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포장

검색결과 698건 처리시간 0.025초

Botrytis cinerea에 의한 완두 잿빛곰팡이병 (Gray Mold of Pisum sativum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 권진혁;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0-53
    • /
    • 2004
  • 2003년 3월 경남 남해군 창선면 비닐하우스 및 노지재배 완두포장에서 Botrytis cinerea에 의한 완두 잿빛곰팡이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 줄기 및 꼬투리에 발생하여 병든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병반부위에 잿빛곰팡이가 많이 생기고, 심할 경우 감염된 부위는 결국 말라죽는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포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8{\sim}17{\times}5{\sim}13\;{\mu}m$였고, 분생자경 위에 분생포자가 아주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자경은 갈색으로 격막이 있고, 폭은 $14{\sim}30\;{\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20^{\circ}C$였다.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은 Botrytis cinerea에 의한 완두 잿빛곰팡이병으로 동정되었다.

식물병(植物病) 진전(進展)의 한 유연적(柔軟的)인 통계적(統計的) 생장(生長) 모델 (A Flexible Statistical Growth Model for Describing Plant Disease Progress)

  • 김충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1-36
    • /
    • 1987
  • 식물병(植物病) 진전곡선(進展曲線)을 간편하고 융통성있게 기술하는 절편(切片) 1차(次) 회귀(回歸)모델이 본(本) 연구(硏究)에서 제안(提案)되었다. 이 모델은 병진전상황(病進展狀況)을 그 진전형태(進展形態)에 따라 소수(少數)의 1차(次) 회귀식(回歸式)으로 나누고 지표변수(指標變數)를 사용(使用)하여 다시 한개로 묶어 작성(作成)된다. 포장시험(圃場試驗)에서 얻은 12개(個)의 실제병진전상황(實際病進展狀況)에 대(對)한 절편(切片) 1차(次) 회귀(回歸)모델의 통계적(統計的) 적합도(適合度)는 기존(旣存)의 두모델(Logistic모델과 Gompertz모델)에 비(比)하여 증진(增進)되었으며 이 모델이 가진 단순성(單純性), 융통성 및 모수예측(母數豫測)의 용이성(容易性)이 논의(論議)되였다. 그 결과(結果), 절편(切片) 1차(次) 회귀(回歸)모델은 식물병(植物病) 진전(進展)을 기술(記述)하는 한 통계적(統計的) 모델로써 유용(有用)하게 사용(使用)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Entomosporium mespili에 의한 비파나무 점무늬병 발생 (Occurrence of Leaf Spot on Eriobotrya japonica Caused by Entomosporium mespili in Korea)

  • 서상태;박미정;신현동;김경희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228-231
    • /
    • 2011
  • 2008년부터 매년 전라남도 고흥군에 위치한 비파나무 묘포장에서 잎에 점무늬 증상이 관찰되었다. 전체 묘목의 50% 이상에서 이러한 증상이 나타났으며, 결국 잎이 일찍 떨어지고 수세가 약화되는 피해가 나타났다. 병반으로부터 관찰된 균은 Entomosporium mespili로 동정되었다. 이 균은 단포자 분리되어 KACC 44727 균주로 보존되었다. 인공접종 실험을 통하여 병원성을 검정하여 코흐의 원칙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국내에 비파나무 점무늬병을 처음으로 보고한다.

생강모자이크바이러스병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inger Mosaic Virus)

  • 소인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67-72
    • /
    • 1980
  • 우리나라에 발병하고 있는 생강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의 기생범위, 물리화학적 성질, 혈청검정 및 전자현미경적 관찰을 조사하였다. 생강의 초기병징은 황록반문을 일으키고 후기에는 위축현상 및 괴경의 소구화를 이룬다. 포장이병율은 약 $43\%$이었다. 즙액전염, 접구전염(core grafting)이 이루어지며, 동부, 오이 Chenopodium amaranticolar, N. tabaccum var. Havana를 비롯하여 23종의 CMV감수성 식물에 병증을 나타낸다. 희석한계점은 $10^{-4}\~10^{-5}$ 범위이고, 온도한계활성점는 $65\~70^{\circ}C$사이이다. 혈청반응은 CMV 항혈청과 양성으로 나타난다. 전자현미경에 의한 바이러스립자의 크기는 $28\~32m\mu$의 구형이다. 이병엽육조직의 세포질 속에는 구형바이러스입자의 밀집상과 유리되어 있는 입자도 관찰되었다. 이상을 종합하여 볼 때 생강에 모자이크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CMV군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믿어진다.

  • PDF

살균제의 벼 육묘상 처리에 의한 도열병 방제 효과 (The Effect of Fungicides against Rice Blast by the Nursery Treatment at Rice Seedling)

  • 강범관;민지영;김윤식;;정해연;조인준;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10권1호
    • /
    • pp.69-72
    • /
    • 2004
  • Carbosulfan과 합제로 개발한 isoprothiolane과 tricyclazole, 그리고 probenazole을 벼 육묘상자에 처리하고, 처리 당일에 본답에 이앙한 후, 잎도열병과 목도열병에 대한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세 가지의 살균제는 모두 이앙하고 3개월 후까지도 잎도열병을 방제할 수 있었다. 특히 tricyclazole 합제의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그 효과가 더 상승하였으며, 9월 6일 조사 때에 85.5%의 잎도열병 방제 효과를 보였다. 목도열병에 대한 효과는 probenazole이 가장 우수하였는데, 10월 14일에 조사한 probenazole 처리구의 목도열병 이병수율은 6.9%로 78.7%의 무처리구에 비하여 91.2%의 방제 효과를 보였다. Isoprothiolane과 tricyclazole 합제는 잎도열병보다 목도열병에 대한 방제 효과가 저조하였으며, 두 처리구는 각각 47.5%와 61.1%의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처럼 침투이행효과가 우수한 살균제가 벼의 육모상 처리제로 개발이 가능해진다면 포장에서의 도열병 방제가 효과적이고 간편하게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출수기 기상환경이 세균성 벼알마름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Weather Condition at Heading Period on the Development of Rice Bacterial Grain Rot Caused by Burkholderia glumae)

