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원성세균

검색결과 840건 처리시간 0.053초

수돗물에서 병원성 세균

  • 이동근;김상종
    • 한국동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학회 1996년도 한국생물과학협회 국제학술대회
    • /
    • pp.96.1-96
    • /
    • 1996
  • PDF

득량만 해수의 세균학적 수질 (Bacteriological Quality of Sea Water in Deukryang Bay, Korea)

  • 장동석;정은탁;유홍식;이은우;임성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7-81
    • /
    • 1998
  • 득량만 해수에 대한 세균학적 수질을 평가하여 수출용 패류생산지정 해역수질에 합당한가를 파악함과 동시에 지표세균의 조성, 병원성 세균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득량만 해수의 세균학적 수질은 만 안쪽의 연동지선의 일부해역 (area IV)을 제외하고는 수출용패류의 생산해역의 수질기준에 합당하였다. 2. 대장균군의 최확수는 해수 100ml당 <\;3.0\~4600$의 범위였으며 230을 초과하는 시료의 비율은 $7.4\%$였고, 분변계대장균의 최확수는 $<\;30\~1,100$의 범위였으며 43을 초과하는 시료의 비율은 $8.5\%$로 한계치 $10\%$에 미달하였다. 3. 강우시에는 비강우시에 비하여 세균 오염도가 높았으며 특히 93mm의 강우가 있은 48시간 이후에도 비강우시의 $6\~7$배나 높은 세균오염도를 나타내었다. 4. 대장균군의 분류결과 Escherichia coli가 약 $54\%$나 되어 오염원의 주류가 분변오염임을 알 수 있었다 5. 살모넬라, 시겔라, 콜레라균 등 수인성 병원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6. 병원성 비브리오균은 여름철인 $6\~8$월 사이에는 시료의 $15\~20\%$에서 양성으로 나타났다.

  • PDF

Xanthomonascampestris pv. pruni와 Erwinia nigrifluens에 의한 복숭아 및 자두의 세균성구멍병 (Shot Hole of Peach and Japanese Plum Caused by Xanthomonas campestris pv. Pruni and Erwinia nigriflens in Korea)

  • 최재을;이은정;박영섭
    • 식물병연구
    • /
    • 제6권1호
    • /
    • pp.10-14
    • /
    • 2000
  • 1998년 나주와 밀양에서 재배중인 복숭아와 자두에서 세균성 구멍병이 발생하였다. 복숭아와 자두의 병반으루부터 분리한 균주의 세균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병원세균 중 2균주는 Xanthomonas campestris pv. pruni로, 3균주는 Erwinia nigrifluens로 동정되었다. E. nigrifluens는 국내에서는 복숭아와 자두의 세균성 구멍병으루 처음 분리되었다. 이 균주는 X. campestris pv. pruni에 의한 병징과 구분하기가 곤란하고, 2종류의 병워세균이 동시에 침입하여 발병하는 것으루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E. nigrifluens와 X. compestris pv. pruni에 의한 복숭아와 자두의 세균병을 각각 \"복숭아, 자두의 세균성구멍병\"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할 것을 제안한다.

  • PDF

면역억제성 및 난계대성 질병 현황과 해결책

  • 이동우
    • 월간양계
    • /
    • 제33권8호통권382호
    • /
    • pp.155-157
    • /
    • 2001
  • 닭의 면역억제성 질병은 많은 종류가 알려져 있으며, 새로운 병원체에 의한 또는 기존의 바이러스나 세균의 변이에 의한 면역억제성 질병의 유발 가능성은 향상되고 있다. 또한 닭은 생리학적과 해부구조학적으로 계란을 통한 병원체의 전파, 소위 난계대성전염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면역억제성 질병은 특이한 증상이 없이 준임상형 감염으로 나타나지만 경제적으로는 크나큰 피해를 일으킨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준임상형 면역억제성질병에 의한 피해는 현격히 눈에 띄지 않으므로 양계산업에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전세계적으로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이다.

  • PDF

대학 동물병원 임상 검체로부터 분리된 혐기성 세균과 항생제 감수성 양상 (Isolation of Anaerobic Bacteria from Clinical Specimens in Veterinary Medical Teaching Hospital)

  • Park, Se-won;Chung, Jin-young;Hwang, Cheol-yong;Youn, Hwa-young;Han, Hong-ryul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5-19
    • /
    • 2004
  • 치료 실시중 세균의 항생제 내성 발현은 임상 분야의 중요한 문제점중 하나인데 중요한 원인중 하나는 원인세균의 분리와 그에 따른 항생제 감수성 검사 결과에 바탕을 두지 않은 무분별하며 적절치 않은 항생제를 선택함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동물 병원에 내원한 임상증례로부터 채취한 임상검체에서 협기성 세균을 분리 동정하고 항생제 감수성 양상을 검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1년 5월부터 2002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 동물병원에 내원한 개, 고양이 및 토끼로부터 채취한 임상검체에 대해 협기성 배양을 실시하고 분리 동정된 세균에 대해서는 표준 디스크 검사법을 이용해 항생제 감수성을 평가하였다. 총 13주; Bacteroidesspp. (3주), Fusobacterium spp. (2주), Peptostreptococcus spp. (2주), Porphyromonas gingivalis (2주), Prevotella spp. (3주), Propionibacterium acnes (1주)의 혐기성 세균이 분리동정 되었으며 항생제 감수성 검사에서는 Fusobucterium varium 1주만이 norfloxacin 에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나 그 외 모든 분리주가 검사대상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 6월에 트롤어법으로 어획된 남해안 자연산어류에 대한 질병 모니터링 (Monitoring of diseases in wild marine fish stocks collected in June 2006 by a trawl in the Southern Korean Waters)

