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보리수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9초

식물자원의 Prolyl Endopeptidase 저해활성 탐색 (Inhibitory Activity of Plant Extracts against Prolyl Endopeptidase)

  • 김금숙;이승은;이희주;김이민;전소영;박춘근;성낙술;송경식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9
    • /
    • 2004
  • 200종의 식물추출물을 대상으로 PEP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81종의 식물추출물은 $10{\sim}30%$ 범위의 저해율을, 28종의 식물추출물은 10%이하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총 200종의 식물추출물 중 약 55% 정도의 식물추출물이 30%이하의 낮은 PEP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Prunus mume (매화나무) 잎 (95.3%), 노루발과 (Pyrolaceae)의 Pyrola japonica (노루발) 잎과 줄기 (93.2%), 물레나물과 (Hypericaseae)의 Hypericum ascyron (물레나물) 지상부 (90.2%), 범의귀과(Saxifragaceae)의 Astilbe chinensis var. typica (노루오줌) 지상부 (90.1%), 보리수나무과 (Elaeagnaceae)의 Elaeagnus umbellata (보리수나무) 잎과 줄기 (90.1%)등 5종의 추출물들이 5 ppm에서 PEP에 대하여 90% 이상의 강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갈매보리수나무 종자의 온도 및 여러 가지 전처리에 따른 발아반응 (Effect of Temperature and Various Pre-treatments on Germination of Hippophae rhamnoides Seeds)

  • 최충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2-141
    • /
    • 2012
  • 본 연구는 기능성 작물, 사방용 수종, 토양개량 등 활용성이 뛰어난 갈매보리수나무의 유용 유전자원의 장기보존 및 실생번식에 도움을 주고자 종자의 발아 온도조건 및 전처리에 대한 발아특성을 구명하고자 실시되었다. 갈매보리수나무 종자는 $10{\sim}35^{\circ}C$의 온도조건에 치상한 결과, 15, $20^{\circ}C$에서 발아율이 가장 높았으며, 평균발아일수, 발아속도 및 발아치는 $25^{\circ}C$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주요 발아온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2차 및 선형 회귀분석모델을 이용하였는데, 발아율을 이용한 2차 회귀분석 모델에서는 기준온도 $0.6^{\circ}C$, 최대온도 $36.4^{\circ}C$, 적정온도 $18.5^{\circ}C$로 나타났으며, 발아가능 온도범위는 $35.8^{\circ}C$이었다. 발아속도를 이용한 선형 회귀분석모델에서는 기준온도 $8.3^{\circ}C$, 최대온도 $35.4^{\circ}C$, 적정온도 $25.3^{\circ}C$로 나타났으며, 발아가능 온도범위는 $27.2^{\circ}C$로 분석모델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갈매보리수나무 종자를 생리적 처리 방법인 예냉, 층적 및 priming을 이용하여 전처리한 후 발아특성을 조사한 결과, 발아율에서는 $CaCl_2$ 300, 400 mM priming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평균발아일수는 층적 6, 8주 처리구에서 가장 짧게 나타났으나 대조구 보다 발아율이 낮은 것으로 보아 발아일수의 단축 보다는 발아의 종기 종료로 판단되었다. 발아속도 및 발아치의 경우 예냉 1, 2주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아율 또한 $CaCl_2$ 300, 400 mM 처리구에 이어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유묘 생산시 양적 질적 측면을 고려했을 때 가장 적정한 조건으로 판단 되었다.

한국산 보리수나무속 식물의 분포 및 생육지 토양 특성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Elaeagnus Plants in Korea)

  • You, Young-Han;Kim, Kyung-Bum;An, Chung-Sun;Kim, Joon-Ho;Song, Seung-Dal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2호
    • /
    • pp.159-170
    • /
    • 1994
  •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soil characteristics of Korean Elaeagnus plants were investigated by literatures, field survey and soil analysis. Deciduous E. umbellata was distributed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western and southern islands. Distribution area of evergreen Elaeagnus plants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E. macrophylla and E. glabra belonged to group l occurring in the southern, western and eastern islands; E. submacrophylla to group 2 occurring in the southern and western islands; E. maritima and E. ankaii to group 3 in the southern islands only. Deciduous E. umbellata appeared euryeciously from poor soil to rich one, whereas evergreen Elaegnus plants appeared stenoeciously in haline soil near coast.

