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포장

검색결과 698건 처리시간 0.025초

Uromyces viciae-fabae에 의한 잠두 녹병 (Rust of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Uromyces viciae-fabae)

  • 권진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8권3호
    • /
    • pp.162-165
    • /
    • 2002
  • 2002년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잠두 재배포장에서 잎, 줄기, 꼬투리에 녹병이 심하게 발생하고, 조사포장의 발병율은 84.3%이였다 초기병징은 잎에 약간 흰색띠를 두른 작은 반점 모양을 띠며 갈색으로 변하고 주위가 약간 솟아 오르고, 황갈색의 가루가 무수히 많이 형성한다. 심하게 발생하면 조기낙엽이 된다. 하포자는 구형 또는 난형이고 담갈색이며, 크기는 24~38$\times$21~26 $\mu\textrm{m}$이다. 동포 자는 구형 또는 난형이며 암갈색을 띠고, 크기는 22~42$\times$17~27 $\mu\textrm{m}$ 이다. 자루의 색깔은 황갈색 또는 진한 주황색이며, 길이는 52~l16 fm이다. 병원성도 강하였다.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병을 Uromyces viciae-fabae에 의한 잠두 녹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포도 저장을 위한 아황산가스 발생제의 제조 및 처리 방법 (Preparation and Treatment of Sulfur Dioxide Gas Generating Agent for Storage of Grape Fruits)

  • 최성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91-795
    • /
    • 2008
  • 아황산가스 발생제를 자가 제조하여 포도의 저장 중 병해발생 방지에 이용하는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sulfite 화합물의 아황산가스 발생 정도와 지속 기간을 측정하고 아황산가스 발생 조절 및 간이 검출 방법을 개발하였다. 포도의 저장 중 잿빛곰팡이병을 일으키는 B. cinerea의 포자 발아와 균사생장은 각각 400 ppm과 3200 ppm의 아황산가스 농도 조건에서 억제되었다. 5종류의 sulfite 및 bisulfite 화합물 중 sodium hydrosulfite는 아황산가스 발생량이 가장 높았으며 이를 비닐 포장하여 포장의 pinhole수를 조절하거나 산 또는 알카리의 pH 조절제를 혼합하면 가스 발생량과 발생 지속 기간을 조절할 수 있었다. Malachite green 용액은 아황산가스에 의해 정량적으로 탈색되어 아황산가스 검출에 이용할 수 있었으며 여과지에 흡수하여 건조할 경우 아황산가스 검출지로 활용할 수 있었다. MBA 포도를 속효성과 지효성의 아황산가스 발생제를 동시에 처리하여 저온 저장할 경우 병해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살균제 나무주사를 이용한 참나무 시들음병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Fungicide Injection on Oak Wilt in the Field)

  • 손수연;서상태;박지현
    • 식물병연구
    • /
    • 제20권4호
    • /
    • pp.295-298
    • /
    • 2014
  • 참나무 시들음병(병원균 Raffaelea quercus-mongolicae)은 2004년 국내에 처음 발견되어 그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참나무 시들음병 방제를 위한 나무주사용 살균제를 선발하기 위해 실내시험과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검정에서는 10종의 살균제와 1종의 항생제를 이용하여 국내균주 R. quercus-mongolicae와 일본균주 R. quercivora에 대한 생육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국내균주에 대해서는 chlorothalonil, benomyl, propiconazole 순으로 생육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일본균주에 대해서는 propiconazole, benomyl, bitertanol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균주와 일본균주에 대하여 실내 항균효과가 우수하였던 약제 중 침투이행성이 우수한 propiconazole을 이용하여 약제방제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나무주사 처리 당해 연도 방제효과는 87.5%, 처리 다음 연도 방제효과는 66.7%까지 나타나 약제처리 효과는 적어도 1년 이상이었다.

콩모자이크바이러스병의 역학적 연구 (Epidemiology of Soybean Mosaic Virus Diseases)

