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완치료

검색결과 417건 처리시간 0.035초

보완치료의 임상시험 (1) - 방법과 전략 - (Clinical Research in Complementary Therapies (1) - Methods and Strategies -)

  • 유화승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01-105
    • /
    • 2008
  • 여기서는 보완대체의학의 임상효능을 평가하기 위한 일반적인 연구원칙들을 제시하였다. 어떻게 우리가 보완대체의학을 평가할 것인가? 그것이 정말 통상의학과 다른가? 우리는 보완대체의학을 통상의학과 비교하여 우리의 연구 질문들을 다르게 제시해야만 하는가? 보완대체의학은 안전하고 경제적인가? 그리고 우리가 이러한 전문적인 이슈들을 어떻게 제시할 것인가? 보완대체의학 연구는 관심을 가진 임상가들에게 지적인 도전을 제시 한다.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것은 가능하긴 하지만 어렵다. 특정 약물치료를 통한 무작위대조 임상시험들은 침술, 동종요법, 수기요법과 같은 유사한 분야의 학문들보다 계획하고 투여하는 것이 훨씬 쉽다. 보완대체의학 분야에서 임상연구의 전술과 전략들은 개념상의 연속되는 도전들을 제시할 것이다.

영유아를 가진 부모들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Study About the Perception of Korean Parents'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for Their Children)

  • 안효진;강미숙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9권5호
    • /
    • pp.159-166
    • /
    • 2012
  • 목표 : 본 연구는 인천 지역에 사는 24~60개월 영유아를 가진 부모들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로, 보완대체요법 활용을 통한 한방과의 연계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방법 : 박지현(2007)이 사용한 질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1) 영유아를 둔 한국의 모든 어머니는 자녀의 건강에 관심이 많았으며, 올바른 생활 습관을 갖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2) 실제 80% 정도의 부모가 자녀에게 보완대체요법을 제공하였으며, 주로 예방차원에서 제공하기 때문에 질병이 발생하기 전에 사용을 하였다. 3) 보완대체요법은 질병이 발생했을 때 사용을 하지만, 보완대체요법의 사용은 주로 병원치료와 병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4) 직접 보완대체요법을 사용한 부모들의 80% 정도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이들 중 81% 정도는 다시 사용을 하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결론 : 영유아 부모들은 건강 증진을 위한 보완대체의학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의학 영역에서 영유아 부모들에게 자녀의 건강을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전문적인 의료지식뿐만 아니라 이들이 한의학에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안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유방암 보완치료 실태조사 (A Survey on Treatment of Breast Cancer Patients with Korean Medicine: Preliminary Research for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 김남훈;강나훈;유은실;박남춘;이진욱;박경선;이진무;이창훈;장준복;장보형;황덕상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65-178
    • /
    • 2018
  • 목 적: 한의사의 유방암 보완치료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임상진료지침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습니다. 방 법: 본 연구는 e mail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유방암 환자 치료 여부, 내원환자들의 병기, 증상, 진단, 치료, 기타 의견 등을 설문하였습니다. 결 과: 322명이 응답하였으며 그 중 84명이 해당 기관에서 유방암 치료를 시행하고 있었습니다. 내원 환자들의 주된 호소는 피로 및 전신 소력감이었고 변증 및 맥진을 주된 진단법으로 한약 및 침뜸을 중심으로 치료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습니다. 유방암의 한의학적 보완치료로서 임상진료지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개발된다면 적극적으로 사용하겠다고 응답하였습니다. 결 론: 유방암 보완치료 실태조사를 통해 임상진료지침에 대한 필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특집 - 당뇨병의 맞춤형 치료법이란?

  • 홍지영
    • 월간당뇨
    • /
    • 통권212호
    • /
    • pp.10-12
    • /
    • 2007
  • 당뇨병 맞춤 치료는 포괄적이고 과학적인 증거에 의해 당뇨병환자에게 각자 맞는 치료 관리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당뇨병 전문의들은 혈당치를 기준으로 환자들의 치료방법을 선택하고 인슐린의 분비상태와 효과에 대한 평가를 하지 않는 기존의 당뇨병 치료 모형을 보완하고, 한국인 당뇨병의 특성에 적합한 제 2형 당뇨병의 치료 모형을 개발하고자 시도해 왔다.

