, FRI)과 함께 미얀마 보호지역 및 Saggaing 지역 내 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공동 현장조사, 연구 및 출판 등의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국립수목원(KNA)는 약용으로 가치가 있는 미얀마 식물 생체를 수집, 현지외 보전 중이며 이중 65과 326종의 식물 생체를 국립수목원(KNA)에 있는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에 보존과 교육 목적으로 전시 중이다. 이 기증은 미얀마에서 식물생체를 국외로 반출한 첫 번째 사례이며 국립수목원(KNA)은 2008년 독일에서 열대식물을 기증받은 사례 다음으로 두 번째로 외국 정부의 공식적인 대량 식물 도입 사례이다. 도입한 식물 중 Santalum album L. 과 Amorphopallus paeoniifolius (Dennst.) Nicolson. 은 IUCN Red List of Threated Spiences (IUCN2017)에 취약(Vulnerable, VU), 관심필요(Least Concern, LC)로 분류되어 있다. 국립수목원 (KNA)는 2019년 6월 17일 개최된 "2019 아태지역 산림주간 및 28차 아태지역 산림위원회"에 참가하여 미얀마 도입식물 전시회를 개최 하였고, 국내 최초로 Amorphopallus paeoniifolius (Dennst.) Nicolson.의 Leaf Cycle을 타임랩스 촬영하여 국립수목원 웹진(10월 호) 과 YouTube에 연구성과를 홍보하고 있다. 또한 국립수목원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는 2,700여종의 미얀마, 라오스 등 무한한 가치를 지닌 열대식물의 수집 보전으로 기초 응용 연구기반을 구축하여 국민들에게 열대식물의 중요성과 잠재적인 자원가치를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 PDF

Geoheritage Values and Geotourism of the Igidae-Oryukdo Geosites in the Busan National Geopark, Korea (부산국가지질공원 이기대·오륙도 지질명소에 분포하는 지질유산의 가치평가와 이를 활용한 지오투어리즘)

  • Kim, Sunwoong;Kang, Karyoung;Son, Moon;Paik, Insung;Lim, Hyounsoo;Kim, Jinseop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6 no.2
    • /
    • pp.99-112
    • /
    • 2017
  • Geoheritage is designated to preserve geodiversity of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cases. Geotourism is an extensive activity that aims at the understanding of geology and earth's history for the geoheritage and for developing regions through preserving the geodiveristy of geoheritage. Igidae-Oryukdo is geosite of Busan National Geopark and its visitors are expected to grow rapidly. Accordingly, for the effective use of the geosite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eotourism is required. This study suggests that tuffacious sedimentary rocks, hornblende megacrysts-bearing dike, copper mine, marine potholes should designated as the central points for advanced learning stage; volcanic breccia, sea caves, sea cliffs, wavecut platform, tor and islands as the central points for basic learning stage. Based on this central points, this study established concepts for getourism in this study area at basic and expert level for individual and family tourists, and also small or large groups such as school students.

The Yellow Sea Ecoregion Conservation Project : the Present Situation and its Implications (황해생태지역 보전사업 추진현황 및 시사점)

  • Kim, Gwang Tae;Choi, Young Rae;Jang, Ji Young;Kim, Woong-Se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5 no.4
    • /
    • pp.337-348
    • /
    • 2012
  • The Yellow Sea Ecoregion Conservation Project is a joint international project which is carried out under the purposes of conserving the habitats in the Yellow Sea Ecoregion and biodiversity from various threats that damage ecosystems, informing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e Yellow Sea Ecoregion, and promoting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s of Korea, China and Japan. Subsequent to the Yellow Sea Ecoregion Planning Programme which had been performed during the period from 2002 to 2006, the Yellow Sea Ecoregion Support Project has been performed over 7 years in total from 2007 to 2014. Panasonic is sponsoring the financing of the project, and the organizations in charge of the project by country ar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for Korea and World Wide Fund for Nature branches for China and Japan. While the Yellow Sea Ecoregion Planning Programme was focused on the biological assessment and the selection of potential priority area by scientific review, the Yellow Sea Ecoregion Support Project is oriented toward practical activities targeting more diversified stakeholder. Especially, this project plans to support direct conservation activities in the region and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from local residents. The project plan is comprised of 3 phases. During the first period from 2008 to 2009, small grant projects were operated targeting 16 institutions of Korea and China, and for the second period from 2010 to 2012, one place each was selected as demonstration site for habitat conservation in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and supported for three years to introduce the conservation method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the management of marine protected areas, ecosystem-based management and community-based management and simultaneously to develop habitat conservation activities suitable for nation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During the period from 2013 to 2014 which is the last phase, the project plans to distribute the performance of small grant projects and demonstration site activities through a series of forums among stakeholder. Through the activities described above, the recognition of general public on the conservation of the Yellow Sea Ecoregion was changed positively, and community-based management began to be reflected in the policies for the marine protected area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nalysis of Waterfront Utilization Index Using Multi Criteria Decision Making (다기준의사결정을 이용한 친수공간 이용지수 분석)

