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변형성

검색결과 6,631건 처리시간 0.035초

전자기 성형에서의 변형률 속도 효과 해석 (Analysis of the Strain Rate Effect in Electro-Magnetic Forming)

  • 곽신웅;신효철;이종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043-1058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전자기 성형법에 의한 원통형상의 가공재의 자유 확관성형 가 공에 대해서 유한요소해석법을 이용한 변형 및 응력해석을 수행하였다. 탄소성 재료 모형을 확장하여 변형 경화율이 변형률 및 변형률 속도의 지배를 받는 변형률 속도 종 속 탄소성 재료 모형을 도입하였고, 1차 제하 이후까지 포함하여 고속 성형시 변형률 속도 효과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들에 대해서 연구하였다.결과의 비교 및 논의를 위 하여, 해석대상과 성형조건, 그리고 가공재에 작용하는 자기압력은 Suzuki의 것과 동 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변형률 속도와 온도가 금속의 소성변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rain Rate and Temperature on Plastic Deformation of a Metal)

  • 김기태;조윤호;백응율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1486-1494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분말단조 공정의 유한요소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초연구 로 다공질예비성형체의 기지(matrix)인 합금강의 변형률 속도와 온도에 따른 일축 압 축하의 열-점소성 거동을 조사하였다. 변형률 속도와 온도의 영향을 동시에 고려하 기 위하여 변형률 속도 .epsilon.=$10^{-4}$, $10^{-2}$$10^{-1S-1}$과 온도범위 800~ 1200.deg. C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미세구조가 변형과 마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ystalline Lameliar Orientation on the Creep and Wear of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 이권용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4권3호
    • /
    • pp.46-50
    • /
    • 1998
  •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은 인공관절 라이너에 쓰이는 대표적 생체재료이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변형과 마모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기본적 연구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세구조 결정상의 정도와 결정구조 방향성에 따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크리프 변형 및 마모 특성의 연구를 행하였다. 압출 제작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봉(extruded UHMWPE rod)단면의 중앙(center)부분과 원주(periphery)부분으로부터 각각 직사각형 및 원통형의 시편을 제작하여 크리프 실험과 마모 실험을 실시하였다. 원주 시편의 크리프 변형율은 중앙 시편의 크리프 변형율보다 11%크며(p<0.05), 마모량도 원주 시편이 중앙 시편보다 두 배나 큰 것으로 (p<0.05)관측되었다. 이 결고달로부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크리프 변형과 마모가 미세 결정구조 방향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강판 의 변형도 에 따른 Lankford값 의 변화 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ain-Dependence of Lankford's value of Steel Sheets)

  • 서대교;김동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8권5호
    • /
    • pp.481-487
    • /
    • 1984
  • 본 연구에서는 예변형된 재료에 있어서의 R값의 변형도 의존성을 고찰하기 위 하여 Rimmed 강판에 대하여 2축인장변형을 예변형으로 준 다음 다시 단축인장시험을 수행하여 R치의 변형도 의존성을 검토 하였다. 아울러 Gotoh의 이론식의 타당성을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초고분자량 폴리에닐렌 미세구조가 변형과 마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ystalline lamellar orientation on the creep and wear of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 이권용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1998년도 제28회 추계학술대회
    • /
    • pp.100-105
    • /
    • 1998
  •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은 인공관절 라이너에 쓰이는 대표적 생체재료이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변형과 마모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한 기본적 연구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세구조 결정상의 정도와 결정구조 방향성에 따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크리프 변형 및 마모 특성의 연구를 행하였다. 압출 제작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봉(extruded UHMWPE rod)단면의 중앙(center) 부분과 원주(periphery)부분으로부터 각각 직사각형 및 원통형의 시편을 제작하여 크리프 실험과 마모 실험을 실시하였다. 원주 시편의 크리프 변형율은 중앙 시편의 크리프 변형율보다 11% 크며 (p<0.05), 마모양도 원주 시편이 중앙 시편보다 두 배나 큰 것으로(p<0.05)관측되었다. 이 결과들로부터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크리프 변형과 마모가 미세 결정구조 방향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임프린트 나노패턴의 연속적인 구조변형 연구

