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보건양태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 seconds

Stress and the lmmuns System (스트레스와 면역계)

  • Baek, Yeong-Han
    • 월간산업보건
    • /
    • s.89
    • /
    • pp.39-41
    • /
    • 1995
  • 스트레스의 정의 스트레스란 엄밀히 말해서 하나의 힘(force)이며 이 힘이 한 체계(System)에 가해졌을때는 그 양태(form)를 변경시킨다. 사건(events)이나 상황의 형태로서의 심리적 및 사회적인 힘(force)이나 압력(pressure)이 한 개인의 평형을 왜곡시킬 결과를 초래할때 그것들을 스트레스라고 할 수 있다. 심리적긴장도 또한 스트레스라고 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긴장을 야기시키는 인자를 "스트레써(stressor)"라고 할 수 있다. 스트레스는 반드시 나쁜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왜냐하면 적은 양의 스트레스는 우리들에게 동기유발을 주기때문이다(환언하면 무스트레스도 스트레스다). 예를 들어 한 위기상황은 우세를 되찾기 위한 전향적 사고를 불러일으킴으로써 사태를 극복케하여 성공에 이르도록 하는 사례가 종종 있다.

  • PDF

The Survey on the Health Status of an Islands-District Residents I. 2 Week-Prevalence of Morbidity and Its Related Factors (일부 도서지역의 보건의료에 대한 기초조사 Ⅰ. 주민의 상병양태 및 관련요인)

  • Ko, Kee-Ho;Moon, Gang;Sohn, Seok-Joon;Choi, Jin-Su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17 no.2
    • /
    • pp.103-111
    • /
    • 1992
  • In order to estimate the level of illness and the pattern of 2 week - prevalence of morbidity by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factors among the inhabitants in Wando district which is located off the southern seashore from mainland Korea, the household interview survey was performed to the sample population selected by stratified proportional random sampling method from January 15 to 30, 1990 in Wan-do Gun, Chonnam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5,134 family members of 1,234 households which were 5.2% of total households of the area. The results observed were following: 1. The 2 week-prevalence was 12.1%.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2 week-preval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nd that was higher in lower income group and longer duration of residence group and larger number of household group.

  • PDF

Drinking Patterns and Alcohol-related Problems in Women (일부 지역 여성의 음주양태 및 음주관련문제)

  • Heo Eun Jeong;Kim Myung Soon;Kim Kwang Gi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 /
    • v.15 no.1
    • /
    • pp.202-215
    • /
    • 2001
  •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to describe drinking patterns and alcohol-related problems (ARP) in women. A probability sample was drawn from Kyungnam Providence area 20 to 59 age by a multi- stage cluster sampling method and secondary data analysis was used. Drinking patterns in this study involve lifetime prevalence of alcohol use, year prevalence, month prevalence , frequency and usual quantity of drinking alcohol in a situation, ARPs were measured by employing a modified version of ARP developed by Alcohol Research Group in U.S.A. Three measurements were constructed to represent alcohol-related problems by summing up 41 alcoholic statements, which were consequence, social consequence and depend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lifetime prevalence of alcohol use in women was $80.3\%$ and year prevalence $78.3\%$. High prevalence rates of drinking were observed in the twenties who have at least community college diploma. and frequencies of alcohol use were increased as age increased. 2) More than $27.3\%$ of the respondents who were reported to experience at least a ARP in a year. 3) ARPs were associated with age, religion, frequency and usual quantity of drinking alcohol in situation. Issues were proposed with respect to research methodology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 PDF

Factors affecting Health care accessibility among Korean Americans living in New York City (뉴욕 거주 한국인의 의료서비스 접근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Kim-Roh Eunha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 /
    • v.14 no.1
    • /
    • pp.61-67
    • /
    • 2000
  • 뉴욕시 정부의 이민자들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과 시도에도 불구하고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과 대상자간에 언어적 장벽과 문화적 차이로 인한 상호협조의 어려움은 계속되고있다. 본 연구는 뉴욕시 보건국 소속 다민족 다문화 계층의 의료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실시된 프로젝트 중 일부이다. 뉴욕시의 한국 이민자들이 뉴욕시에서 증가하는 추세를 감안할 때, 이들의 의료시설 이용 및 서비스 수혜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여 한국 이민자들의 문화적 배경과 그로 기인한 건강 신념을 알고자하는 시 정부 차원의 요구가 이 연구의 배경이다. 즉, 한국이민 사회의 독특한 특성을 뉴욕시 정부 관련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에게 그 이해를 높여서 한국 이민자들의 미국에서의 의료서비스 수혜의 기회를 높이고자 한 것이다. 기초 관련 연구가 전무한 한국 이민자들의 건강관련 이슈를 다루기 위해 미국 센서스와 병원 입퇴원 기록 현황에 나타난 한국인 혹은 아시안의 의료보장 실태 등을 고찰하였고, 한국이민사회의 주요 기관의 대표들과의 면담과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직접 설문조사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이민자들은 한국어를 주요 언어$(83\%)$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문화의 동화율이 낮았고, 낮은 문화 동화율은 의료 서비스 접근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료 보험이 없는 것$(55\%)$이 가장 큰 요인으로 지적되었는데, 이는 미국 직장에 적응하기 어려운 이민생활로 자영업을 주로 하는 생활 양태가 비싼 사 보험(private health insurance)을 사지 못하는 요인과 관련되어있다고 본다. 따라서, 주로 이용하는 의료 서비스의 종류에도 많은 제한점이 있어서, $60\%$가 한국인 의사를 선호하며, $31\%$가 한국인 약사에게 건강관리를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나 미국사회의 의료 서비스 접근도는 극히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의료서비스 접근을 막는 주요 장벽으로는 비싼 의료비 $(53\%)$ , 의사소통장애$(37\%)$로 나타났다. 보건의료 서비스를 위해 주로 이용하며 생활의 정보를 얻는 통로로는 한국어 신문$(69\%)$과 한국어 TV$(61\%)$, 한국어 라디오 $(57\%)$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한국 이민자들에게 좀더 나은 의료 서비스 수혜를 위해서는 문화 친밀도가 높은 의료환경 조성 및 의료 서비스 제공자들의 이해를 높이는 일 등과 함께 한국 이민자들이 의료보험을 살수 있도록 한국어로 된 의료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Health Status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Busan (부산지역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실태)

  • Park, Hyoung-Sook;Bae, Kyung-Eui;Kim, Dong-Hee;Yoon, Ae-Ryeun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 /
    • v.15 no.1
    • /
    • pp.80-88
    • /
    • 2008
  • Purpose: By focusing on immigrant women's problems and considering human rights, resettlement plans and marital-life adaptation, health status is often overlooked. It was examined in this study.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10 immigrant women who lived in Busan.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07 using a questionnaire. Results: One of five of the women had been hospitalized for a delivery, about 25% were pregnant, and most (80.9 %) have never had a pap-smear test. The average score for anxiety was 3.0 (${\pm}2.50$) and for depression 2.9 (${\pm}2.71$). Most were in the normal range for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BMI), blood sugar and urine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of anxiety according to education (F=3.42, p=.020) and in level of depression according to age (F=4.05, p=.020), number of children(t=-.444, p=.009), financial status (F=3.75, p=.027) and satisfaction with life (F=6.38, p=.00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MI according to age (F=7.73, p=.001), native nation (F=18.38, p=.000), period of stay in Korea (F=3.11, p=.049), education (F=3.82, p=.012), number of children (t=-4.26, p=.040). Conclusion: Although the health status of the immigrant women was good, procreative care protocols should be developed to support immigrant women who are pregna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