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원 감염 관리

검색결과 434건 처리시간 0.03초

식이성 윤충류질환의 관리전략 수립을 위한 감염원의 역학 및 병원체의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 한국산 민물어류에 기생하는 Metagonimus속 피낭유충의 숙주특이성과 감염실험을 통한 성충의 분류 (Classification and host specificity of Metagonimus spp. from Korean freshwater fish)

  • 임한종;김기홍;주경환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4권1호
    • /
    • pp.7-14
    • /
    • 1996
  • 한국인에 널리 유행하는 Metagonimus속 흡충류의 분류학적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에서 채집한 여러 종의 민물어류로부터 Metugonim속 피낭유충을 검출하여 햄스터에 감염 실험을 하였다. 감염실험 결과 은어는 기존에 알려져 있던 M. yokogawnia 피낭유충 외에 M. tokqhashii의 피낭유충에도 감염되어 있는 것이 밝혀졌으며 붕어에는 M. takohoshii의 피낭유충만 이 감염되어 있었다 피라미, 끄리, 갈겨니등에서 검출된 Metqgonim속 피낭유충의 감염실험 결과, 이들 어종은 모두가 Metosonim Miyata type의 피낭유충에만 감염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etagonimus Miyata type의 성충은 여러 가지 특징 및 숙주특이성 등에 의해서 다른 두 종과 구별되었으며. 그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서 몇 가지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 PDF

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수행도 및 교육요구 -제주 지역을 중심으로- (Knowledge, Performance, and Educational Needs of Infection Control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A Focus on Jeju Province)

  • 조옥희;황경혜;김미나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5-14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which improve the nurses'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by investigating the knowledge, performance, and educational needs of infection control among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an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parameters. Methods: This was a descriptive study.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provided to 153 nurses in 210 long-term care hospitals on Jeju Island. Their knowledge, performance, and educational needs of infection control,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Window(ver. 9.4), t-test, Wilcoxon rank-sum 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Both knowledge (r=0.16, p=.042) and performance (r=0.52, p<.001) of infection control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infection control. Conclusion: The higher the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 was, the higher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nurses were. However,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 did not correlate with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Therefore to increase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infection control education programs should suit the educational needs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long-term care hospitals.

간 이식 예정 환자의 구강건강상태 및 치과치료 요구도에 관한 연구 (Oral Health Status and Dental Treatment Need of Liver Transplant Candidates)

  • 박태준;고홍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4권1호
    • /
    • pp.1-9
    • /
    • 2009
  • 간 이식은 진행성 간병변의 말기에 있는 환자나 간 대사 질환, 간암 등을 겪고 있는 환자들에게 최종적으로 행해지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간 이식 전후에는 타 장기의 이식수술 시와 마찬가지로 거부반응을 최소화하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하여 면역억제요법을 시행하게 되며 이로 인해 면역력이 감소되어 전신 감염에 이환되기 쉬운 상태에 처하게 된다. 간 이식수술 전 치과적 처치의 일차적 목표는 간을 이식한 후 전신적인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구강 감염요소를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다. 술전 치과적 처치는 이식 후 감염 가능성을 줄여줌으로써 이식수술의 성공률을 향상시키므로 환자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구강검진을 비롯한 계속적인 치과적 관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간이식 수술을 예정으로 수술 전 구강검진을 위해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90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에 근거하여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 구강위생의 정도, 전신질환 병력과 치과치료 요구도, 치과치료 요구도의 충족 정도, 치과병원 내원일과 간이식 수술 예정일과의 시간 간격 등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환자군의 우식경험영구치지수를 분석한 결과 간이식 환자들의 DT는 2.68개, MT는 4.02개, FT는 3.42개, 그리고 DMFT index는 10.12개로 나타났다. 2. 환자군의 구강위생 상태를 조사한 결과 중등도 이상의 식편 압입이 20.0%로 나타났고, 중등도 이상의 치석을 가진 환자는 42.2%였으며 부종을 동반한 치은염증은 37.8%의 환자들에서 관찰되었다. 3. 환자군에게 필요한 치과치료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치주치료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였고 그 다음으로 보존치료, 구강악안면외과적 치료의 순서였다. 4. 90명의 환자 중 간이식 예정일이 확정된 상태로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는 39명이었고 간이식 예정일과 치과병원에서의 구강검진일자와의 시간간격을 조사한 결과 간이식 예정일과 구강검진일자와의 시간간격이 2주 이하가 32.2%, 1주 이하가 20.0%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간 이식수술 전 구강검진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은 이식수술 후 잠재적 감염원의 제거를 위해 해결이 필요한 뚜렷한 치과치료 요구도를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간 이식수술 전 치과치료를 위한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지 못하는 현실적 제약으로 인해 많은 환자들이 포괄적인 치과관리를 받지 못한 채 이식수술을 받고 있다. 따라서 간 이식수술 가능성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조기 구강건진과 포괄적인 구강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과 협진 체계가 마련된다면 잠재적인 구강 감염원의 충분한 제거로 간 이식수술의 예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사의 병원감염 관리에 대한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f the Nurses about the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 성미혜;김남림;최혜윤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14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f the clinical nurses about the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300 clinical nurses from April 26, 2004 to May 20, 2004. The data analyzed by the SPSS (ver10.0)program, and it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 Personal hygiene management and disinfection equipment management had the higher record than other dimensions. The level of recognition for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performance for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The level of recognition for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working period, number of hand washing,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gree of a performance for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These predictive variables of the degree of a performance for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explained 17% of variance. Conclusion: It is needed to be developed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nosocomial infection through the educational program.