  • 김수현;박대근;이초연;윤완수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18-418
    • /
    • 2014
  • 나노임프린트 공정으로 제작된 동일한 형태의 패턴 구조를 변형하거나, 표면의 특성을 조절하는 것은 임프린트 공정의 응용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다. 본 연구진은 플라즈마와 열처리를 통하여 임프린트 나노패턴의 크기를 변형하는 연구[1]와 나노구조의 형태에 따른 표면특성의 변화 연구[2]를 수행한 바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나노임프린트 패턴의 구조 및 표면특성을 단일 칩 내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제작하는 방법에 관해 고찰하였다. 나노임프린트 공정으로 제작한 패턴을 반응성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고안된 산소 플라즈마 장치에서 식각하여 구조를 연속적으로 변형하고, 전자현미경(SEM)과 원자힘현미경(AFM), 집속이온빔(FIB) 등을 통해 표면과 단면을 확인하였으며, 구조변형 이후의 후처리에 따른 접촉각 등의 변화를 관찰하여 임프린트 나노구조 패턴 표면의 화학적 특성을 조절하는 방법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단일한 모 패턴으로부터 다양한 크기의 패턴을 제작하고 화학적 특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이는 것으로서, 향후 이러한 연속적 변화를 갖는 미세구조를 이용하여 혼합 물질의 분리 및 바이오 물질의 검출 등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용접 조립보의 변형 예측에 관한 연구 (On the Prediction of Deformation of Welded Built-up Beams)

  • 장창두;서승일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145-153
    • /
    • 1994
  • 용접 조립보의 생산시에는 용접에 의해 종변형이 발생하여, 생산성 향상과 품질 향상의 장애 요인이 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용접 조립보 생산 자동화의 기초가 되는 변형 제어를 위해 용접 변형을 간단한 식으로 예측할 수 있는 간이 열탄소성 해석 기법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그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간이 열탄소성 해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정의한 변형 계수는 조립 변수의 함수임을 밝혔으며, 제시한 변형량 추정식은 조립보 생산 과정의 시뮬레이션시에 활용 될 수 있다.

  • PDF

에너지 파이프라인의 변형률기반 설계 기법

  • 지광습;김우식
    • 기계저널
    • /
    • 제54권1호
    • /
    • pp.32-37
    • /
    • 2014
  • 에너지 파이프라인 건설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신 설계기법인 변형률기반 설계기법과 그 원리를 소개하고, 전통적인 응력기반 설계기법과 대비하여 변형률기반 설계기법을 도입하기 위한 필요사항과 현 단계의 변형률 기반설계기법의 발전현황을 정리하여 실무 기술자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 PDF

GSI 지수의 변형률 연화를 고려한 원형터널의 탄소성 해석 (Elasto-plastic Analysis of Circular Tunnel with Consideration of Strain-softening of GSI Index)

  • 이연규;박경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0권1호
    • /
    • pp.49-57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정수압 지압 조건의 암반에 굴착되는 원형 터널의 탄소성 거동 해석을 위해 GSI 지수의 변형률연화를 고려한 탄소성 해석법이 제안되었고, 그 적용성이 검토되었다. 제안된 수치해석법은 Lee & Pietruszczak(2008)의 탄소성 해석방법을 수정하여 개발되었다. 터널 주변 암반에서는 발파와 굴착에 의한 암반의 손상으로 GSI 지수의 저하가 야기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GSI 지수의 변형률연화 개념을 도입하였다. 일반화된 Hoek-Brown 식의 강도정수들은 GSI 값을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계산할 수 있으므로 GSI 지수의 변형률연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이 강도정수들의 변형률연화가 해석에 반영되도록 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적합성을 검토하기위하여 여러 해석조건에서 원형터널의 탄소성 해를 구하고 그 결과를 고찰하였다.

아조벤젠 분자의 사슬 내 위치에 따른 고분자 블렌드 박막의 비등방성 광 변형에 관한 연구 (Effect of the Position of Azobenzene Moiety on the Light-Driven Anisotropic Actuating Behavior of Polyvinylalcohol Polymer Blend Films)

  • 김형준
    • 공업화학
    • /
    • 제23권1호
    • /
    • pp.65-70
    • /
    • 2012
  • 소재의 물리적 변형을 야기할 수 있는 구조 변화 분자에 관한 연구는 잠재적인 응용 분야가 다양하며 매우 흥미로운 분야이다. 특히, 광응답성 물질은 비접촉식 에너지 전달이 가능하여 비파괴, 국소 조사,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광응답성 물질인 아조 발색단의 고분자 내 위치에 따른 물리적, 광학적 성질을 조사하고, 이를 수용성 젤인 폴리비닐알코올에 분산시켜 자외선-가시광선 조사에 따른 이중 안정성 거동을 조사하였다. 신축 배향된 아조벤젠 고분자에 비편광 자외선을 상온에서 조사하여 비등방성 광변형을 시연한 결과, 아조벤젠 고분자 블렌드의 물리적 변형 성능은, 이제까지 보고되었던 많은 아조벤젠 가교 액정 탄성체의 광변형 성능보다 우수한 것으로서, 곁가지 아조벤젠 고분자 필름의 $15^{\circ}$ 구부러짐 변형이 상온에서도 관찰될 정도로 매우 뛰어나며 그 변형이 가역적이었다. 이와 같이, 화학적 접근 방식보다 쉽게 얻을 수 있는 아조벤젠/고분자 블렌드 필름의 성능이 매우 우수하여, 치수 변형이 필요한 다양한 시스템에 응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