  • PDF

민간약 보리수나무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the Korean Folk Medicine 'BoRiSuNaMu')

  • 이창훈;배지영;박종희
    • 생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5
    • /
    • 2011
  • Korean folk medicine 'BoRiSuNaMu' has been used mainly to cure apepsia and cough. With regard to the botanical origin of BoRiSuNaMu, it has been considered to be Elaeagnus species of Elaeagnaceae, but there was no pharmacognostical conformation on it.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BoRiSuNaMu',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branches of Elaeagnus species growing wild in Korea, Elaeagnus glabra, E. macrophylla, E. multiflora, E. submacrophylla, E. umbellata and E. umbellata var. coreana were studied. As a result, it was clarified that 'BoRiSuNaMu' was the branches of Elaeagnus umbellata.

천연 민간 생약으로부터 항암물질의 분리동정 및 그 작용기전에 관한 연구

  • 정해영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49-49
    • /
    • 1993
  • 간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효과를 민간생약을 대상으로 screening한 결과, 덩굴차, 해당화, 보리수나무, 인진호가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 외 죽역, 엉겅퀴, 등나무흑, 비파등도 중정도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활성성분을 규명할 목적으로 각 분획별로 활성을 검토해 보았다. 인진호는 CHCl$_3$ Fr. 및 EtoAc Fr.이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그들은 모두 용량의존적으로 세포독작용을 나타내었으며, CHCl$_3$ Fr.이 더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등나무혹은 CHCl$_3$ Fr 및 EtoAc Fr.이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EtoAc Fr.이 용량의존적으로 세포독작용을 나타내었다. 비파는 Hexane Fr 및 CHCl$_3$ Fr.에서 강한 활성이 있었고, 그들은 용량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며, CHCl$_3$ Fr.에서 더 강한 활성이 인정되었다. 그리고 비파에서 분리된 ursolic acid는 6-100$\mu\textrm{g}$/m1에서 용량의존적으로 간암세포 독성작용을 나타내었다.

  • PDF

지리산의 균류의 발생분포에 관한 연구(I) (I. 균류의 미기록종을 중심으로)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1999년도 춘계임시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58-63
    • /
    • 1999
  • 1996년 4월 1일 부터 1998년 3월 30일 까지 지리산 국립공원에서 많은 균류를 채집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한구산 미기록종으로 확인된 것은 진균문에서는 줄솔밭버섯(Omphalina Ericetorum), 라일락끈적버섯(Cortinariu straganus), 이파리무당버섯(Russula polyphylla), 계단겨우살이버섯아재비(Col-tricia montagnei var. montagnei), 적갈색 꾀꼬리버섯(cantharellus Ferruginascens),머리붉은목이(Dacrymyces Capitata), 원시주발버섯(Arachnopeziza nivea), 꼬마털컵버섯(Dasyschyphus Pygmeaus). 가는털컵버섯(Dasyschyphus tenuissimus), 과립알보리수버섯아재비(Nectria punicea var. punicea)을 비롯하여 10종을 확인하였고 변형균문엣 아재비털먼지(Trichia affinis), 청황색자루먼지(physarum viride var. aurant-ium)을 비롯하여 2종을 확인하였으며 총 12종이 한국산 미기록 종으로 확인되었다.

