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안인식

검색결과 1,350건 처리시간 0.03초

바이오 보안토큰을 이용한 프라이버시 보호형 사용자 인증기법 (Privacy Preserving 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Hardware Security Module)

  • 신용녀;전명근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47-355
    • /
    • 2012
  • 바이오 보안토큰은 바이오 인식 센서와 바이오인식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MCU, 보안토큰으로 구성된 USB 형태의 하드웨어 기기로서, 기기 내부에서 바이오인식 센서로 가입자의 바이오인식 정보를 추출하여 보안토큰에 안전하게 저장하며, 사용자 인증시 바이오인식 센서로 부터 취득된 바이오인식 정보와 저장되어 있는 바이오인식 정보를 기기내부 MCU에서 매칭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는 독립된 하드웨어 보안모듈이다. 기존의 보안토큰이 제공하는 개인인증기법이 ID/패스워드에 기반한 방법이므로 이의 유출로 인해 생길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하고, 고의적인 공인인증서의 오용을 막을 수 있도록 높은 수준의 사용자인증기법을 제공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공개키기반구조(PKI: Public Key Infrastructure)를 연동한 바이오보안 토큰의 이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바이오인식 정보를 보호하면서 바이오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보안 수준이 높은 사용자 인증이 가능한 기법을 제시한다.

삼중 보안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도어락 개발 (Development of the Smart Doorlock with Triple Security Function)

  • 문서영;민경원;서재섭;이선우;고윤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15-124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현대 사회에서 도어락의 보안성 취약으로 인한 범죄사건들에 대해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보안능력을 강화한 3중 보안 시스템 스마트 도어락을 연구하였다. 앱 이클립스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제작한 핸드폰 어플을 통해 도어락 ON&OFF시스템과 음성인식기능, 광학식 지문센서를 사용한 지문인식 기능을 최종으로 잠금과 잠금해제가 가능한 삼중 보안 도어락을 실험, 제작하였다. 끝으로, 실험 제작된 3중 도어락에 대한 앱 기반 동작 실험, 음성 인식 동작실험, 실험지문 인식 동작실험에 대한 평가결과를 통해 도어락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바일 메신저 보안인식과 보안의도를 통한 개인정보 보호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성 이론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n privacy protection behavior through mobile messenger security awareness and security intention - Focus on Theory of Self-Determination -)

  • 민경은;김성준;권두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1호
    • /
    • pp.207-233
    • /
    • 2016
  • 최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메신저 산업이 빠른 성장세에 있다. 그리고 단순히 메신저를 공유하던 형태를 넘어 개인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면서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또한 메신저 보안이 개인화되고 지능화된 기능을 통해 더 다양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모바일 메신저 이용자들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이용요인들에 대해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모바일 보안에 대한 보안인식과 보안태도를 통해 개인정보보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인과관계를 실증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간의 본연적인 내재적 동기를 강조한 자기결정성(SDT: Self-Determination Theory) 이론의 주요 변수들을 적용한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일반인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각된 자율성은 보안인식과 보안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유능성은 보안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관계성은 보안인식과 보안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안인식과 보안의도는 개인정보 보호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개인의 메신저의 보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소비자들에게 필요한 보안지침 개발을 위한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PDF

보안카메라에서 소리인식 구현 (Implementation of Sound Recognition for Security Camera)

  • 윤태인;구하늘;김도은;장원석;권순각;권오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91-493
    • /
    • 2012
  • 소리인식이란 우리 귀에 들리는 모든 소리를 받아 들여 소리의 값과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값을 비교하여 인식 결과를 도출해내는 과정을 의미한다. 보안 카메라는 현재 다양한 장소에서 설치되어 있어도 여전히 보안의 사각지대는 존재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여러 방향을 촬영하기 위한 아주 많은 보완 카메라가 설치될 수 밖에 없다. 그렇게 되면 설치비용이 더욱 증가되고, 무수한 카메라는 사람들에게 심적 부담감을 줄 것이다. 본 논문은 보안 카메라에 마이크를 설치하고, 입력되는 소리를 인식하여 발생되는 상황을 판단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보안 카메라의 사각지대를 소리인식으로 해결할 수 있어서 보완 카메라의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 PDF

음성 인식 디지털 도어락 (Digital Doorlock with Voice Recognition)

  • 허경용;장우영;박준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269-27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키패드로만 동작하는 디지털 도어락에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음성 인식 장치를 추가한 음성 인식 디지털 도어락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비밀번호로만 동작하는 도어락은 비밀번호의 분실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보안을 위해서는 화자의 특징을 인식할 수 있는 화자 종속 방식의 음성인식이 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가정집뿐만이 아니라 회사에서 보다 높은 수준의 보안이 필요한 곳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구현한 시스템은 장애인을 위해 음성만으로 동작하는 시스템 등으로 쉽게 변경이 가능하다. 제안한 시스템은 ATmega128을 기반으로 키패드, 텍스트 LCD, 음성인식 모듈을 결합하여 구성하였다.

