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이차

Search Result 1,559,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Analysis of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antancheon Catchment 2018 (2018년 차탄천 유역의 수문학적 특성 분석)

  • Kim, Do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44-348
    • /
    • 2019
  •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70%가 산지이고 하천경사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급하여 홍수 관리에 매우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홍수기간의 집중호우 및 돌발홍수는 인명과 재산의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다. 최근은 기후변화로 인하여 극심한 홍수, 가뭄 등 재해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추세로 기후변화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재해 방재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중 대하천의 경우에는 비교적 수재해 방재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소하천(일부 중하천 포함)의 경우에는 취약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특히 홍수기간(7월~9월)의 인명과 재산의 피해는 주로 소하천 위주로 발생하고 있으며, 사전 사후의 체계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수재해 방재관리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수문자료의 획득에 있으며, 그 이후 해당유역에 적합한 수재해 대응을 위한 체계적인 방법론과 방재시스템 개발 운영이 수반되어야 안전한 방재관리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재해 방재관리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중 소규모 유역 단위를 대상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획득과 축적이 중요하므로 중 소규모 유역 단위의 대표성 있는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차탄천 시험유역(유역면적 $190.64km^2$, 유로경사 0.96%, 경기도 연천군 소재)의 신뢰성 높은 2018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강우특성, 유출특성, 증발산량 등 수문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과거 관측결과와 비교하였다. 강우특성 분석으로는 호우사상 분리, 주요 호우사상 분석,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 시간분포 등이 있다. 2018년은 2017년보다 최대 강우지속기간은 적게, 평균 강우지속기간은 크게, 최대 강우강도는 크게, 평균 강우강도는 적게 나타나는 호우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2018년 지속기간별 최대강우량의 경우 지속기간 1시간까지는 2017년과 유사한 패턴을 보이나 그 이후는 많은 강우량을 보인다. 2018년의 하천유출률은 총강우량 대비 43.3%(장진교, 유역출구)와 70.3% (보막교, 중간소유역)로 2017년의 장진교(53.1%)와 보막교(60.4%)와는 차이를 보인다. 강우-유출특성 분석결과 연간 총강우량의 증가로 산지가 발달한 보막교는 9.9%의 증가가 있었지만 장진교는 오히려 9.8%의 감소가 있었다. 동일한 유역에서의 하천유출량의 차이는 2개 유역간 강우량 차이(96.1mm)와 토지이용(중 하류부농경지 발달)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2018년의 증발산량은 총강우량 대비 장진교(유역출구)는 32.3%로 2017년 장진교의 38.4%보다는 감소한 값을 보이나 2018년의 증발산량은 424.8mm, 2017년은 427.4mm로 양적의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산정된 수문자료는 수재해 방재와 유역의 물순환 과정 규명을 위한 기초자료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므로 지속적인 시험유역의 운영은 매우 필요하다.

  • PDF

웃음 꽃피우는 협회 - 새내기 기자들의 건강세상 엿보기 - 국경을 뛰어넘어 장애여성의 건강을 책임지다

  • An, Gyeong-Eun
    • 건강소식
    • /
    • v.35 no.11
    • /
    • pp.40-41
    • /
    • 2011
  • 어느덧 찬바람에 옷깃이 여미어진다. 아침 저녁 기온 차에 머플러는 필수품이 되었고, 점점 짧아지는 낮 길이는 마음마저 조급하게 만든다. 주변의 산들은 울긋불긋 아름다운 옷을 입고 높게만 보이는 하늘은 푸르지만, 자꾸 마음이 쓸쓸해지는 건 가을의 어쩔 수 없는 복병이 아닐까. 가을이 무르익은 10월의 중턱 한국건강관리협회가 국내를 넘어 세계 인류의 마음을 따스하게 보듬을 행사를 진행했다. 제2회 세계장애여성대회에 참여하여 장애여성을 대상으로 건강체험터를 운영한 것인데, 그 따뜻한 현장을 들여다보자.

  • PDF

계절 및 지역에 따른 참나무의 이소프렌 배출특성

  • 김조천;임용재;김기준;임수길;홍지형;한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32-333
    • /
    • 2003
  • 졸참나무와 상수리나무를 대상으로 계절에 따른 지역(금성산, 지리산 지역)별 이소프렌 배출특성이 비교되었다. 여름철의 지역적 차이는 졸참나무의 경우 다소 약하게 나타났으며, 상수리나무의 경우에는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가을철 졸참나무의 경우에는 금성산 지역이 지리산 지역보다 높은 배출속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지역적 차이가 나타난 것은 성장조건, 기후, 토질 등의 요인이 이소프렌 배출특성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저전압구동 유기트랜지스터를 이용한 화학센서

  • Jeong, Byeong-Ju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10a
    • /
    • pp.15.1-15.1
    • /
    • 2011
  • 유기반도체를 이용한 유기트랜지스터는 플렉시블한 기판에 적용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 가능할 것이라 예측하며, 차세대 전자소자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각기 다른 소자 특성을 갖는 다양한 유기반도체들은 특정화학물질에 다양한 응답특성을 보이며, 이에 따른 특정물질을 구분 가능한 센서어레이 구현이 가능할 것이라 보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여러 유기반도체들의 응답특성과 상관관계를 소개하고, 기존 유기트랜지스터의 문제점이었던 구동전압을 낮추기 위한 신규 유기반도체 합성 및 새로운 소자구조 그리고 그의 화학센서특성을 논의할 것이다.