  • PDF

보리수나무 뿌리혹으로부터 Frankia EuIK1 공생균주의 분리 (Isolation of Symbiotic Frankia EuIK1 Strain from Root Nodule of Elaeagnus umbellata)

  • 김성천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6권2호
    • /
    • pp.177-182
    • /
    • 1993
  • The root nodules of Elaeagnus umbellata were coralloid-shape due to repeated dichotomous branching of nodule meristem. The filamentous endophyte with vesicle cluster ranging from 30 ${\mu}{\textrm}{m}$ to 60 ${\mu}{\textrm}{m}$ in diameter was present only in the cortical cells. The isolated endophytes in vitro culture showed typical Frankia morphology, consisting of highly branched hyphae ranging from 0.8 ${\mu}{\textrm}{m}$ to 1.0 ${\mu}{\textrm}{m}$ in diameter, terminal and intrahyphal sporangia varing in shape and size up to 60 ${\mu}{\textrm}{m}$ in length and laminated vesicles. Its infectivity and effectivity were confirmed by induction of nitrogen-fixing root nodules on the inoculated seedlings of two Elaeagnus species. Consequently, the isolate was confirmed as a true symbiont of Elaeagnus umbellata root nodule and named Frankia EuIK1.

  • PDF

보리수나무 유식물의 생장과 질소고정 활성에 대한 환경요인의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Growth and Nitrogen Fixation Activity of Autumn Olive (Elaeognus umbellata) Seedlings)

  • 송승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3호
    • /
    • pp.387-394
    • /
    • 1994
  • 보리수나무(Elaeagus umbellata Thunb.) 유식물의 생육과정에서 근류 형성 및 질소고정 활성에 대한 중요 요인으로서 광도, 온도, 질소화합물, 수분 스트레스 등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유식물의 상대생장률과 T/R비는 각각 초기의 $1.60%{\cdot}d^{-1}$와 1.12에서 근류 형성이 촉진된 후기에는 $3.75%{\cdot}d^{-1}$와 2.31로 증가하였다. 질소고정의 비활성은 근류 형성 초기에 $72.5\;\mu\textrm{M}\;C_2H_4{\cdot}g\;fr\;wt\;nodule^{-1}{\cdot}h^{-1}$로서 최대치를 나타낸 후 점차 감소하였다. 상대조도 20-25. 10-15 및 4-6% 처리구의 질소고정 활성은 대조구에 대해 각각 41, 54 및 71%의 감소를 보였다. 근류를 15, 20, 25 및 $30^{\circ}C$에서 배양할 때 활성은 각각 5.4, 24.7, 51.6 및 $58.5\;\mu\textrm{M}\;C_2H_4{\cdot}g\;fr\;wt\;nodule^{-1}{\cdot}h^{-1}$로 변하였다. 저온($15^{\circ}C$)의 전처리 후 $30^{\circ}C$로 옮겼을 때 근류 활성($66.5\;\mu\textrm{M}\;C_2H_4{\cdot}g\;fr\;wt\;nodule^{-1}{\cdot}h^{-1}$)은 고온($35^{\circ}C$) 전처리에 비해 촉진되었다. 근류의 활성은 산소분압에 비례하여 16 kPa 이상에서 포화되었고, 근류를 뿌리에서 떼어내거나 절단하면 92%와 43%로 활성이 억제되었다. pH 5.5, 6.5 및 8.0에서 생육된 초기 근류의 상대활성은 각각 89, 100 및 40%였으며, 1 및 3 mM의 $NO_3\;-N와\;{NH_4}^{+}-N$에서 생육된 초기 근류는 각각 6.1%와 68.50%의 상대활성을 보였다. 수분 공급량 20, 50 및 100mL에 의한 근류의 형성과 비활성은 각각 35, 120 및 8 mg.plant-1와 33.6, 58.4 및 $8.4\;\mu\textrm{M}\;C_2H_4{\cdot}g\;fr\;wt\;nodule^{-1}{\cdot}h^{-1}$였다. 식물체에 수분공급을 중단하였을 때 5일 후에 일시 위조가 나타났으며, 식물체의 함수량 및 증산량은 각각 90 및 53% 감소되었으나, 근류 활성은 완전히 소실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