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볏짚

검색결과 732건 처리시간 0.019초

볏짚재를 혼입(混入)한 콘크리트의 공학적(工學的) 특성(特性)에 관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Rice-Straw Ash Concrete)

  • 이희만;민정기;김영익;서대석;남기성;성찬용
    • 농업과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65-70
    • /
    • 1999
  • 이 연구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와 천연골재 및 볏짚재를 혼입한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을 실험적으로 구명한 것으로서,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볏짚재 콘크리트의 동탄성계수는 $289{\times}10^3{\sim}345{\times}10^3kgf/cm^2$ 정도로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의 91~108%로써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볏짚재를 5% 혼입한 콘크리트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2. 볏짚재 콘크리트의 정탄성계수는 $268{\times}10^3{\sim}335{\times}10^3kgf/cm^2$ 정도로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와 유사하게 나타났고, 볏짚재를 5% 혼입한 콘크리트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3. 볏짚재 콘크리트의 푸아송수는 4.235~6.604의 범위로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보다 대체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4. 적정량의 볏짚재를 혼입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할 경우, 볏짚재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이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보다 우수할 뿐만 아니라, 농업부산물의 활용으로 인한 경제적 측면서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논토양에서 가축분뇨 액비시용이 볏짚 분해에 미치는 영향 (Decomposition of Rice Straw in Paddy Soil as Affected by Application of Liquid Pig Manure)

  • 이상복;김종구;이경보;이덕배;김재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4-108
    • /
    • 2004
  • 논토양에서 축산액비처리에 의한 볏짚 부숙 촉진을 위하여 액비 시용량별로 볏짚에 처리한 후 경운과 무경운을 하여 120일 동안 볏짚의 분해정도를 검토하였다. 볏짚의 분해율은 액비를 증시할 수 록 경운처리가 무경운처리보다 높아 60일 이상 분해가 빨랐다. 볏짚 중 C 함량은 경운처리가 무경운보다 액비증시구에서 감소하였으나, N 함량은 0.7-0.8%로 경운과 무경운 그리고 액비 시용량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볏짚 중 셀루로스 함량은 액비시용 후 60일째까지 급격히 감소하다가 그 이후 완만한 감소를 보였으며, 액비 시용량이 많을수록 낮은 경향이었다. 토양 중 $NH_4-N$$NO_3-N$ 함량은 액비 시용량이 증가할 수 록 경운처리가 무경운처리보다 높았다. 토양 중 셀루로스분해균수는 $10^5cfu\;g^{-1}$이상으로, 경운이 무경운처리보다 많았고 60일경에 가장 많은 경향이었으며 암모니아산화균은 60일째에, 탈질균은 90일째에 경운처리가 무경운보다 액비증시구에서 많았다. 따라서 볏짚에 액비시용 후 경운처리는 미생물의 생장을 증가시켜 볏짚분해에 촉진하는 결과임을 보여주었다.

논 토양(土壤)의 생물적(生物的)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미치는 볏짚 시용효과(施用効果) -I. 볏짚 시용방법(施用方法)이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Rice Straw Application on the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of Paddy Fields. -I. Effects of Application Method of Rice Straw on the Nitrogen Fixing Activity)

  • 유익동;타츠히코 마츠구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7-83
    • /
    • 1983
  • 논토양(土壌)의 생물적(生物的)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 및 수도생육(水稻生育)에 미치는 볏짚시용(施用) (특(特)히 시용방법(施用方法); 표면시용(表面施用)과 혼층시용(混層施用))효과(効果)를 밝히기 위하여 황천(荒川) 충적토양(沖積土壌)과 회목(栃木) 화산회토양(火山灰土壌)을 충분(充墳)한 라이시메타 시험(試験)을 실시(実施)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볏짚시용(施用)은 혼층시용(混層施用), 표면시용(表面施用) 어느 경우에도 수도(水稻) 생육초기(生育初期) 1~2개월(個月) 사이에 작토(作土) 표층부(表層部) (0~1cm)의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 특(特)히 광합성미생물(光合成微生物)에 의한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을 현저(顕著)하게 증대(増大)시켰다. 2. 볏짚 시용방법(施用方法)에 따라서는 혼층시용(混層施用)보다도 표면시용(表面施用)하므로 더욱 현저(顕著)한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의 증대(増大)를 보였으며, 표면시용(表面施用)은 수도(水稻)의 생육(生育) 정도(程度)에도 양호(良好)한 결과(結果)를 가져왔다. 3.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작토(作土)에 잔존(殘存)하는 볏짚, 수도근(水稻根), 토양(土壌)을 각각(各各) 채취(採取)하여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을 비교(比較)한 결과(結果), 볏짚시용(施用)에 의한 표층부(表層部)에서의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의 증대(増大)는 시용(施用)되어진 볏짚 및 그 근방(近傍)에서 발현(発現)된 것으로 판명(判明)되었다. 4. 제초제(除草剤)의 산포(散布)(단(但) MO입제(粒剤))는 제초제(除草剤) 무산포구(無散布区)보다 오히려 표층부(表層部) 볏짚의 질소고정활성(窒素固定活性)의 증대(増大)를 가져왔다.

