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건 의료

Search Result 3,71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의료비 절감을 위한 일차의료 활성화 방안

  • Choe, Yo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91-116
    • /
    • 2011
  • 이 글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일차의료 활성화 방안 논의의 배경으로"왜 다시 일차의료인가?"란 질문에 대한 답을 몇 갈래로 제시한다. 이어서 이 발표의 핵심 내용인 일차의료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이 글을 쓰면서 여러 문헌을 참고했으나 일차의료 활성화 방안의 경우 필자가 공동연구자로 참여한 "21세기 보건의료 체계 발전 방향 연구(권순만 등, 2010)"의 주요 내용을 공동 연구자들의 양해 하에 거의 그대로 인용하였음을 미리 밝혀 둔다.

  • PDF

Utilization pattern of health care resources of resident in a designated rural area (일부 농촌 지역주민의 보건의료자원 이용양상)

  • Kim, Jin-Soo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2 no.2
    • /
    • pp.253-263
    • /
    • 1997
  • 농촌지역은 도시지역에 비하여 의료자원의 부족으로 보건의료자원의 이용 접근성이 낮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농촌지역주민의 질병이환과 이환시 보건의료자원의 이용양상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방법은 포천군 주민의 보건의료자원의 이용과 치료원의 이용 양상을 분석할 목적으로 1995년 8월 4일~20일까지 1,200가구를 대상으로 가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가구수는 1,019가구였으며 훈련받은 조사원에 의하여 조사되었으며 경기도 포천군 지역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및 간호대학의 연구사업지역으로 본 분석 자료는 연세대학교 연구자료의 일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인구분포는 남자가 49.9%, 여자가 50.1%이고 연령별 분포는 60세 이상이 16.5%로써 전국의 노인인구 비율보다 높았다. 교육상태는 13년 이상 교육이수율이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으나 전체 조사 대상 인구는 교육수준이 높았다. 가족 형태는 핵가족이 70.9%로써 농촌지역임에도 매우 높았다. 지난 15일간의 이환상태를 조사한 결과 급성이환율은 5.4%(54/1,000)이며 3개월 이상 만성이환율은 130/1,000으로 나타났다. 급성이환시 증상별 분포는 호흡기계질환이 36.4%, 소화기계가 20.9%, 여러 가지 복합 증상이 33.0%을 나타낸 반면 만성이환율은 관절염 및 류마티즘이 21.2%, 기타 골격계가 12.6%로서 높았다. 급성 이환시 의료이용양상은 포천군관내의 의료기관이용이 62.6%, 약국이용이 15.2%, 보건소 이용이 4.0%였으며 의료기관이 주요 이용자원이었다. 아무 조치를 취하지 않은 비율은 6.1%로서 높지 않았다. 즉 극성질환인 경우 전체이환자의 76.5%가 1회 방문으로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나머지 23.5%가 2회 이상 의료자원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3개월이상 만성이환자는 포천군관내 의료기관의 이용율이 56.3%, 관외의료관 이용이 19.3%인 반면 한방기관이용이 7.6%로서 급성이환시 한방이용비율인 4.0%보다 높았다. 1회 방문이 67.4%인 반면 2회 이상 보건의료자원을 이용한 비율이 33.6%로서 만성질환 이용시 보건의료자원의 이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분석결과 포천군 주민의 주요 보건의료자원의 이용은 의료기관으로 나타났고 미치료율이 타농촌지역에 비하여 낮았으며 만성질환시 급성이환시보다 한방의료이용이 높았음을 나타났다.

