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안취약점

검색결과 1,619건 처리시간 0.039초

상용 오픈소스 취약점 스캐닝 도구의 성능 시험을 위한 효율적 평가 기준 개발 및 적용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fficient Evaluation Criteria for Performance Testing of Commercial Open Source Vulnerability Scanning Tools)

  • 신강식;정동재;최민지;조호묵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709-722
    • /
    • 2022
  • 최근 "Log4j 보안 취약점 사태" 가 발생함에 따라 오픈소스인 "Log4j"를 활용하는 정보시스템이 취약점에 노출되었다. 이번 사태로 인해 전 세계뿐만 아니라 국내 주요 정부 기관 또는 기업들의 정보시스템에 큰 취약점이 발생하여 오픈소스의 취약점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었다. 오픈소스는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개발하는 현재의 개발 패러다임으로 인해 소프트웨어 보안 취약점이 손쉽게 확산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많아 오픈소스의 안전성 및 신뢰성 확보하기 위해 오픈소스에 대한 취약점 점검이 필요하다. 하지만 오픈소스 취약점 스캐닝 도구는 종류도 많고 지원하는 언어와 기능들이 상이한 다형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존 소프트웨어 평가 기준으로는 평가하기 모호하고 장단점을 평가하기 어려우므로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취약점 분석 도구에 대한 새로운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오픈소스기반의 웹서비스 취약점 진단도구에 관한 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Open Source Analysis Tools in Web Service)

  • 유정석;홍지훈;정준권;정태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75-478
    • /
    • 2014
  • 최근 인터넷이 발전함에 따라 월드와이드웹(World Wide Web) 기반의 웹 서비스가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다. 또한 이 웹 서비스를 바탕으로 다양한 컨텐츠들과 이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도 함께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웹 서비스의 보편화가 증대될수록 이를 악용하려는 사이버 범죄 또한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공격자들이 스마트폰을 대상으로 악성코드를 전파하기 위한 방법으로 웹 서비스를 활용하기 시작하면서 웹 서비스의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웹 서비스 보안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많은 사람들이 무료로 쉽게 웹 서비스 보안취약점을 진단 할 수 있도록 여러 오픈소스 기반의 보안 취약점 진단도구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웹 서비스의 보안약점을 진단하는 도구의 적합성 평가 및 기능 분류가 명확하지 않아서 진단도구를 선택하고 활용함에 있어 어려움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OWASP에서 위험도에 따라 선정한 웹 서비스의 보안 취약점 Top 10 항목과 소프트웨어 보안약점 진단가이드 등을 통해 웹 서비스 보안 취약점을 진단하는 도구에 대한 분석 기준을 제시한다. 이후 오픈소스로 공개된 테스트 기반 취약점 탐지도구와 소스 기반 취약점 진단도구들에 대해 제시한 기준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로 웹 서비스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진단 도구에 대한 분석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웹 서비스의 개발과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공개 정적 분석도구를 활용한 소프트웨어 보안취약성 개선 (Software Security Vulnerability Improvement Using Open Static Analysis Tool)

  • 장영수;정금택;최진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96-799
    • /
    • 2010
  • 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가 증대하고 있다. 반면 응용 소프트웨어의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국가, 기업, 개인 모두에게 정보보호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 되고 있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인 우주, 항공, 원자력 소프트웨어 등 오류 없이 수행되어야 하는 고안전성 소프트웨어의 개발기법은 이제 응용 소프트웨어의 보안강화 활동에 활용 되고 있다. 특히 시큐어 코딩 (Secure Coding)은 방어적 프로그램(Defensive Programming)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소프트웨어의 안전성과 보안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범용 보안 취약가능성 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의 취약 가능성을 분석하고 보안 취약점 유발 명령어를 분류한다. 그 다음에 시큐어 코딩 기법을 적용하여 취약한 코드를 개선하였다. 이러한 개선을 통해 보안 취약성 가능한 코드 부분을 손쉽게 수정하여 소프트웨어 보안을 개선할 수 있다.