  • PDF

CAM과 아로마테라피에 대한 지식 및 태도분석 (보건계열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Knowledge and Attitude Analysis of CAM and Aromatherapy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Health))

  • 정미라;이경하;박미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31-238
    • /
    • 2018
  • 본 연구는 충청도에 소재한 H 대학의 보건계열학과 학생(528명)을 대상으로 보완대체의학과 아로마테라피에 대한 지식 및 태도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결과 보완대체의학의 치료법, 치료적 장점에는 긍정적 인식의 태도를 보였고 아로마테라피에 대한 치료적 효과에 대한 인식도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아로마테라피 지식수준은 다소 낮은 결과를 보였다. 보건계열학과 학생들에게 있어서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에는 비교적 높은 인식을 보였으나, 아로마테라피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보였다. 따라서 보건계열학과에서 환자 복지와 증상의 경감을 위해서 전문적 지식과 효율적 치료 적용을 위한 지식개발교육 및 다양한 치료법에 대한 임상 실습 프로그램개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보완대체요법의 확대를 위한 대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Awareness of the Alternative Therapy by the Under-graduate Students)

  • 정혜명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7-378
    • /
    • 2016
  • 본 연구는 간편한 자가 치료가 가능한 보완대체요법을 보급을 확대하기 위하여 현대를 살아가는 대학생들 중에서 건강과 관련된 공부를 하고 있는 보건관련 학과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들과 인문계 및 공학부 등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인식에 대해서 분석하고 보완대체요법의 보급 확대를 위한 방법제시를 한다.

  • PDF

노년층의 보완대체요법 활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Awareness and the Utilization about the Alternative Therapy at the Aging)

  • 정혜명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5-37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인구의 노인층의 증가에 인하여 높아진 노인들의 건강에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며 보완대체요법은 오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나 민간 요법으로만 인식되어 활용되고 있는 보완대체요법은 노인병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현재 노인층에서의 보완대체요법의 사용 현황을 분석해서 추후 활용방안을 찾고자 한다.

  • PDF

말기암환자가 보완대체요법을 선택한 이유 (The Reason to Select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 김경운;박진노;이수한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4권1호
    • /
    • pp.34-41
    • /
    • 2011
  • 목적: 말기암환자들이 보완대체요법을 선택하게된 주관적 경험을 파악하여, 대상자 입장에서의 당위성을 이해하고 이용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상들을 이해함으로써 좀 더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중재를 하는데 기여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심층면담한 내용을 Colaizzi(1976)의 방법을 이용하여 귀납적이고 서술적인 기술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말기암환자와 가족들이 보완대체요법을 선택한 4가지 범주는 첫째 현대의학의 한계 인식, 둘째 보완대체요법의 효과에 대한 신뢰, 셋째 가족의 정서적 욕구 충족 넷째, 의사의 부정적인 태도로 인한 불신이었다. 주제모음은 9가지로 '불가능한 완치에 대한 기대', '병원치료에 대한 불확실성', '항암치료의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한 보조적 수단', '증상완화와 생명연장을 위함', '암치료의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 '체험과 정보에 대한 신뢰', '타인의 권유', '가족으로서 도리를 다함', '의사의 부정적 태도에 불만족'이었다. 결론: 암환자의 치료 결정과정에서 대상자와 의사가 바람직한 의사소통과정을 통하여 현대의학 치료에 대한 설명이 충분히 이루어져서 대상자가 일반적인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를 이용하고 과학적인 근거에 바탕을 둔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고 본다.

사망 전 노인들의 보완대체요법 이용수준 및 관련 요인 (Utilization Level and Associated Factor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the Older Population before Death)

  • 조남홍;우은경;이지전;이상욱;조항석;김선현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7권1호
    • /
    • pp.37-48
    • /
    • 2004
  • 목적: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인구 및 비용이 전 세계적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젊은 인구에 비해 노인인구에서 이용량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사망자를 대상으로 사망전 6개월간의 보완대체요법 이용실태를 조사하고자 했다. 방법: 2001년 하반기동안 사망한 후 건강보험에서 장제비를 지급 받은 서울지역 65세 이상 노인 4210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을 성별 연령별로 배열하여 14명씩 총 301군으로 구분하였고, 각 군에서 1명씩 선택하여(총 301명) 사망시 연령, 성별, 사망 원인질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보완대체요법은 심신조정요법, 한의학 관련요법, 한방민간요법, 식이 영양 요법, 수기신체 치료 요법, 약물요법, 에너지 요법으로 총 7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결과: 사망 전 6개월간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한 사망자는 247명으로 전체 대상자의 83.1%였다. 보완대체요법중 특히 식이 영양 요법의 이용률(65.5%)이 가장 높았고 약물요법(29.9%)도 많이 이용하였다. 성별과 사망원인에 따라 이용률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여성(60%)이 남성(40%)보다 높았고, 노인성 질환군(30.8%)이 가장 높고, 암인 군(16.8%)이 가장 낮았다. 보완대체요법의 전체 만족도와 부작용 점수를 보면 6점 만점에 평균 4.25점, 부작용은 평균 5.55점으로 부작용이 거의 없었다. 식이 영양요법의 만족도(평균4.41점)가 가장 높았고 수기신체치료요법(평균 3.38점)이 가장 낮았다. 수기신체치료요법에서 부작용이 가장 없었고(평균 5.88점), 한의학 관련요법의 부작용 점수가 가장 낮았다(평균 5.35점). 또한 연령과 사망원인 질병에 따라 만족도와 부작용 수준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65세 이상 노인의 대다수가 사망전 6개월간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였으며 전체 만족도도 상당히 높고 부작용도 거의 없었다. 현실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0.04{\pm}0.20$ P=0.1519), 우울 정도, 불안 정도, 스트레스 정도는 자가치료 순응도가 좋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아로마 자가 치료군에서 수축기 혈압은 약간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4.53{\pm}14.43mmHg\;vs\;0.0{\pm}7.22mmHg$, P=0.152). 자가 치료군에서 환자들은 두통(20%), 감각이상(6.7%), 오심(6.7%) 등의 부작용을 호소했으나, 이들 모두 일시적인 것으로 자가치료를 중단할 정도는 아니었다. 결론: 유방암 환자들에게 아로마 손 마사지 교육을 시킨 후 자기 스스로 2주간 시행한 결과, 통증강도, 우울 및 불안 정도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임의 유무와 이유에 대해서는, '망설이지 않았다'(34명)가 '망설였다'(6명)보다 높게 나타났다. 사별가족모임에 참석한 후의 소감, 개선사항, 아쉬운 점에 대한 질문에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사별가족에 대한 배려와 관심에 대해 감사한다.'라는 긍정적인 응답이 있었고, '고인에 대한 회상을 할 수 있는 자리여서 좋았다.' '사별가족모임이 일년에 한 번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있었으면 한다.', '한편은 슬프고 한편은 기쁘다.' 등의 의견이 있었다. 사별 후 느끼는 가장 큰 어려움에 대해 참석가족은, '우울감'(10명), '외로움'(7명)의 빈도가 높았고, '그리움'(1명), '경제적/역할상 어려움'(4명), 무응답(6명)으로, '우울감'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참석 가족에서는, 가장 큰 어려움은 '경제적/역할상 어려움'(6명), '외로움'(5명), '우울감'(3명), '후회감'(1명), '고인에 대한 원망감'(1명), '특별히 어려움이 없다'(1명)라고 답하였다. 결론: 호스피스 서비스를