  • 조미영;이덕찬;김진우;차승주;박신후;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5-225
    • /
    • 2006
  • 자연산어류의 질병 감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6년 6월에 남해안 해역에서 트롤에 의하여 어획된 개체 중 13 종 176 개체의 어류와 1 종 15개체의 새우류 등 총 191 개체의 자연산어류에 대한 바이러스성 및 세균성 질병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 양식 어류의 주요 질병과 관련한 바이러스성 병원체의 존재는 확인되지 않았다. 시료 6 개체에서 세균이 분리되어 확인한 결과 Pseudomonas속 세균 5 균주와 Proteus속 세균 1균주가 확인되었으나 양식 어류의 폐사와 관련한 세균군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며, 양식산어류의 질병 발생에 대한 관련성을 밝히기 위하여 자연산어류에 대한 더 많은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포장(圍場)과 수확후(收穫後)에 채소부패병(菜置腐敗病)을 일으키는 병원세균(病原細菌)의 동정(同定) -3. 무우의 세균성(細菌性) 부패병(腐敗病) (Identification of Bacteria Causing Rot Diseases of Vegetables in Fields and Post-harvest Period in Korea -3. Bacterial Rot Diseases of Radish)

  • 최재을;한광섭;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38-142
    • /
    • 1988
  • 무우 재배(栽培)에 중대(重大)한 장해(障害)로 되어 있는 무우 부패병(鷹敗病)의 원인(原因)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전국(全國)의 주요시장(主要市場) 및 생산지(生産地)로부터 수집(蒐集)한 리병질(罹病秩) 58점(點)으로부터 분리(分離)한 34균(菌株)의 병원세균(病原細菌)에 대(對)한 세균학적(細菌學的) 성질(性質)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E. carotovora subsp. carotovora와 Pesudomonas marginalis pv. marginalis가 관여하고 있다는 것이 판명(判明)되었다. 이 중에서 E. carotovora subsp. carotovora가 무우 부패(腐敗)의 주(主) 원인(原因)으로 생각되며, P.marginalis pv. marginalis는 무우 부패병(腐敗病)의 병원세균(病原細菌)으로는 국내(國內) 최초(最初)로 분리(分離), 동정(同定)되었다.

  • PDF

개에서 분리된 호기성 병원성 세균의 항생제 감수성 (Aerobic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atterns of Bacteria Isolated from Dogs)

  • Hee Yoo;Park, Se-Won;Hwang, Cheol-Yong;Youn, Hwa-Young;Han, Hong-Ryul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03-311
    • /
    • 2002
  • 질병을 유발하는 세균의 분리와 동정, 그리고 그 세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검사는 치료에 효과적인 항생제를 선택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생제 감수성의 경향을 알아보고 치료를 위한 효과적인 항생제 선택을 위해 세균을 동정하는 것이었다. 1999년 7월부터 2000년 9월 사이에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에 내원한 개로부터 실험재료를 채취하여 호기배양을 실시하였다. 피부(63개), 뇨(45개), 외이도(31개), 안결막(18개)으로부터 채취한 총 157개 시료를 이용하였다 내원한 환자의 피부, 외이도, 결막에서 가장 많이 분리된 세균은 S. intermedius였다. 내원한 환자의 뇨에서 가장 많이 분리된 세균은 E. coli 였다. 분리된 그람 양성 세균의 대부분은 ampicillin(80.6%), erythromycin(68.8%), penicillin(86.2%), tetracycline(89.2%) 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분리된 그람 음성 세균의 대부분은 ampicillin(73.4%), trimethoprim-sulfa(53.3%) 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E. coli는 ciprofloxacin(6l.5%), piperacillin(69.2%) 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분리 동정된 세균의 채취부위에 따른 항생제 감수성의 차이는 뇨중의 S. aureus를 제외하고는 특이할 만한 사항이 없었다.

전방 경추 수술 후 발생한 세균성 뇌수막염과 동반된 척수염 (Bacterial Meningitis Complicated by Myelitis Following Anterior Cervical Spinal Surgery)

  • 함동훈;최병열;정명철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519-524
    • /
    • 2021
  • 척추 수술 후 뇌수막염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지만 치명적일 수 있다. 49세 남자 환자가 제5, 6 경추부의 추간판 탈출증에 의한 압박성 척수증 진단하에 전방 경추부 감압술 및 유합술을 시행받았다. 술 후 심한 경부통 및 경부 강직, 발열이 발생하였고 수술 일주일 째 갑자기 사지 마비 증상을 보였다. 추시 자기공명영상 검사 및 뇌척수액 검사상 세균성 뇌수막염과 동반된 척수염이 확인되었다. 환자는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 치료를 시행받았으나 결과는 불량하였다. 저자들은 전방 경추 수술 이후 발생한 뇌수막염과 동반된 척수염 증례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Vibrio parahaemolyticus에 의한 Alkaline Pretense 생산조건(II)

  • 한종흔;강현록;황미경;김병철;양지영;차재호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추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117-118
    • /
    • 2000
  • 매년 많은 식중독 사고가 보고되고 있는데,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생선의 소비량이 많기 때문에 Salmonella 다음으로 Vibrio에 의한 식중독 사고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세균성 식중독은 일반적으로 미생물이 숙주세포에 침입을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숙주세포 표면의 여러 단백질 층을 분해해야 한다. 이때 작용하는 단백질 분해효소가 병원성에 직ㆍ간접적으로 관여된다고 생각되고 있으며, 비브리오균이 생산하는 여러 가지 단백질 분해효소가 인간이나 어류의 병원성에 관여되어진다고 보고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