  • Kim, Byeong-Chan;Kim, Man-Sik;Maeng, B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95-195
    • /
    • 2011
  • 국가하천의 주변지역을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조성 이용하여 난개발을 방지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며, 그에 따른 이익을 하천의 정비 및 관리 등에 활용함으로써 공공복리의 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친수구역활용에 관한 특별법이 곧 시행될 예정이다. 친수는 단순히 하천 보전과 상대되는 수변이용의 측면이 아니라 하천의 경관, 생태계, 물 등 전체적인 하천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활동과 심리적 만족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친수활동 유형을 정립하기 위하여 전문가 및 실무자들의 도움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고, 조사하였다. 또한 평가 항목간의 중요도를 합리적으로 부여하고자 전문가 집단 활용을 통한 다기준의사결정 기법 중 계층분석과정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와 이의 일반적인 형태인 ANP(Analytic Network Process) 기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여 보았다. AHP는 의사결정의 목표 또는 평가기준이 다수이며 복합적인 경우, 다수의 속성들을 계층적으로 분류하여 각 속성의 중요도를 파악함으로써 최적 대안을 선정하는 기법으로 다수의 목표, 다수의 평가기준, 다수의 의사결정주체가 포함되어 있는 의사결정 문제를 계층화하여 해결한다. 그러나 의사결정 문제는 대부분 요소들 간의 수평적 상호작용과 수직종속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순히 계층적 구조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ANP는 AHP 분석을 확장한 개념으로 평가 요소가 계층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각 평가 요소간 네트워크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 해당한다. 즉, 시스템 분석, 통합 및 조정을 위한 방법으로 요소들 간의 비선형 관계를 모델화하는 복잡한 의사결정에 적용이 가능하다. ANP는 AHP의 기본 공리인 독립성이 유지되지 않을 때도 적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 방법이기 때문이다. AHP와 ANP 분석을 위해 평가기준은 하천특성, 생태환경특성, 인문환경특성, 경관, 유지관리 등으로 분류하였으며, 세부평가항목은 하천의 물리 생태학적 특성, 개발여건과 관련된 특성, 경관의 이용가치, 유지관리 용이성 등 20여 개로 나누었다. AHP와 ANP를 이용하여 친수공간 이용지수 가중치를 산정한 결과, 두 기법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ANP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최종 결정의 공정성이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f Index Selection and Application Plan for Environment Friendly Road Construction Plan (친환경적 도로건설계획을 위한 지표 선정 및 적용 방안 연구)

  • Joo, Yongjoon;Sagong, Hee;Choi, Joongyu;Hwang, Giw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6 no.5
    • /
    • pp.354-364
    • /
    • 2017
  • Considerable amount of resources on roads, basic infrastructure, to promote economic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goods is invested. Despite the necessity, its undesirable side effects are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 order to efficiently evaluate these problems more than before, planning indictors for environment-friendly road constructions is proposed in this study. First, we make an investigation into real-life cases where the extracted planning indicators were applied. Second, it is suggested that an alternative assessment method efficaciously evaluate and/or adopt extracted planning indictors on road construction projects. Finally, criteria to determine environmental impacts with respect to planning indicators and apply them into real cases is proposed.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upgrading past pro-environmental indictors for road construction, suggesting reasonable applications of planning indicators, and setting criteria to determine environmental impacts based on planning indicators.

Analyzing Soundness of Paldang Watershed Considering to Water Quantity and Water Quality (수량과 수질 지표를 연계한 팔당유역 건전성 평가)

  • Park, Su Hee;Kim, Da Ye;Maeng, Seu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43-143
    • /
    • 2020
  • 수도권에 용수를 공급하는 팔당유역은 경제, 사회, 환경적으로 매우 중요한 공공의 자산이며, 이러한 자산을 누리는 데에 이어 국민 모두가 공평한 혜택을 받을 필요가 있다. 수량과 수질의 만족도는 곧 지역민들의 복지이며, 복지는 삶의 질을 높여주는 것을 의미한다. 팔당유역에서는 인간의 개발행위로 인해 하천과 생태계의 지속적인 훼손과 방치가 발생하며, 팔당유역에 대한 수도권과 지역주민들의 사회적, 문화적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수자원의 안정적인 확보와 하천의 자연성 회복을 위해 유역 건전성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팔당유역 수량과 수질의 평가지표에 대한 과거 10년 동안의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SPSS를 통해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이용해 가중치를 산정한 후 각 하천에 대한 유역 건전성 지수산정과 등급평가를 하여 표준유역 규모의 하천 변화 정도에 대한 상세평가를 통해 지역별 현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량에 대한 기초자료는 TANK모형을 통해 자연유출량을 산정 후 관측유량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수질에 대한 기초자료는 물환경정보시스템을 통해 수집하였다. 기초자료를 기반으로 왜곡된 자료의 정규성 확보 및 표준화를 수행하고,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후 적합성 검토를 통해 최종지표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지표를 주성분 분석에 의한 가중치, 엔트로피에 의한 가중치를 산정하여 비교 후 최종 가중치를 선정하였다. 유역 건전성의 최종평가를 위해 가중치와 지표를 이용하여 지수산정 및 등급화를 실시하였다. 유역 건전성의 등급화를 통해 연도별 하천환경의 변화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하천의 가치 보전과 개발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하천기본계획 수립 시 기초정보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