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병원정보시스템

Search Result 74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dy on Hospital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and Maintenance from user view plan (병원정보시스템(HIS) 운영 및 유지보수에서의 사용자 중심방안 연구)

  • Cho, Wang-Hyeon;Kim, Byu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665-668
    • /
    • 2006
  • 급격한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라 최근 중 대형병원중심으로 많은 예산을 병원정보시스템 구축에 투자하고 있다. 이렇게 구축된 병원정보시스템들에 대한 사용자 중심의 운영 및 유지보수서비스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하지만, 병원정보시스템 유지보수는 사용자의 의견이 무시되고 운영자의 의지에 좌우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병원정보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병원정보시스템의 유지보수를 위한 사용자의 문의 및 요청 사항을 웹상에서 실시간으로 확인 할 수 있는 도구를 소개하여 병원정보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기능을 사용자 중심으로 개선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하여 사용자 중심적인 시스템 운영, 신규 시스템 개발 시 사용자 참여 유도를 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ata Warehousing System of General Hospital (종합병원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에 관한 연구)

  • 박찬석;고석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2.11a
    • /
    • pp.304-318
    • /
    • 2002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서 운영중인 병원정보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을 기준으로 업무별 데이터 마트를 구성하여 종합병원 데이터 웨어하우스 시스템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병원 데이터웨어하우스 모형은 충남대학교병원 데이터 웨어하우스 시스템 구축 보고서, Inmon의 데이터 웨어하우스 개발방법론에 기초를 두었다. 종합병원의 데이터하우스시스템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무 데이터마트, 병원의 원무팀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써 수입에 관련된 정보, 진료인원에 관한 정보, 심사/청구/삭감에 관한 정보들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약국 데이터마트, 처방전달 데이터 마트와 연결되어 외래/입원의 처방에 관한 정보, 약에 대한 효능과 성분에 대한 정보, 투약과 검사에 대한 정보들로 구성된다. 셋째, 의무기록 데이터마트, 의무기록팀에서 관리하는 퇴원 정보, 암환자에 대한 정보, 외래/입원 환자 통계에 대한 정보들로 이루어진다. 넷째, 처방전달 데이터마트, 주로 의사가 환자에게 행한 처치/처방/수술과 진료기록에 대한 정보들을 기준으로 환자진료나 임상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다섯째, 병원 행정 데이터마트, 인사정보, 급여정보, 회계정보, 예산정보, 물류정보 등으로 구성되어 병원의 자원활용이나 행정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여섯째, 경영지원 데이터마트, 병원경영에 필요한 수입정보, 원가분석 정보, 진료인원 정보들을 한 형태로 제공한다. 또한 의사결정 형태도 의료진 중심의 병원에서 환자중심의 병원으로 구조를 바꾸었고 투명한 정보공유와 기초 데이터들의 정제는 부가가치가 높은 정보로 가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각 전문 직종간의 단절된 정보 흐름을 유기적으로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지식의 교환을 촉진시켰다. 그리고 온라인거래처리시스템(OLTP)의 한계점인 하드웨어적인 문제와 성능 저하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였고, OLTP시스템에서 분리되고 이원화된 코드체계와 데이터 형태의 이질화를 통일하는 방법으로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결국 병원에서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의 구축은 임상, 연구, 교육의 유기적 순환관계를 정립하여 지식의 순환적 고리인 수집, 공유, 확산, 재창출을 지속적 유지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해 준다. 반면 상이한 정보들간의 충돌과 이에 따른 해석의 오류로 잘못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기초정보의 접근 및 추출의 유용성에 의해서 정보유출에 대한 문제가 한계점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Data Warehousing System of General Hospital (종합병원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에 관한 연구)

  • 박찬석;고석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2.11a
    • /
    • pp.304-318
    • /
    • 2002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서 운영중인 병원정보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을 기준으로 업무별 데이터 마트를 구성하여 종합병원 데이터 웨어하우스 시스템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병원 데이터웨어하우스 모형은 충남대학교병원 데이터 웨어하우스 시스템 구축 보고서, Inmon의 데이터 웨어하우스 개발방법론에 기초를 두었다. 종합병원의 데이터하우스시스템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무 데이터마트, 병원의 원무팀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써 수입에 관련된 정보, 진료인원에 관한 정보, 심사/청구/삭감에 관한 정보들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약국 데이터마트, 처방전달 데이터 마트와 연결되어 외래/입원의 처방에 관한 정보, 약에 대한 효능과 성분에 대한 정보, 투약과 검사에 대한 정보들로 구성된다. 셋째, 의무기록 데이터마트, 의무기록팀에서 관리하는 퇴원요약 정보, 암환자에 대한 정보, 외래/입원 환자 통계에 대한 정보들로 이루어진다. 넷째, 처방전달 데이터마트, 주로 의사가 환자에게 행한 처치/처방/수술과 진료기록에 대한 정보들을 기준으로 환자진료나 임상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다섯째, 병원 행정 데이터마트, 인사정보, 급여정보, 회계정보, 예산정보, 물류정보 등으로 구성되어 병원의 자원활용이나 행정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여섯째, 경영지원 데이터마트, 병원경영에 필요한 수입정보, 원가분석 정보, 진료인원 정보들을 요약한 형태로 제공한다. 또한 의사결정 형태도 의료진 중심의 병원에서 환자중심의 병원으로 구조를 바꾸었고 투명한 정보공유와 기초 데이터들의 정제는 부가가치가 높은 정보로 가공할 수 있게 되었으며 각 전문 직종간의 단절된 정보 흐름을 유기적으로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지식의 교환을 촉진시켰다 그리고 온라인거래처리시스템(OLTP)의 한계점인 하드웨어적인 문제와 성능 저하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였고, OLTP시스템에서 분리되고 이원화된 코드체계와 데이터 형태의 이질화를 통일하는 방법으로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을 제시하였다. 결국 병원에서 데이터웨어하우스 시스템의 구축은 임상, 연구, 교육의 유기적 순환관계를 정립하여 지식의 순환적 고리인 수집, 공유, 확산, 재창출을 지속적 유지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해 준다. 반면 상이한 정보들간의 충돌과 이에 따른 해석의 오류로 잘못된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기초정보의 접근 및 추출의 유용성에 의해서 정보유출에 대한 문제가 한계점으로 나타났다.