검색엔진을 이용한 취약점 분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Vulnerability Scanner using Search Engine)

  • 주복규;민병우;장문석;안창균;양동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9-24
    • /
    • 2009
  • 컴퓨터 사용이 보편화되고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게 되어 보안에 대한 위협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는 사용자가 쉽게 보안 취약점을 점검할 수 있는 보안 스캐너를 개발하였다. 기존의 보안 스캐너는 새로운 취약점이 알려지면 보안 서버에 그 내용을 갱신하고 나서 고객 서버를 점검하는 체제인데 반해, 우리 시스템은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취약점들을 자동으로 모아서 보안 서버에 색인해 두고, 사이트 관리자가 별도의 갱신 없이 보안서버를 이용하여 사이트의 보안 취약점을 점검할 수 있게 해준다.

  • PDF

소프트웨어의 잠재적 오류가능성 및 보안취약점 비교분석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n potential error-possibility and security vulnerability in software)

  • 이성민;오준석;최진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0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7 No.1(D)
    • /
    • pp.106-109
    • /
    • 2010
  • 컴퓨터의 대중화와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해 우리 사회는 컴퓨터와 통신이 없이는 생각조차 할 수 없는 시대에 살고 있으며, 또한 많은 정보시스템들을 일상생활 속에서 접하고 살고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들의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은 물론이고 국가에 이르기까지 그 위험성은 모두 열거할 수 없을 정도이며 그에 따른 정보보호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가 되고 있으며, 어느 시스템도 이러한 정보보호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이러한 보안적 및 오류의 위험은 현재 개발되고 있는 소프트웨어 뿐만 아니라,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시스템도 예외가 될 수 없다. 이러한 보안취약점 및 오류의 위험은 소프트웨어 개발시 방어적 프로그램(Defensive Programming)을 포함하는 시큐어 코딩(Secure Coding)기법을 적용하여 보다 안정적인 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의 잠재적인 오류를 발생할 수 있는 요소와 보안 취약점으로 인하여 생길 수 있는 요소들을 살펴보고 실제 java로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는 시스템들의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였다.

  • PDF

PLC 기반의 제어시스템 취약점 분석 방법

  • 김동욱;민병길;박현동;박상우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26-36
    • /
    • 2015
  •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는 기반시설 운영 현장의 다양한 환경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소규모 산업용 컴퓨터로써, 많은 제어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다. 과거의 PLC가 장치 제어를 위한 목적으로 제한된 필수 프로그램만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최근의 PLC는 ethernet 등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IT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PLC 기반의 제어시스템은 운영자 및 관리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지만 여러 보안 취약점들이 내재되어 있을 수 있다. 취약점들이 공격자에게 노출되어 사이버 위협을 받을 경우, 심각한 보안 사고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취약점들을 찾고 보안 대책을 마련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PLC의 특성 및 운용 환경 등이 IT 장비들과는 상이한 점이 있어 IT 장비들을 위한 취약점 분석 방법을 그대로 PLC에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LC의 특성 및 운용 환경 등을 고려한 PLC 취약점 분석 방법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소스 레벨 리눅스 커널 취약점에 대한 특성 분류 및 상관성 분석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and Correlational Analysis of Source-level Vulnerabilities in Linux Kernel)