  • 조의규;최성호;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97-202
    • /
    • 1984
  • 콩 모자이크 바이러스계통 SMV-G7의 감염에 의하여 모자이크 병징이 나타나는 함안 품종과 괴저병징이 나타나는 광교를 공시하여 $320.7m^2$(99평)의 포장 중앙 $2.2m^2$ (1평)에 함안을 파종, 접종한 후 주변 시험구(1평씩 99구)에는 광교를 파종하여 SMV의 발생생태를 조사하였다. 광교에서 SMV 이병주율은 7월 13일에 가장 심하였고 황색수반으로 채집한 진딧물 밀도는 6월 22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함안과 인접한 시험구의 SMV 이병주율은 평균 $56\%$, 포장전체의 이병주율은 평균 $20.4\%$로 나타났다. 풍향과 바이러스 이병율을 분석한 결과 SMV의 전파는 바람부는 쪽으로 일정한 gradient를 형성하여 SMV 전파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Bacillus vallismortis BS07M 제형의 고추 생장촉진과 병저항성 유도 (Plant Growth Promotion and Induced Resistance by the Formulated Bacillus vallismortis BS07M in Pepper)

  • 이용호;송재경;원항연;박경석;상미경
    • 식물병연구
    • /
    • 제22권4호
    • /
    • pp.284-288
    • /
    • 2016
  • 식물 생장촉진근권세균 B. vallismortis BS07M을 점토로 제형화한 제제(CP)는 고추의 생육촉진 및 병저항성 유도 효과를 보였다. CP를 육묘 상토에 혼합하는 것은 기존의 세균 현탁액을 유묘 또는 포장에서 재배 중에 관주 살포하는 방법에 비해 비교적 사용하기 쉽고, 그 효과가 포장에서도 지속됨으로써 고추의 열매 개당 무게를 증가시켰으며, 수확 후 저장 중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무름 증상을 감소시킴으로써 보관기간을 늘리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오이 종자로부터 CGMMV의 검출과 품종 저항성 검정 (Detection of CGMMV from Commercial Cucumber Seed and Resistance Test of Cultivars)

  • 고숙주;이용환;차광홍;박진우;최형국
    • 식물병연구
    • /
    • 제10권2호
    • /
    • pp.154-158
    • /
    • 2004
  • 오이에 발생하는 CGMMV 발병과 품종별 종자감염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전남지역의 오이 주요 재배지에서 CGMMV가 발생한 포장의 품종과 발생정도를 조사하고 시판되는 종자를 수집하여 종자감염여부와 CGMMV에 대한 품종저항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조사 연도와 품종에 따라 발생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장형낙합은 4년 동안 발생하였고, 장죽청장은 3년, 겨우살이와 겨울나기는 2년 동안 발생되었다. 이들 품종에 대한 종자의 ELISA검정을 실시한 결과 장형낙합과 장죽청장에서 CGMMV가 검출되었으며, 장죽청장에서는 생물검정에서 양성을 나타냈다. 또한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34품종에 대한 CGMMV의 저항성을 검정한 결과 폿트시험에서는 모두 모자이크 병징을 보여 차이가 없었으나 포장시험에서는 한복삼척에서만 마일드모자이크 병징을 보였다.

십자화과 채소작물에서의 후사리움 시들음병 발생과 그 원인균의 병원성 분화 (Occurrence of Fusarium Wilt on Cruciferous Vegetable Crops and Pathogenic Differentiation of the Causal Fungus)

  • 문윤기;김완규;조원대;성재모
    • 식물병연구
    • /
    • 제7권2호
    • /
    • pp.93-101
    • /
    • 2001
  • 1996년부터 1998년까지 한국내 십자화과 채소작물의 포장에서 시들음병 발생을 조사한 결과, 배추와 무에서는 발생율이 최대 40%까지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양배추에서는 일부 포장에서만 약간 발생하였다. 시들음증상을 보이는 십자화과 채소작물의 병든 뿌리로부터 총 123균주의 Fusarium균이 분리하였으며, 공시균주들의 형태적 및 배양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Fusarium of oxysporum으로 동정되었다 공시균주들의 배추 및 양배추에 대한 병원성은 공시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균주들간에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았다. 무에 대한 병원성에 있어서는 대체로 무분리 균주들이 배추 및 양배추분리 균주들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균주들의 십자화과 이외의 채소작물에 대한 병원성검정 결과, 고추 등 8개 작물에 대해 모두 병원성이 없었다 이 연구결과, 배추감염 균주들의 병원형은 양배추감염 균주들의 병원형과 동일하고, 무감염 균주들의 병원형과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 딸기 시들음병 발생실태와 품종별 저항성 분석 (Resistance Analysis of Cultivars and Occurrence Survey of Fusarium Wilt on Strawberry)