  • PDF

A Review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 Quality Evaluation from the Viewpoint of Software Usability (병원정보시스템 품질 평가에 대한 소프트웨어 사용성 관점에서의 고찰)

  • Park, Chan-Seok;Koh, Seok-Ha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9 no.2
    • /
    • pp.169-187
    • /
    • 2007
  •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haracteristics that a desirable quality, especially usability, evaluation method of hospital information systems(HIS) should possess. This study reviews the literature recently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s which are in the Science Citation Index or registered by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Especiall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was the valuable source, providing almost 20 literature. The results reveal the need to develop a domain-specific usability evaluation method that reflects the uniqueness of hospital industry. The results show user-centeredness and context-orientedness are the indispensible characteristics of a HIS quality evaluation method too.

A Case Study on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Usability (병원정보시스템 사용성에 대한 실증연구)

  • Park, Chan-Seok;Lee, Hyen-Uoo;Koh, Seok-Ha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0 no.3
    • /
    • pp.289-311
    • /
    • 2008
  • This study is a development of quality scale and a measurement of quality levels for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HIS) used in the hospital industry. This study is to provide decision-making guidelines for hospital managers, system analysts, and software designers, and to provide feedback for the users' information needs. The target people of the study were medical doctors, nurses, pharmacists, and clerical staff. The service contexts of usability were diagnosis/treatment, nursing, medicine preparation, and treatment fee receipt/claim. The quality factors were the efficiency,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IS09241-11. This study shows that the current domestic HISs are mostly based on patient diagnosis/treatment and treatment fee accounting, and that other quality scales are necessary according to different job categories, specializations, positions, and service domains. Especially, the low quality of HIS was found in the abnormal service processing, information sharing by outside institutions, and standardization. It may be added that the HIS should be improved and developed in these respects.

An Implementation of schema mapping module for heterogeneous databases in Mobile Nursing Information System (이동형 간호정보시스템 환경에서의 상이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사상을 위한 모듈의 구현)

  • 지태성;전종훈;최진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74-276
    • /
    • 2001
  • 진료와 간호가 발생하는 현장에서 직접 임상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최근 모바일 컴퓨팅기술을 의료분야에 접목시키고자하는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시도의 하나로서 PDA를 이용한 간호정보시스템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기존의 병원정보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여 사용되도록 구성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간호정보시스템이 병원정보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구조에 독립적으로 연동이 가능하도독 하는 스키마사상 모듈을 제안한다. 또한, 간호정보시스템을 활용할 경우, 간호 업무를 위해 PDA와 메이저를 동시에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페이저의 기능이 추가된 PDA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간호사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는 모듈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 PDF

The Case Study of EMR System Implementation (EMR시스템 구축 사례연구: 조선대학교 병원)

  • Choi, Kwangseok;Koo, Chulmo;Lee, Daeyong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5 no.2
    • /
    • pp.41-58
    • /
    • 2013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theoretically assess IT Implementation Model of Cooper and Zmud (1990) in a hospital IS use context. A case study was applied to analogical study by interview from several end-users of the information systems at a university hospital. This study presented an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s how is initially implemented at an initial stage, continually adopted, adapted, accepted at an adoption stage, and finally rountinized and infused into an organization. Our study also elaborated IT Implementation Model as defining EMR development and its impact on nature of IS use in a hospital. This case study explained the characteristics of EMR and hospital organization context conceptually.

  • PDF

The Impacts of Convergenc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Quality on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융복합 병원정보시스템 품질이 시스템 만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Noh, Mi-Ji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9
    • /
    • pp.73-8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uccess model for hospital information system(HIS) based on the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proposed by DeLone and McLear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hospital information system quality such as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and service quality, user satisfaction, individual performance, and hospital performance. The information quality was examined as accuracy and timeliness, the system quality as security and reliability, and the service quality as convenience and playfulness. We collected 209 questionnaires from hospital employees from October to December 2020, analyz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25.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information accuracy in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had an effect on user satisfaction, but the timeliness did not. System security and reliability affected user satisfaction, but convenience did not. On the other hand, enjoy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and user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 and hospit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meaningful guidelines for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healthcare as well as hospital information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