  • PDF

Design of Container Image Preprocessing And Identifier Recognition System (컨테이너 영상 전처리 및 식별자 인식 시스템의 설계)

  • 박준표;이주표;황대훈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786-791
    • /
    • 2002
  • 오늘날 컨테이너의 과다한 물동량 증가로 인하여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컨테이너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식별자로 컨테이너를 자동 인식하고 그 결과를 항만 물류처리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항만 물류처리 자동화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하여 컨테이너의 인식 처리를 자동화하는데 그 방안으로 컨테이너의 RGB를 이용하여 바탕색과 문자색을 검출하고 바탕색과 문자색의 차를 이용해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RGB 값 중 하나로 영상을 이진화 하였다. 컨테이너의 식별자를 인식하기 위해서 신경망 알고리즘의 하나인 Back-propagation을 적용하여 기존의 식별자 인식 방법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 PDF

Digital Watermarking Using MTWC(Multi-Threshods Wavelet Codec) (MTWO 알고리즘을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킹)

  • 김동희;장기준;남궁재찬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9-12
    • /
    • 2003
  •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의 압축 방식 중 최근 압축률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MTWC 알고리즘의 특성을 이용하여 추출된 중요 계수에만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디지털 영상에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게 워터마크를 삽입하고, 워터마크된 영상과 PN(Pseudo Noise)code와의 계수차를 이용하여, 위터마크를 추출하는 통계학적 접근 방법을 제시하며, 워터마크가 삽입된 영상에 대한 다양한 공격(Attack)등에 대해서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하여 효과적으로 워터마크를 추출할 수 있는 강인함을 실험을 통해 증명해 보였다.

  • PDF

Health Zone_4050 주치의 - 금연 폐암에서 멀어지는 지름길

  • Kim, Gi-Eop
    • 건강소식
    • /
    • v.36 no.2
    • /
    • pp.20-22
    • /
    • 2012
  • 응급실에 30대 젊은 남자가 숨차다고 방문하였다. 흉부방사선 검사에서 검게 보여야 할 오른쪽 폐가 하얗다. 물이 차서 보이는 현상이라 단순하게 폐렴인가? 결핵인가? 정밀검사를 하였다. 흉부컴퓨터 단층촬영, 오른쪽 폐에 덩이가 보이고 물이 차있다.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하고 고인 물을 뽑았다. 핏물이다. 암이 강력히 의심된다. 너무 젊다. 자세한 병력 청취에서 15세부터 흡연을 시작했다고 한다. 보건복지부 중앙 암 등록본부의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2008년 통계에서 평균 수명으로 계산하였을 때 30% 정도는 암이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 중 폐암은 남자에게서 위암 다음으로 많은 빈도를 차지하고, 여자에게는 다섯 번째이다.

  • PDF

Theoretical Analyses of Particle Deposition in a Five-lobe Compartment Human Lung Model (5-엽(葉) 인체 폐 모델에서의 흡입입자 침전해석)

  • 구재학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245-246
    • /
    • 2000
  • 공기중의 오염 입자가 인체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가는 흡입된 입자 (inhaled particles) 중에서 얼마나 많은 양이 폐 (lung)에 침전되는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또한 정상 및 비정상 (diseased) 폐에서, 흡입된 입자의 침전 위치와 침전양 (deposition site and dose)은 입자의 크기와 호흡 양식(breathing pattern)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며, 이런 차이는 흡입오염입자 (inhaled pollutant particles)에 의한 건강 위험도 평가 (health risk assessment) 및 흡입용 약물 (inhaled drug aerosols)의 치료효과(therapeutic effects) 평가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중략)

  • PDF

A study of speaker dependent speech recognition using neural network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화자종속 음성인식 성능에 관한 연구)

  • 윤지원;이종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3.05a
    • /
    • pp.153-156
    • /
    • 2003
  • 본 연구는 화자종속 소어휘 음성인식의 성능을 개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인식에 사용될 음성의 특징을 얻기 위해 Winer 필터와 LPC&Cepstrum을 이용하여 프레임 당 12차 패턴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특징패턴을 인식하는 인식부는 특히 소어휘 음성인식에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기존의 역전파 신경회로망(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에 인식율 개선을 위하여 퍼지추론시스템을 결합한 형태로 구현되었다. 실험결과 신경망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인식율이 향상됨을 연구하였다.

  • PDF

Determination of Source Location using Neural Network in Rock Materials (신경 회로망에 의한 파괴원 위치 결정)

  • 이상은;신재근;임한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nference
    • /
    • 1999.03a
    • /
    • pp.33-40
    • /
    • 1999
  • 암석 및 암반을 대상으로 AE 법에 의해 파괴원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 복잡한 수학적 알고리즘을 필요로 하며, 다수의 연구자에 의해 수많은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으나 각 해법의 특성에 따라 부분적인 오차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재래식 계산법에 의한 파괴원 위치의 결정은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해 다양한 알고리즘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달시간차 및 재료 내부의 속도장을 평가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이것은 암석의 표면에서 발진기와 수신기 사이의 변화로부터 추적가능하며 복잡한 수학적인 알고리즘을 필요로 한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