  • 남영현;정석기;김남규;유성준;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35-38
    • /
    • 2005
  • 2001년에서 2003년까지 국내 딸기주산단지에서 딸기시들음병 발생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딸기시들음병 발생은 주로 육묘기인 6월부터 8월, 정식기인 9월부터 10월, 수확기인 1월부터 3월까지 발생되었다. 병징은 뿌리가 갈변되어 크라운의 도관을 따라 갈변되었고 짝잎을 형성하였다. 시들음병 발생은 214개 포장 중 37개 포장에서 최대 30%까지 발생되었다. 딸기 시들음병은 Dochiodome, 매향, Redpearl, Samaberry, Akihime 품종 등 조사된 모든 품종에서 발생하였으나, 특히 Samaberry, 매향, Dochiodome 에서 많이 발생하였다. 시들음병 발생토양은 무발병 토양보다 전기전도도, 질소, 인산농도가 높았고, pH는 낮게 나타났다. Dochiodome 와 Samaberry 품종에서 분리된 Fo47, Fo79 균주는 공시된 4품종에 대해 병원성이 강했으며 특히 Dochiodome, Redpearl, 매향 품종은 더 감수성이었다.

벼 흰잎마름병 포장저항성 검정방법 체계 확립+ (Establishment of the Text Method for Evaluating the Fideld Resistance of Rice Varieties to Rice leaf Blight)

  • 이두구;심재성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7권
    • /
    • pp.91-101
    • /
    • 1995
  • 본 연구는 벼 흰잎마름병 포장저항성 검정방법 체계확립을 위해 25개 품종에 대하여 진성저항성검정, 2차감염검정, 2차전염검정 및 상습지현지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한 25개 품종에 대한 진성저항성 검정결과 (1)섬진벼등 13개 품종은 HB9011균에 저항성인 품종군으로, (2)풍산벼등 5개 품종이 HB9022균에 저항성인 품종으로, (3)삼강벼 등 2품종은 HB9011, HB9022, HB9033균에 저항성인 품종군으로 (4)운봉벼 등 12개 품종이 접종균 모두에 이병성인 품종군으로 각각 분류되었다. 2. 2차감염검정결과 HB9011균에 대해서는 영덕벼 등 3품종이, HB9022에 대해서는 태백벼 등 3품종이, HB9033에 대해서는 태백벼가 진성저항성 검정 결과와 상이한 반응을 보였다. 3. 25개 품종에 대한 2차전염검정 결과와 2차감염검정 결과는 각 균주에 대해 상관계수가 각각 0.972, 0.894, 0.919로 나타나 거의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4. 진성저항성검정 결과와 상습지검정 결과 사이에는 상관계수가 각 균주에 대해 각각 0.203, 0.460, 0.591로 나타났는데 상습지현지검정 결과는 운봉벼, 추청벼, 영덕벼가 진성저항성 검정시는 이병성 품종군으로 분류되었으나 동일 품종군내에서도 품종간 차이가 많았다. 5. 4가지 검정결과는 발병지수로 나타내기 위해 각 검정방법별로 지수 25를 부여하여 전체합이 100이 되도록 하였다. 발병지수가 15이하이면 포장저항성이 있다고 판정할 수 있는데, 각 검정방법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종합해보면 서해벼, 화진벼, 영덕벼, 풍산벼 등 4품종이 발병지수 15 이하로 나타나 포장저항성 품종으로 선발되었다.

  • PDF

Rhizopus oryzae에 의한 백합 무름병 (Rhizopus Soft Rot on Lily Caused by Rhizopus oryzae in Korea)

  • 함수상;홍계완;김병련;한광섭;최택용;남윤규;유승헌
    • 식물병연구
    • /
    • 제20권1호
    • /
    • pp.50-53
    • /
    • 2014
  • 2012년 태안백합시험장 포장에 재배중인 절화 백합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처음 병징은 토양 지제부의 줄기가 물러지고 점차 위쪽으로 진전되면서 결국 잎을 포함한 식물체 전체 적가 빠르게 부패되었다. 병원균의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이며 PDA상에 왕성하게 생장하였으며, 갈색의 균총과 검은색의 포자낭을 형성하였다. 포자낭경은 초기에 흰색에서 점차 회색으로 되었으며 포자낭을 균사 끝에 형성하였고, 폭은 $6-10{\mu}m$이었다. 포자낭은 처음에 흰색에서 나중에 검은색으로 되었고, 모양은 반구형으로 크기는 $87-116{\mu}m$이었다. 포자낭포자는 담갈색으로 단포이며,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대부분 불규칙하며, 크기는 $4-8{\mu}m$이었다. 이상과 같이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ITS 염기서열 분석, 병원성 검정 결과 본 병해는 Rhizopus oryzae에 의한 백합 무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