  • PDF

담배가격인상이 보건의료지출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Kim, Won-Nyeon;Seo, Jeong-Ha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133-147
    • /
    • 2005
  • 본 연구는 1998년에서 2003년 기간 동안의 통계청의 도시가계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담배수요와 보건의료수요와의 가격탄력성을 추정하였다. 도시흡연기구의 월별지출에 각 년도의 가격지수를 일치시켜 선형 점근 준이상수요체계를 추정한 결과 담배가격인상이 보건의료수요에 분명한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담배의 가격탄력성은 -0.39 보건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0.96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담배가격인상에 따른 보건수요의 교차 가격탄력성이 -0.32로 추정되어 담배가격의 두 배 인상에 따른 보건의료비의 감소율이 32%나 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담배가격 인상정책의 타당성 및 흡연감소에 따른 장 단기 편익산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된다. 즉 정부의 지속적인 담배가격인상은 국민건강에 엄청난 유익함으로 나타나게 될 것임을 암시하고 떠 2010년 까지의 국민건강증진목표의 달성에 구체적인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The Impact of Satisfaction with Major Curriculum on Acquisition of Certification and Employment for College students with Major in Healthcare (대학생들의 전공 교육과정의 만족도가 자격증 취득 및 취업에 미치는 영향)

  • Seo, Hwa Jeong;Park, Ha Jeong
    •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 /
    • v.22 no.1
    • /
    • pp.51-60
    • /
    • 2017
  • 목적: 보건의료 관리 분야의 진로는 급변하는 사회적 요구와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수요자 측면으로 교과과정에 대한 만족도와 보건의료 계열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보건의료 계열 학과 학생들의 취업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방법: 경기도 성남시 소재 보건의료 계열 학과 163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6일부터 5월 9일까지 설문조사를 거쳐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성별에 따른 교육과정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과 학년에 따라 자격증 취득 계획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성별이 여학생이고 학년이 낮을수록 전공관련 자격증 취득 계획이 높았다. 전공관련 자격증 취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학년(학번)', '보건의료계열 분야로의 취업 여부'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계열 취업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교육과정 만족도', '전공관련 자격증 취득 계획'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보건의료관련 학과 학생들의 동일계열 취업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공관련 자격증 취득에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IoB Based Scenario Application of Health and Medical AI Platform (보건의료 AI 플랫폼의 IoB 기반 시나리오 적용)

  • Eun-Suab, Lim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7 no.6
    • /
    • pp.1283-1292
    • /
    • 2022
  • At present, several artificial intelligence projects in the healthcare and medical field are competing with each other, and the interfaces between the systems lack unified specifications. Thus, this study presents an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for healthcare and medical fields which adopts the deep learning technology to provide algorithms, models and service support for the health and medical enterprise applications. The suggested platform can provide a large number of heterogeneous data processing, intelligent services, model managements, typical application scenarios, and other services for different types of business. In connection with the suggested platform application, we represents a medical service which is corresponding to the trusted and comprehensible tracking and analyzing patient behavior system for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using Internet of Behavior concept.

Factor Affecting the Health Care Use of the Elderly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By using Korea Health Panel Data(version 1.5) (인천광역시 고령자의 보건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의료패널자료를 이용하여)

  • Won, Kyung-A;Yang, Min Ah;Park, Ji-Hyuk
    • 한국노년학
    • /
    • v.40 no.4
    • /
    • pp.747-76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services or systems that can enhance the accessibility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s or enhance the efficiency of health and medical use of senior citizens by identifying factors for predicting health and medical use behavior of senior citizen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rough the Korea health panel data(version 1.5).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established through the SPSS and AMO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disposing factors, health behaviors and needs factors had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use of health care services. Since the imbalance in demand and supply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s is more severe than in other reg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health and medical system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can operate effectively in an aged society and discussing how to provide health and medical services to the elderly in Incheon.

보건의료분야에서의 O.R의 응용

  • 신영수;염용권
    • Korean Management Science Review
    • /
    • v.2
    • /
    • pp.39-47
    • /
    • 1985
  • 경제·사회의 성장발전에 비례하여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보건의료에 대한 사회적요구가 증대하게 된다. 보건의료분야에서의 주관심사는 국민의 경제 적 부담을 경감시키고 양질의 보건의료서비스의 기회를 국민간에 균등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학·경제학·역학 등 여러 분야에서 많은 학문적 연구가 수행되어 문제해결에 기여를 해 왔으나 O.R은 특히 가용자원의 효율적 운용에 대한 과학적인 방법론을 제시하여 많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