  • PDF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의 초보운동단계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 개발 - 신경학적 음악치료의 기법을 활용하여 (A Study for Developing Music Therapy Activity Program for Development of Rudimentary Movement Phase of Spastic Cerebral Palsied Infant : Applying the techniques of Neurological Music Therapy)

  • 이윤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4권2호
    • /
    • pp.84-105
    • /
    • 2007
  • 뇌성마비는 중추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하여 운동장애 뿐 아니라 지능장애, 언어장애, 경련, 감각장애, 지각장애, 그리고 정서장애와 같은 중복적인 장애를 수반하는 장애이다. 최근 의학의 발달로 인하여 미숙아들의 생존율이 높아지면서 경직형 뇌성마비의 출현율도 높아지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뇌성마비 유아들에게는 생후 1년 사이의 치료적 중재가 특별히 중요하며, 7세 이후의 치료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뇌성마비를 대상으로 하는 조기 중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 운동 영역에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신체재활을 목적으로 접근하는 음악치료 영역인 신경학적 음악치료(NMT)의 기법들을 활용하여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들의 운동발달을 위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반 유아들이 0~2세에 가장 기본적인 운동 기능들을 습득하는 단계인 초보운동단계의 주요 발달과제들을 바탕으로 하고, 여기에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은 크게 안정성, 이동성, 그리고 조작기능의 세 가지 하위 범주로 나누어 구성되었다. 이렇게 구성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은 임상 현장에서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를 대상으로 치료를 진행하고 있는 음악치료사들을 통하여 시행된 후 활동에 대한 타당성과 적용의 효율성을 평가받았다.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의 운동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은 치료활동의 개발, 전문가의 검증, 치료활동의 수정 및 보완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치료활동의 개발을 위하여 문헌조사와 인터뷰를 시행하였고, 전문가의 검증은 실제 임상 현장에서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 혹은 아동을 대상으로 음악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음악치료사 6명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전문가들을 통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 검증에서는 활동의 내용상 타당도 및 실제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살펴보았고, 이를 위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전문가들의 평가를 바탕으로 치료활동의 수정 및 보완작업이 진행되었으며 수정 및 보완의 결과에 대해서는 검증집단을 통하여 재확인과정을 거쳤다.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의 평가 결과는 각 평가 항목별로 평가 값의 평균과 표준편차로 제시하였고, 활동별로 전문가들의 조언과 함께 수정 보완한 내용을 함께 제시하였다. 전문가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은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초보운동단계에서의 발달과제인 안정성, 이동성, 조작기능을 바탕으로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의 운동 발달 특성을 적용한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은 총 38개의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안정성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활동이 14개, 이동성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활동이 10개, 그리고 조작기능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활동이 14개이다. 전체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은 운동발달단계 적합성, 목표-내용 일치도, 적용 대상 적합성, 음악의 적절성, 악기사용의 적절성, 그리고 실제 활용의 유용성이라는 여섯 가지 평가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이것은 본 연구의 결과가 경직형 뇌성마비 유아의 조기 중재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발달 단계별 음악치료활동 프로그램이 부족한 국내의 현실적 요구에 맞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