  • 고광선;장인숙;강용혁;이진석;엄영익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91-101
    • /
    • 2005
  • 컴퓨터 운영체제가 가지는 취약점을 분석하고 분류하는 연구는 취약점을 이용한 익스플로잇을 방어할 수 있는 직접적인 보안기술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운영체제의 보안성 향상을 위한 보안기술 개발에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최근 리눅스 운영체제에 대한 활용도에 비하여 리눅스 커널이 가지고 있는 취약점에 대한 연구는 몇몇 커뮤니티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단순한 취약점 정보 및 분류기준만 제공되고 있을 뿐, 리눅스 커널이 가지는 근본적인 취약점에 대한 자세한 분석 작업은 수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1999년부터 2004년까지 6년 동안 SecurityFocus 사이트에 공개된 124개의 리눅스 커널 취약점에 대하여 커널 버전별로 몇 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특성 분류 및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리눅스 커널 취약점을 악용한 익스플로잇의 공격 특성을 예측하고 주요 취약점이 커널 내부의 어떤 영역에서 발견되는지를 확인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HTML5 로 구현한 웹 어플리케이션 보안 취약성 개선 (The Soft Security Improvement of HTML5 With WEB Application)

  • 김광수;장영수;최진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14-517
    • /
    • 2014
  • HTML5 는 웹 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차세대 웹 표준 이다. HTML5 는 아직 개발 중에 있으며 2014 년 하반기에 최종표준이 발표 될 것으로 전망 된다. HTML5 는 이전 버전의 HTML 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개발자에게 동영상, 위치정보, 소켓통신 및 다양한 미디어 서비스 을 별도의 플러그인 없이 HTML5 의 확장된 표준 태그로 Dynamic 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HTML5 에 새롭게 추가된 일부 표준 태그 에서 웹 어플리케이션(Web application) 서비스의 데이터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HTML5 로 웹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개발 과정에서 발견된 표준 태그 및 API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고 공격대상이 되는 소스코드 의 취약점을 개선 하였다. 보안에 취약한 소스코드 취약점을 개선하여 외부 공격자의 위협으로 부터 보안 취약점을 예방 할 수 있는 대응방법을 제안한다.

An Vulnerability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for Security in Outdoor Risk Management System based on IoT Technology

  • Jee, Sung-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7호
    • /
    • pp.85-92
    • /
    • 2020
  •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술 발전에 따라서, IoT기술의 적용범위는 실내 환경의 생활 편의성 개선에서 벗어나 실외 환경에서의 발생가능한 위험을 사전에 감지·예방하는 산업안전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IoT서비스 확대는 많은 장점을 제공함에도 데이터 유출과 변조 등의 보안 문제도 함께 발생시키므로 이에 따른 보안 대응전략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외환경에서의 IoT기반 도로건설 위험방지시스템을 연구대상으로 IoT 보안관리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연구대상에 적용한 저전력-광역(LPWA, BLE) 통신프로토콜의 보안취약점을 조사한 결과, 정보보안의 3대 요소인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측면에서 보안취약점을 확인하여 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취약점 별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 구현된 실외환경에서의 IoT기반 도로건설 위험방지시스템 운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 조사·분석과 취약점별 실질적인 보안지침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OLE 원격 접속 기능을 이용한 MS-SQL 패스워드 취약점 점검 기능 설계 (Design of the MS-SQL Password Vulnerability Checking Function Using OLE Remote Connection)

  • 장승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4권3호
    • /
    • pp.97-104
    • /
    • 2015
  • 본 논문은 MS-SQL 데이터베이스의 환경과 OLE 원격 접속 기능, C++ 환경을 바탕으로 MS-SQL 데이터베이스 암호정책과 사용자 계정 패스워드 접속 시도, 패스워드 없는 사용자 계정, 패스워드를 일정 기간 이상 변경하지 않은 경우 등에 대한 점검을 통해서 보안취약점 기능을 설계한다. MS-SQL 데이터베이스와 C++의 연동을 위해서는 OLE DB 기능을 사용한다. OLE DB 연동을 통해 계정마다 암호정책 강제 적용의 유무를 확인하고, 계정별 패스워드 접속 실패 유무, 패스워드 없는 사용자, 패스워드를 일정 기간 이상 변경하지 않은 경우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보안취약점 유무를 판단한다. MS-SQL 데이터베이스 패스워드 기능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기능들을 판단해서 보안취약점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기능을 활용하여 MS-SQL 데이터베이스 보안을 강화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