  • PDF

보안 대책이 지속적 보안 정책 준수에 미치는 영향 (An Understanding of Impact of Security Countermeasures on Persistent Policy Compliance)

  • 박철주;임명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4호
    • /
    • pp.23-3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원들의 지속적인 정보보안 준수행위를 유도할 있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연구에서 제시된 보안 대책인 보안인식교육과 보안정책을 선행요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보안인식교육은 보안 정책과 정보보안 정책의 지속적 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보안 정책의 포괄성은 지속적 보안 정책준수 태도와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보안 정책의 간결성은 태도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시설보안 향상방안 (An Improvement of Security for the National Assembly)

  • 정태황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90-299
    • /
    • 2013
  • 본 연구는 국회의사당의 시설을 이용하는 인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국회의사당의 시설보안 향상방안을 제시하였다. 국회의사당 시설을 이용하는 많은 대상자들은 본인의 보안의식수준이 보통이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국회의사당이 국가중요시설 가급이라는 사실은 알고 있지만 국가중요시설 가급이 어떤 시설인지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의사당의 시설보안설계가 부족하고 현재보다 더 강화된 출입통제 조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스피드게이트 설치 및 장애물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출입통제강화 조치로 인한 불편함을 감수하겠다는 의견은 출입통제장치 설치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보안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비교적 높지만 현재 적절한 보안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현실적이고 적절한 보안교육방법을 찾고 이를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실질적인 교육을 위해 국회시설별 이용자의 보안인식을 고려하고, 교육여건을 감안하여 보안교육역량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 기종 네트워크에서 퍼지 알고리즘과 MAUT에 기반을 둔 적응적 보안 관리 모델 (Adaptive Security Management Model based on Fuzzy Algorithm and MAUT in the Heterogeneous Networks)

  • 양석환;정목동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7권1호
    • /
    • pp.104-115
    • /
    • 2010
  • 유비쿼터스 기술의 보편화에 따라 유비쿼터스 환경의 보안 취약성을 해결하기 위한 보안기술의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대다수 보안 시스템은 고정된 규칙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서, 유비쿼터스 기반 사용자의 다양한 상황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상황인식 보안 연구는 ACL (Access Control List) 혹은 RBAC (Role-Based Access Control) 계열의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으나 보안정책의 관리에 대한 오버헤드가 크고, 또한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 대한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퍼지 알고리즘과 MAUT를 이용하여 다양한 상황을 인식하고 적절한 보안기능을 제공하는 상황인식 보안 서비스를 제안한다.

아두이노를 이용한 다중 레벨 인증 시스템 (Multi-level Certification System Using Arduino)

  • 유호원;김용승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2호
    • /
    • pp.87-88
    • /
    • 2015
  • 최근 IT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보안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Pin Number, Password, Pattern Recognition 등 인증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위와 같은 One-factor 인증 시스템에는 "Shoulder Attack"과 같은 사용자 레벨에서의 보안공격에 취약하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Google E-mail' 등 일부 강화된 보안이 필요한 시스템에서는 추가 모듈을 이용한 Two-factor 인증 시스템을 적용하여 보안을 제공하고 있지만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복잡성으로 인해 고도의 보안 기술의 적용을 받지 못하는 등 많은 제약사항이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 와 같은 One-factor 시스템의 취약점을 파악하여 그에 따라 보안 인증 절차를 향상시키기 위해 암호화와 인증 방법으로 지문인식을 사용하여 Multi-level 인증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Send 디비이스를 구현한 아두이노를 통해 M2M 서비스를 수행하며, 암호와 지문 정보를 아두이노 디바이스에 저장하여 두 가지의 신뢰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인증하는 시스템이다. 아두이노를 이용하여 디바이스 분리를 통한 사용자 레벨에서의 보안을 강하고 지문인식을 통해 불편함과 복잡성을 간소화하였다.

  • PDF

상황인식 보안 서비스를 이용한 개선된 접근제어 (Improved Access Control using Context-Aware Security Service)

  • 양석환;정목동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33-142
    • /
    • 2010
  • 유비쿼터스 기술의 보편화에 따라 유비쿼터스 환경의 보안 취약성을 해결하기 위한 보안기술의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대다수 보안 시스템은 고정된 규칙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서, 유비쿼터스 기반 사용자의 다양한 상황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상황인식 보안 연구는 ACL (Access Control List) 혹은 RBAC (Role-Based Access Control) 계열의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으나 보안정책의 관리에 대한 오버헤드가 크고, 또한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 대한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FCM (Fuzzy C-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과 퍼지 결정트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상황을 인식하고 적절한 보안기능을 제공하는 상황인식 보안 서비스를 제안한다. 제안 모델은 기존의 RBAC 계열의 시스템이 가진 고정 규칙에 따른 문제나 충돌 문제, 관리상의 오버헤드를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안 모델은 헬쓰케어 시스템이나 응급구호 시스템 등 상황 인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상황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응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