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병원감염관리 수행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33초

요양병원 간호인력의 병원감염관리 지식이 병원감염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 건강신념의 매개효과 (Effects of Care Hospital Nursing Staff's Knowledge of Nosocomial Infections Management on the Execution of Nosocomial Infections Management: Mediating Effects of Health Belief)

  • 최윤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463-471
    • /
    • 2021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인력을 대상으로 병원감염관리 지식과 병원감염관리 수행 간의 건강신념의 매개효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부산 소재 5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간호조무사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12부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SPSS 25.0, SPSS Procee Macro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병원감염관리 지식은 병원감염관리 수행에 유의미하였고(B=2.90, p<.001), 건강신념의 영향력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B=.52, p<.001). 병원감염관리 지식은 병원감염관리 수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건강신념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병원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간호조무사가 인지하는 병원감염관리 지식이 병원감염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건강신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요양병원 간호조직의 효과적인 병원감염관리를 수행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그 의의가 있다.

의료기관 종사자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 (The Awareness and Performances of Medical staffs on the Infection Control in Health Care Facilities)

  • 서민정;박은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31-138
    • /
    • 2017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의 11개 병원에 근무하는 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병원감염관리 인지도와 수행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병원 내 감염관리부서, 감염관리 지침서, 감염관리 교육의 유무에 관계없이 인지도, 수행도의 척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감염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 집단의 인지도, 수행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01). 감염관리에 대한 수행을 실천하지 못하는 주된 원인은 업무과다와 시간부족으로 나타났으며, 99.7%의 응답자가 감염관리 교육이 필요하다고 답하여 사회 전반적으로 병원감염에 대한 경각심이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적으로 인지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게 분석되었으며, 병원감염을 낮추기 위해서는 실현가능한 제도의 개선과 종사자 개인의 적극적인 수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병원감염관리에 관한 인지도와 수행도 - 중소병원 초보간호사를 중심으로 - (Awareness and performance about nosocomial infection management; a early stage nurse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 김정미;최영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92-500
    • /
    • 2018
  •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초보간호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 정도를 확인하고, 병원감염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7년 9월15일부터 2017년 9월 30일까지 A시와 B시에 300병상 규모의 중소병원 2곳의 초보간호사 150명중 무응답 및 미흡한 응답자 11명을 제외한 13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사후검정은 $Scheff{\bar{e}}$ test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를 비교해 본 결과 요로 감염관리, 호흡기 감염 관리 그리고 소독 오염물품 관리 부분은 연령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수행 정도는 손 씻기 영역에서는 근무부서와 직위, 수액요법영역은 감염관리 교육 필요성 여부(p<.001)에서, 요로감염관리 영역 및 호흡기 감염관리 영역(p=<.001)에서는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 정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손 씻기, 수액요법, 요로감염관리, 호흡기 감염관리, 감염성 폐기물 관리, 소독오염 물품관리영역의 모든 영역에서 인지도가 수행도 보다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경험과 지식이 부족한 초보간호사들이 병원감염관리 간호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수행도도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병원감염관리 관련 교육프로그램이 구체적으로 개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방사선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 수행도 및 임파워먼트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Performance and Empowerment about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in Radiological Technologists)

  • 김미정;문일봉;손석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328-336
    • /
    • 2013
  • 방사선사들의 병원감염 예방지침의 인식정도와 그 수행 능력 정도를 알아보고 병원감염관리의 개선 및 방사선사의 감염관리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C대학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방사선사 84명(평균연령 41세, 남 61명, 여 23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10문항, 병원감염관련 문항 10문항, 병원감염관리 인지도 측정도구 24문항, 병원감염관리 수행도 측정도구 24문항, 임파워먼트는 12문항으로 방사선사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연령,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병원감염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연구대상자의 병원감염 특성에서 감염관리 수행을 실천하지 못한 이유는 업무과다 (42.9%), 지식부족 (17.8%), 시간부족 (16.7%) 순이었다. 연구 대상자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 수행도, 임파워먼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지도와 수행도(r=0.476), 인지도와 임파워먼트(r=0.276), 수행도와 임파워먼트(r=0.459)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연구대상자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수행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임파워먼트가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방사선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ospital Infection Management of Radiological Technologist)