  • PDF

2017년 주요 의료판결 분석 (Review of 2017 Major Medical Decisions)

  • 이정선;이동필;유현정;정혜승;박태신
    • 의료법학
    • /
    • 제19권1호
    • /
    • pp.207-254
    • /
    • 2018
  • 2017년 주요 판결 중에는, 진료계약과 함께 체결되는 틀니제작계약의 법적성질을 분리하여 후자의 경우 도급적 성질이 있다는 판결과 태아보험은 계약체결 후 1회 보험료를 받은 후부터 그 효력이 발생한다는 보험법리를 활용하여 민법에서 논의되는 전부노출설의 한계를 극복한 판결이 선고되었다. 약화사고와 관련하여 의료인의 책임을 인정하는 판결이 증가하면서 직접 약을 제조 교부하는 약사의 복약지도 등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고, 감염관리와 관련하여 법원이 과실을 부정하는 방향으로 사실관계를 해석하거나 적용한 데 대한 비판과 함께 병원감염사건의 특수성에 비추어 병원감염 관리 및 그 피해 구제를 위한 제도적 장치마련, 소송법상 증명책임 전환 등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설명의무 관련 판결에서는 이미 설명이 되었던 부분이나 설명을 하지 않더라도 해당 진료행위를 수행하였을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판례 등 설명의무의 대상과 관련한 판결들이 다수 선고되었고, 손해배상의 범위와 관련하여 유방을 흉부 장기로 보아 다발성 반흔 구축 및 변형을 장해로 인정한 사건이 선고되어 많은 논의를 불러 일으켰다. 진단서와 관련한 의료법 해석에 대한 대법원 판결은 법률 규정이 가진 해석범위를 넘은 유추해석이라는 지적이 있었다.

경기 북부 일부 지역 대형 마트 유통계란에 오염된 미생물의 분리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from Eggs in Hypermarket in the Northern Gyeonggi Area)

  • 전명숙;홍승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96-401
    • /
    • 2009
  • 본 실험은 경기 북부 일부 지역의 계란에서 미생물 오염도를 측정하여 계란의 위생 상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 자료로서는 대형 마트에 유통 중인 계란 중에서 서로 브랜드가 다른 계란을 대상으로 하였다. 계란의 난각에 존재하는 일반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3.4{\times}10^4cfu/m{\ell}$로 상당히 높은 일반 세균수가 검출되었다. 다음으로는 식중독 지수의 중요한 지표가 되는 대장균 및 계란으로 인한 식중독에서 주요 원인 균으로 작용하는 살모넬라균의 오염 여부를 파악한 결과, 한 브랜드의 계란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었고, 살모넬라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각 브랜드에 계란에서 검출된 세균을 분리 동정 한 결과, Klebsiella pneumoniae, Pseudomonas mendocina, Alcaligenes xylosoxidans, Alcaligenes faecalis, Enterobacter cloacae 등이 분리되었다. 이 세균들 중 일부는 사람에게 병원성을 나타내거나,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에게 기회감염 또는 병원 내 감염을 일으키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계란의 난각에서 분리된 대장균의 병원성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대장균의 DNA를 분리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 병원성 대장균들에서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유전자형을 가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시중에 유통중인 계란의 난각에서 비록 살모넬라균과 병원성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지만,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병원성 세균들이 검출됨으로써 계란의 유통 및 판매에 더욱 철저한 위생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사 확보에 따른 노인요양병원 간호인력의 병원감염관리 인지도 및 실천도 (Perception and Practice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of Nursing Staff depending on the Supplementation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이지현;이가언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08-316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hospital infection control of nursing staff in long-term care hospitals by the level of supplementation of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12 nurses and nurse assistants in 13 long-term care hospitals in a metropolitan city and the data were gather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during August 2011 and analyzed by SPSS/WIN program. Results: The beds per a nurse were 15, and the proportion of nurses among nursing staff in long-term care hospitals was about 33%. In general, the level of infection control in practice was lower than that of perception. The highest perception and practice domain was 'Management of disinfection/contamination', and the lower level domains were 'Personal hygiene' and 'Hand washing'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ospital infection control of perception and practice depending on age, education, career in long-term care hospital, job position, the quantity of beds, nurse, and nurse assistant, beds per a nurse and proportion of nurses in hospitals. Conclus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systematic and continual education on hospital infection control of the nursing staff in long-term hospitals should be carried out. In addition, the policy to add more nurses into long-term care hospitals must be implemented.

