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안신뢰

Search Result 1,27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신뢰성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 남택용;김숙연;이승민;지저훈;손승원
    • Review of KIISC
    • /
    • v.13 no.1
    • /
    • pp.1-12
    • /
    • 2003
  •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NG-NSS: Next Generation Network Security System)은 현재 네트워크 보안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각 지역망에 대한 보호뿐만 아니라 공중망에 대한 총체적인 보호를 목표로 한다. 본 고에서는 신뢰성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NG-NSS)을 정의하고 그 특성과 주요 기술을 제시한다. 신뢰성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이란 공격, 취약성, 침입에도 불구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신뢰성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은 자율적 보호, 자체 복원과 능동적인 대응 특성을 가지며, 네트워크의 보안성, 안정성, 견고성 및 생존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스템 및 네트워크 보안기술과 네트워킹 기술을 통합하여 제공. 한다. 이러한 신뢰성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은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등과 같은 공중망이나 증권, 은행, 보험 업계의 전산망 뿐만 아니라, 국방망, 행정전산망과 같은 국가의 중요 네트워크에 적용되어 신뢰성있는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Trends in Trustworthy Communication for the Next-Generation (차세대 신뢰통신 연구동향)

  • Kim, T.H.;Hong, J.H.;Jung, H.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0 no.4
    • /
    • pp.129-139
    • /
    • 2015
  • 현재의 인터넷은 40여 년 전에 신뢰할 수 있는 호스트 간의 통신을 기반으로 설계되어 식별성(Identity)과 기밀성(Privacy)등의 보안성에 대한 특별한 요구사항이 없었다. 추후 인터넷이 전 세계적으로 확장함에 따라 신뢰할 수 없는 호스트가 통신에 참여하게 되었고 이에 대한 보안 요구사항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인터넷의 보안 기술은 키(Key)에 매우 의존적으로 발전하여 현재 모든 인증 관련 기술과 보안 기술들은 공개키 기반 구조(Public Key Infrastructure: PKI)와 같이 키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동향은 미래인터넷의 보안 연구에서도 여전히 반영되어 미국에서 진행 중인 eXpressive Internet Architecture(XIA)나 다른 미래 인터넷 프로젝트에서도 키 기반의 보안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통신을 의심하고 이를 감시하기 위한 기존의 인터넷 보안 기술과 달리 미래인터넷 보안 연구는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네트워크에 대한 공격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신뢰통신(Trustworthy communication)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등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차세대 보안연구 분야인 신뢰통신의 연구동향과 성과를 소개하고 장단점을 분석한다. 특히 미래인터넷의 신뢰통신 연구 중 대중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공개키를 이용한 자가인증(Self-certifying)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공개키 검증 시스템 연구 및 신뢰경로 구축 연구를 중심으로 미래인터넷의 신뢰통신 연구가 진행된 과정을 중점적으로 소개한다.

  • PDF

모바일 기기의 신뢰연산을 위한 디버깅 기술 활용

  • Seungkyun Han;Jinsoo Jang
    • Review of KIISC
    • /
    • v.33 no.5
    • /
    • pp.25-38
    • /
    • 2023
  • 중요 데이터와 서비스를 격리하여 보호하기 위한 신뢰연산기술이 모바일 기기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신뢰연산기술은 보통 하드웨어 기반 접근제어를 통해 메모리, 레지스터, 캐시 등의 하드웨어 자원을 공격자로부터 격리하는 신뢰실행영역을 시스템 내에 생성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보호 대상 소프트웨어에 악용 가능한 취약점이 존재할 경우 그 보안성이 파훼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실행영역 내에도 소프트웨어에 대한 공격 효율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보안 기술이 적용되어야 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에 주로 적용된 ARM 아키텍처에서도 포인터 인증, 메모리 태깅과 같은 다양한 하드웨어 기반 보안기술들이 정의되고 있으며 최신 고사양 모바일 디바이스를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키텍처 버전에 따라 가용한 하드웨어 보안 기술이 상이하기 때문에 보안기술의 범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 또한 중요하게 연구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모바일 신뢰연산기술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범용 보안 기술들에 대해 소개한다. 특히 유저서비스, 운영체제, 하이퍼바이저의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안된 디버깅 와치포인트 기반 보안 기술들에 대해 분석하고 그 한계와 타 아키텍처 확장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한다.

사이버 보안 관점에서의 전력시스템 신뢰도 기준 수립을 위한 NERC 규정 분석 및 국내 적용방안 연구

  • Kang, Dong Joo;Kim, Huy Kang
    • Review of KIISC
    • /
    • v.25 no.5
    • /
    • pp.18-25
    • /
    • 2015
  • 전력시스템은 설비계획 및 운영상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신뢰도 기준을 수립 적용하고 있다. 최근에 전력산업 및 스마트그리드에서의 사이버 보안이슈가 부각되면서, 신뢰도 기준에도 사이버 보안 관련 규정을 수립하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에 있다. 미국 전력산업의 경우, NERC라는 규제기관을 통해 사이버 보안과 관련한 신뢰도 기준들을 CIP(Critical Infrastructure Protection) 차원에서 수립하였으며, 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아직까지 사이버 보안 관련 신뢰도 기준이 구체적으로 수립되지 않고 있으며, 이를 보강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전력시스템에서의 사이버보안 이슈는 이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SCADA 시스템 및 기타 정보망 차원에서의 잠재적 위협과 더불어, 해당 정보인프라가 전력시스템과 상호작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복합적인 효과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NERC 규정과 선행 연구사례들을 참고하여 국내적용을 위한 사이버 보안 신뢰도 기준수립에 대한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Impacts of Success Factors of Information System on Trust of Security of Casino Information System and Job Satisfaction (정보시스템 성공요인이 카지노정보시스템의 보안신뢰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Lee, Dae-Kun;Kim, Yong-J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10
    • /
    • pp.81-98
    • /
    • 2015
  • This study explores performance factors of a casino information system for foreigners, empirically examines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business performances through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and suggests a plan to develop such a information system. We found that information quality positively impacted on perception of information security, but negatively on job satisfaction; system quality positively did on security reliability, but negatively on job satisfaction; service quality positively did on trust in information 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lastly security reliability positively did on job satisfaction. We found that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would affect perceived information security and job satisfaction.