  • 정봉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727-735
    • /
    • 2018
  • 본 연구는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특성과 인지도 및 수행도를 분석하여 병원근무 시 감염관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수행 능력을 향상하고, 병원감염관리의 개선 및 방사선사의 감염관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도구는 설문지로 2018년 04월01일부터 04월30일까지 경남에 소재하는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총400부를 배부하여 연구에 적합한 320부를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요인으로는 병원감염에 관한 특성 5문항과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로 손위생관리, 개인위생 및 의복관리, 의료기구 및 소모품관리, 청소 및 폐기물관리, 검사실 및 환경관리 등, 총60문항으로 분석하였다. 인구사회학적특성으로 성별, 결혼, 연령, 학력, 근무기관, 근무경력, 근무부서를 기준으로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는 $4.19{\pm}.60$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수행도에서도 $4.22{\pm}.52$점으로 높게 나타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에서 경남지역 방사선사들의 병원감염관리 수준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방사선사의 인지도 및 수행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요인이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66.1%의 설명력과 함께 유의한 양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의료기관 다양한 부서에서 근무하는 방사선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감염관리교육과 더불어 병원업무 환경개선을 통한 수행능력을 향상시켜야 하며, 병원감염관리 및 예방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병원감염관리 업무에 대한 전문성 확보와 함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방사선사의 병원감염예방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adiologists'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Hospital Infection Prevention)

  • 여진동;전병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321-333
    • /
    • 2012
  • 본 연구는 방사선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를 파악하여 병원감염관리 방안의 개선 및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의 평균 평점은 150점 만점으로 인지도 141.05점과 수행도 138.15점으로 모든 영역에서 인지도가 높을수록 수행도가 높은 정상관계를 보였으나 인지도에 비해 수행도가 전체적으로 낮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염관리 교육의 필요성, 감염예방 교육여부, 환자의 질병상태 인지 여부 등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염예방 교육여부, 환자의 질병상태 인지여부, 인지도 등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임상실습 중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for infection control during clinical training)

  • 박영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307-315
    • /
    • 2017
  • 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상실습지에서 치과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를 조사하여 병원내 감염을 최소화 시키고 교육과정개발과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할 때 감염관리 지침과 행동지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경북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에서 임상실습을 실제 경험한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치과의원, 치과병원,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에 실습한 학생을 구분하여 각 실습지에 따른 치과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감염방지에 대한 교육 경험자가 많았으나 실습지에 따라 감염방지관리의 수행정도는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에서 높았으며 실습지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이 임상실습시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감염관리 지침서를 제작하여 임상실습기관에 배부하고 담당자를 통해 관리하며 학교 측에서는 임상실습과 연계성 있는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체계적인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소병원 임상간호사의 감염관리 지식과 표준주의 수행도 (Infection Control Knowledge and Standard Precaution Practice among Clinical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 이순희;양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07-115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병원 간호사의 감염관리 지식, 표준주의 수행도를 파악하고 표준주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 방법으로 7개 중소병원 간호사 258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감염관리 지식은 평균 7.25점, 표준주의 수행도는 평균 3.61점이었으며, 임상경력(r=.123, p=.047)과 직위(F=5.356, p=.005)에 따라 표준주의 수행도에 차이를 보였다. 감염관리 지식과 표준주의 수행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421, p<.001), 표준주의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위(β=-.187, p=.025)와 감염관리 지식(β=.408, p<.001)으로 나타났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의료관련감염 관리를 위한 표준주의 수행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염관리에 대한 융복합 교육이 요구된다.

요양병원 간호 인력의 건강신념, 감염관리 지식이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ealth Belief and Knowledge on Performance of the Infection Control among Nursing Staffs in Long-Term Care Hospital)

  • 장옥선;박점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501-508
    • /
    • 2021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 인력의 건강신념과 감염관리 지식 및 수행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C시에 위치한 8개 요양병원에 재직중인 간호인력 146명이었고 자료수집은 2020년 9월에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감염관리 개인보호구 이용 용이성(β=-.198, p<.05), 건강신념(β=.124, p<.05), 건강신념 하위 변인인 지각된 민감성(β=.104, p<.05), 지각된 유익성(β=.111, p<.05)이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요양병원 간호 인력의 감염관리 수행도를 향상을 위하여 개인의 건강신념 중 지각된 민감성을 이용하여 감염관리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과 기존의 교육방법과 다른 요양병원의 특성에 맞는 다양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도입 할 것을 제언한다.

중소병원 의료기사의 감염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State Infection Control for Medical Technician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 이수만;김철호;김판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27-137
    • /
    • 2017
  • 본 연구는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의료기사의 병원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의료기사(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23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계적 처리는 SPSS Ver.23.0으로 평균과 표준편차,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감염관리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주원인은 전문가 부재($3.17{\pm}1.18$)이며, 감염관리에 대한 인지도보다 수행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감염사고 후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40.0%(94명)가 가장 높았으며, 소독 검사 예방접종 후 부서장에게 보고는 표준화회귀계수 베타가 -0.265, p=0.025로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쳤다. 감염관리 수준은 교육여부 및 감염관리지침여부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중소병원 의료기사들의 감염관리에 대한 전문인력, 교육, 감염관리지침 등의 필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더욱더 효율적인 감염관리가 가능해질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