도뇨관 관리를 위해 가정간호에 의뢰된 환자의 요로감염실태 (Urinary Tract Infections in Catheterized Patients Receiving Home Care Nursing)

  • 박민아;이종은;조영이;장정숙;최지연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8-185
    • /
    • 2021
  • Purpose: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risk factors for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CAUTI) in patients receiving home care nursing. Methods: A total of 117 participants registered for home care nursing provided by the University of C hospital in Seoul were included in the study. Data were based on a survey and urine examination results from June to July 2018. Results: Asymptomatic bacteriuria was identified in 96 (82%) patients. Age, sex, activity, diabetes mellitus, mental status, presence of other diseases, catheter material type, catheter size and fixation, hand washing (care giver), gloving (care giver), perineal care, and bladder irrigation were not recognized as risk factors for CAUTI. Age and catheterization duration were associated with CAUTI. Conclusions: Old age was found to be a risk factor for CAUTI (p=0.048). CAUTI incidence decreased as catheter use exceeded 70 months (p=0.028).

인증 한방병원과 비인증 한방병원 간호사의 감염예방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의 차이 비교 (A Comparison of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for Infection Prevention between Nurses at Accredited Korean Medicine Hospitals and Non-accredited Korean Medicine Hospitals)

  • 심선자;박현주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8권2호
    • /
    • pp.91-99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of infection prevention between nurses at accredited Korean medicine hospitals and non-accredited Korean medicine hospital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138 participants (69 nurses from 3 accredited hospitals and 69 nurses from 3 non-accredited hospitals) in January of 2021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arri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4.0 Program. Results: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s of nurses'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of infection prevention at accredited Korean medicine hospital (40.54±2.74)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2) than the scores of nurses at the non-accredited Korean medicine hospitals (38.94±3.28). After controlling for covariates, the results were same. In addition, we found that scores of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 for infection prevention in nurses at hospitals belong to university were significantly high compared to those of nurses at private hospitals. We also found that the scores of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 for infection prevention in nurse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urses with less than 3 years of experience (p=.039). Conclusion: Nurses working at the accredited Korean medicine hospitals showed higher scores of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 for infection preven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participation in the hospital accreditation program should be encouraged for the Korean medicine hospitals.

우유의 체세포내 면역 표지자 분석을 통한 소 유방염 진단 (Leukocyte Markers Differentiate Non-Infected from Spontaneously Infected Dairy Cows)

  • 유도현;이종현;송루희;노동호;이영화;이미진;박진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24-527
    • /
    • 2009
  • 본 연구는 소의 유선 내 감염(유방염)과 체세포 면역 표지자의 상관 관계 분석을 위하여 자연적으로 감염된 젖소와 건강한 젖소의 우유를 비교한 단면조사 연구이다. 유방염에 이환된 31마리의 국내 젖소의 우유에서 세 가지의 체세포 면역 표지자(CD11b, CD4, CD8)의 발현과 체세포 수(SCC), 그리고 세균학적인 분석(배양 및 PCR검사)을 통한 감염 여부 및 병원체의 종류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감염된 젖소의 우유는 건강한 젖소의 우유보다 체세포 내의 CD11b와 CD4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CD4/CD8비율도 높았다. 그러나, 병원체의 종류에 따른 증가된 체세포 면역 표지자와는 커다란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감염된 병원체의 수와 관련해서는, 체세포 면역 표지 인자 CD11b, CD4의 발현 그리고 CD4/8 비율의 증가와 현저한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면역 표지자를 이용한 우유의 체세포 분석을 통하여 특발성 소 유방염의 진단 및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