  • PDF

육계병아리 사육에 있어서 느타리버섯 재배 폐볏짚의 사료가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Feed Value of Waste Rice Straws for Broiler Chicken)

  • 오세정;김법회;이택원;조성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5-125
    • /
    • 1984
  • Broiler 사료에 있어서 밀기울 대신 느타리버섯재배 폐볏집을 대치하는 실험을 1,2차에 걸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재료인 느타리버섯재배 폐볏짚의 조성분을 분석한 바 원료볏짚과 비교하면 조단백질은 1.5% 증가되었고, 조지방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가용 무질소물과 조섬유는 약 10%이상 감소를 보이고 있었다. 2. 증체량은 느타리버섯재배 폐볏짚으로 대치한 구가 대조구에 비해 더욱 빨리 증체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4% 대치구와 유의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P<0.05). 3. 사료섭취량은 폐볏짚으로 대치한 구가 많이 섭취하였으나 처리구간에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4. 사료효율에 있어서도 처리구간에 유의성은 없었다. 5. Amino 산의 조성에 있어서는 밀기울과 느타리버섯재배 폐볏짚과 비교한 바 methionine만이 0.01% 다량 함유되어 있었고 여타 amino산은 모두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6. 폐볏짚의 사용량 증가를 위하여 6% 폐볏짚을 밀기울과 대치하고 메치오닌 혼합제를 첨가한 결과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에 있어서 유의성은 없으나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사료는 많이 섭취하고 사료효율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7. 경제성을 분석한 바 메치오닌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kg당 생산원가 높아져 (P<0.01) 6%까지 대치함은 경제성이 없음을 인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1, 2차시험 결과로 볼 때 폐볏짚에 의한 밀기울 대치는 4%가 한계라고 사료된다.

  • PDF

총산폐자원의 징생물학적 이용에 관한 연구 (제3보) 섬유소자화 세균의 기질로서 볏짚의 전처리 효과

  • 배무;김병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4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24.2-124
    • /
    • 1974
  • 전보에서 분리ㆍ등정한 섬유소 분해력이 강한 세균을 이용하여 볏짚에서 단세포단백을 생산할 목적으로 각종 알카리에 의한 볏짚의 전처리 효과를 살펴보았다. 즉, 규정농도의 알카리 용액에 24시간 실온에서 침지하여 중성이 될때까지 수세하고 건조시켜 무기염 용액에 4%첨가하여 5일간 진탕 배양한 후 균체량 증가 및 기질의 감소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중략)

  • PDF

볏짚의 시용(施用)이 수도(水稻)의 분벽(分蘖)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Rice Straw Application on the Tillering of Paddy Rice)

  • 허범량;이창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46-156
    • /
    • 1981
  • 볏짚 시용량(施用量) 차이(差異)가 수도분벽(水稻分蘗)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기 위(爲)하여 볏짚 시용량(施用量), 질소량(窒素量), 시용위치(施用位置) 및 배수(排水) 등(等)을 달리하여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볏짚 시용량(施用量) 증가(增加)는 초기분벽(初期分蘗)을 억제(抑制)하며, 최고분벽기출수기(最高分蘗期出穗期)를 지연(遲延)시키고 등숙율을 저하(低下)시켰다. 2. 볏짚 시용(施用)에 의(依)한 초기분벽기(初期分蘗期) 및 출수기(出穗期) 지연(遲延)을 단축(短縮)시켜 주지 못하였다. 3. 초기분벽(初期分蘗) 억제(抑制) 방지(防止)로서는 배수(排水)와 심층(深層) 시용(施用)이 효과적(效果的)이였다. 4. 볏짚 시용(施用)으로 토양(土壤)의 유기물(有機物) 및 칼륨의 증가(增加)가 현저(顯著)하였다.