  • 차광홍;이용환;고숙주;박서기;박인진
    • 식물병연구
    • /
    • 제7권3호
    • /
    • pp.150-154
    • /
    • 2001
  • 세균성벼알마름병의 발생 예측 모델을 만들기 위하여 출수기의 기상 환경과 병 발생과의 관계를 자료분석(1992~2000)과 온실 및 포장시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세균성벼알마름병의 발생이 많은 해는 '94, '95, '98, 2000년이었고, 중만생종 출수기인 8월 상.중순에 고온이 지속되면서 연속강우가 많았다. 반면 병 발생이 적었던 '93년은 강우량과 강우일수는 많았으나 저온이었고, '97년에는 온도는 높았으나 강우가 적은 경향이었다. 출수기에 접종 후 습실처리 하였을 때(24시간 이상) $10^2$cfu/ml에서부터 발병하기 시작하여 접종농도가 높을수록 발병도가 높아져 $10^{8}$ cfu/ml에서는 86.1%의 발병도를 보였다. 습실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에는 $10^{8}$ cfu/ml에서만 12.5% 발병하였다. 또한 발병도가 증가함에 따라 천립중과 등숙률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 PDF

Colletotrichum acutatum에 의한 배암차즈기 탄저병 (Anthracnose of Salvia plebeia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in Korea)

  • 권진혁;남명현;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3권2호
    • /
    • pp.119-121
    • /
    • 2007
  • 2004년부터 2005년까지 2년간 경남농업기술원 약초재배 포장에 재배중인 배암차즈기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 잎자루, 줄기 등 식물체 전부위에서 발생하였다. 식물체가 서서히 시들기 시작하면서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변색되어 결국 말라 죽는다. 균총의 색깔은 감자한천배지에서 회색이며 배지표면에 분홍색의 분생포자퇴를 형성하였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단세포, 방추형이며, 크기는 $8{\sim}17{\times}3{\sim}4\;{\mu}m$이었다. 부착기는 연한 암갈색이고 곤봉상이며 크기는 $8{\sim}11{\times}4{\sim}6\;{\mu}m$이었다.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이 병원균을 Colletotrichum acutatum J. H. Simmonds에 의한 배암차즈기 탄저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배초향 잿빛곰팡이병 (Gray Mold of Agastache rugosa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 권진혁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9-61
    • /
    • 2006
  • 2003년부터 2005년까지 3년동안 경남 진주시 장재동 배초향 재배 농가포장에서 잿빛곰팡이병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과 줄기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감염된 병반부위에 회색의 곰팡이가 많이 생긴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포자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4{\sim}20{\times}4{\sim}13\;{\mu}m$였다. 분생포자경은 갈색으로 격막이 있고 나무가지 모양이며, 폭은 $4{\sim}28\;{\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20^{\circ}C$였다. 병원성 검정은 코흐의 가설에 따라 수행하여 병원성을 확인하였다.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Botrytis cinerea에 의한 배초향 잿빛곰팡이병으로 동정되었다.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의한 블루베리 탄저병 발생 (Anthracnose of Blueberry (Vaccinium spp.) of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n Korea)

  • 권진혁;천미건;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4권1호
    • /
    • pp.61-63
    • /
    • 2008
  • 2007년 경상남도농업기술원 과수 포장에 재배중인 블루베리 과실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성숙한 과실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되어지면서 낙과되어거나 미이라 상태로 남아 있으며 과실표면에 분홍색 포자퇴를 많이 형성하였다. 균총은 감자한천배지에서 회색이며 배지표면에 분홍색의 포자퇴를 많이 형성하였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단세포, 무색, 끝이 약간 무딘 원통형이며 크기는 $10{\sim}20{\times}3{\sim}5\;{\mu}m$이었다. 부착기는 갈색이고 곤봉형, 계란형이며 크기는 $6{\sim}18{\times}4{\sim}12\;{\mu}m$이었다. 균사생육 적온은 $25{\sim}30^{\circ}C$였다. 분리된 병원균으로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자연 감염된 병징과 동일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가지고 본 병해를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의한 블루베리 탄저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잠두 흰비단병 발생 (Collar Rot of Broad Bean (Vicia faba)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김태성;강수웅;박창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31-133
    • /
    • 2001
  • 2001년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잠두 재배포장에서 줄기가 부패하고 주위에 흰곰팡이가 발생하는 병이 관찰되었다. 이 병의 병징은 지제부가 암갈색으로 변하고 그 위에 흰색의 곰팡이가 솜털처럼 밀생하고, 병반 부위에 갈색의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며 지제부 부근의 토양 표면에도 형성되었다. 병원균은 PDA 배지 상에서 $30^{\circ}C$에서 가장 잘 자랐으며 균사생장 중에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PDA 배지에서 갈색 또는 암갈색을 띤 구형 또는 부정형의 많은 균핵을 형성하였으며, 균핵의 크기는 $1.0{\sim}3.7{\times}1.0{\sim}2.8\;mm$(평균 $1.0{\sim}2.3\;mm$)였다. 병원균의 특징과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잠두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