A Study on the Effect of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and Crisis Management on Information Security Trust (정보보안 컴플라이언스와 위기대응이 정보보안 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Yoon, Il-han;Kwon, Sun-dong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7 no.1
    • /
    • pp.141-169
    • /
    • 2015
  • Electronic financial accidents are constantly happening and these accidents are taking place by a combination of several causes such as technique, human, and structure. Among electronic financial accidents, personal information disclosure is most frequently happening and becomes big problems, because secondary damage like voice phishing causes great loss to society. This research model is that financial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affects the crisis response of financial institutions and financial authorities and these crisis responses affect financial information security trust. Research target is people who experienced the disclosure of their own financial information. For empirical verification,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total 10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results of data analysis, all hypotheses were accepted. First, financial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influenced the crisis response of financial institutions and authorities. Second, the crisis response of financial institutions and authorities affect financial information security trust. Third, at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the importance of personal financial information moderated the effect of the crisis response of financial institutions on financial information security trust. And the disclosure level of personal financial information moderated the effect of the crisis response of financial authorities on financial information security trust.

Impacts of Success Factors of Information System on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Security Reliability of Casino Information System and Job Satisfaction (정보시스템 성공요인이 카지노정보시스템의 보안신뢰와 직무만족을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LEE, Dae Kun;HWANG, Chan Gy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4 no.9
    • /
    • pp.181-198
    • /
    • 2016
  • This study explored the performance factors of casino information systems for foreigners, empirically examined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s through organization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and suggested a direction to enhance the casino information system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ly, information quality impacted positively on security reliability and job satisfaction. Secondly, system quality impacted positively on security reliability and job satisfaction. Thirdly, service quality impacted positively on security reliability and job satisfaction. Fourthly, security reliability impacted positively on job satisfaction through security reliability. Lastly, security reliability and job satisfaction impacted positively on business performance. This research must be continued by expanding upon the variables of this research study, and there is a need for follow up research on methods that can analyze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casino information systems from a diverse set of approaches and also research that conducts an analysis on systems that are implemented to prevent tax evasion.

A Study on the Remote Authentication Method between IoT Devices using a Trusted Security Module (신뢰 보안 모듈을 이용한 IoT 기기 간 원격 인증 방법에 관한 연구)

  • Han, Jin-Hee;Jeon, Yo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587-590
    • /
    • 2015
  • IoT 환경에서 서로 다른 사양을 갖는 기기 간 통신에서의 보안 취약성,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데이터 유출, 인가 받지 않은 기기나 사용자로 인한 기기 위 변조, 기기 오작동 등의 보안 위협 발생 가능성이 증가할 것이라는 예측과 더불어 다양한 보안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보안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뢰 보안 모듈과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한 기기 간 원격 인증 및 기기 관리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수 많은 기기가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운용되는 IoT 환경에서 신뢰 보안 모듈을 활용한 IoT 기기 간 원격 인증, 기기 보안 업데이트 및 안전한 기기 관리 기능 등을 통해 보다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IoT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짙 수 있을 것이다.

Comparison of Corporate Security Control Level with Social Trust Index (사회 신뢰수준에 따른 기업의 보안통제 수준 비교)

  • Na, Husung;Lee, Kyung-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7 no.3
    • /
    • pp.673-685
    • /
    • 2017
  • STI(Social Trust Index) indicates levels of trustworthiness, honesty and reliability among people in a society. Since the STI varies in countries, security control on cyber space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TI so that companies can protect their assets efficiently and effectively. We compare STIs between Korea and United States using the Diamond Model and investigate how the STIs affect corporate security controls in those two countries. We finally present a formula us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measure levels of corporate security controls in different countries.

Drivers for Trust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on OTP: Perceived Security, Security Awareness, and User Experience (OTP에 대한 신뢰 및 재사용의도의 결정요인: 인지된 보안성, 보안의식 및 사용자경험을 중심으로)

  • Yun, Hae-Jung;Jang, Jae-Bin;Lee, Choong-C.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12
    • /
    • pp.163-173
    • /
    • 2010
  • PKI(Public Key Infrastructure)-based information certification technology has some limitations to be universally applied to mobile banking services, using smart phones, since PKI is dependent on the specific kind of web browser, Internet Explorer. OTP(One Time Password) is considered to be a substitute or complementary service of PKI, but it still shows low acceptance rate.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analyze why OTP has not been very popular, and provide useful implications of making OTP more extensively and frequently used in the mobile environment. Perceived security of OTP was set as a higher-order construct of integrity, confidentiality, authentication, and non-repudiation. Research findings show that security awareness and perceived security of OTP is positively associa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ecurity and trust on OT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rust is positively related to intention to use OTP continuous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