  • PDF

벼의 생육시기가 한우 반추위 소화율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In-Situ Digestibility and Feed Value of Rice as Influenced by Ripening Stage)

  • 이성철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45-350
    • /
    • 1998
  • 본 시험은 우리나라의 조사료자원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대부분의 축산농가에서 조사료원으로 이용하고 있는 볏짚의 생육기별에 따른 사료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1998년 4월부터 동년 11월까지 우석대학교 부속 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볏짚의 생육기별 섬유소와 조회분 함량은 벼의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조단백질과 조회분 함량은 감소하였다. NDF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다. 황숙기 이후 hemicellulose 함량은 크게 감소하였고, cellulose 및 lignin 함량은 증가하였다. 2. 볏짚의 성숙기별 NDF의 반추위 분해율은 출수기때 가장 빨랐고, 유숙기부터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ADF의 반추위 분해율은 성숙기별에 따라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볏짚의 성숙에 따른 화학적 조성분의 변화와 반추위 분해율을 종합해 볼 때, 출수기까지의 볏짚은 아직 목질화가 완성되지 않아 섬유질의 반추위 분해속도도 빨랐고, 그 이후의 볏짚은 사료적 가치가 급속히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 PDF

볏짚으로부터 바이오오일 생산에 대한 열분해 반응온도의 영향 (Influence of Reaction Temperature on Bio-oil Production from Rice Straw by the Pyrolysis)

  • 강보성;박영권;김주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5권1호
    • /
    • pp.12-19
    • /
    • 2006
  • 볏짚은 국내에서 유용한 재생 가능한 바이오매스이다. 유동층과 char 분리 장치가 구비된 급속 열분해 장치를 이용하여 볏짚으로부터 바이오오일의 생산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온도변화에 따른 볏짚의 열분해 생성물의 분포와 생성물의 화학적 구성을 알아보고 바이오오일의 활용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급속 열분해 반응은 $466^{\circ}C,\;504^{\circ}C,\;579^{\circ}C$에서 각각 수행되었다. 유동화 매체로는 생성가스를 사용하였으며 유량은 약 30NL/min 였다. 볏짚의 열분해 결과 기체, 액체, 고체 물질을 얻을 수 있었으며, 기체물질은 GC(TCD, FID)를 이용하여 정성적, 정량적 분석을 하였다. 액체물질은 상등액과 tar가 풍부한 하등액으로 분리하여 발열량, 원소분석, 수분, GC/MS를 통해 화학구성성분을 분석하였다. 고체물질인 char는 원소분석을 하고 그 발열량을 측정하였다. 액체물질인 바이오오일은 화학특성 분석결과 대체 연료유뿐만 아니라 화학 원료물질로서의 사용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저품위 석탄의 원지반에서의 생물학적 메탄가스 생산에 관한 기초연구 (Basic Study on the in-situ Biogenic Methane Generation from Low Grade Coal Bed)

  • 왕페이;전지영;임학상;윤석표
    • 유기물자원화
    • /
    • 제23권4호
    • /
    • pp.11-20
    • /
    • 2015
  • 원지반에서의 저품위 석탄층의 생물학적 메탄 생산을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인도네시아산 갈탄을 시료로 이용하였으며, 조건을 달리하여 BMP(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실험을 수행하였다. 갈탄에 영양물질과 혐기성 슬러지만 제공한 경우, 온도(23, $30^{\circ}C$)나 석탄의 입자크기는 메탄가스 생산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는 가용한 용해성 유기물질이 낮기 때문이다. 외부탄소원으로 볏짚을 갈탄에 첨가한 후 BMP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60일간의 BMP 실험 후 볏짚 첨가에 의한 메탄가스 발생량은 94.4~110.4 mL/g VS이었다. BMP 실험 후 갈탄의 발열량은 볏짚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볏짚의 혐기성 분해와 함께 갈탄의 분해가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원지반에서의 저품위 석탄층의 생물학적 메탄 생산의 초기 운전 시에 볏짚을 탄소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양파망을 이용한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재배기술 (Establishment of artifical cultivation technique of Pleurotus ostreatus using an onion net)

  • 유영진;서상영;정기태;류정;고복래;최정식;김명곤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01-105
    • /
    • 2006
  • 본 연구는 볏짚을 이용한 느타리버섯 균상재배를 할 때 볏짚을 결속하고 절단하는 과정에서 많은 노동시간이 소요되어 이를 개선하고자 수행되었다. 볏짚과 폐면의 이화학적 성분은 다소차이가 있으나 폐면에서 C/N율은 84~85로 볏짚과 유사하여 혼합재료로 사용이 가능하다. 양파망 규격은 $35{\times}30cm$, 볏짚과 폐면의 배합비는 40:60(V/V)으로 하였을 때 6주기기간동안 평균수량이 양파망 1개당 1.450g 이였다. 배지재료를 준비하는 기간은 양파망재배가 볏짚 재재보다 3일정도 기간을 절감할 수 있었고 접종도 4시간정도 절략되어 전체적으로 3.5일정도 시간을 절략 5%의 경제적 이득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