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변위 오차

Search Result 36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Neural Network Model and Statistical Models (통계적 모델과 신경회로망 모델의 성능 비교에 관한 연구)

  • Han, Seung-Soo;Kim, In-Tae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d
    • /
    • pp.2401-2403
    • /
    • 2000
  • 시스템의 특성을 이해하고 신뢰성 있는 제어를 위해서는 시스템에 대한 정확한 모델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한 다양한 방법의 모델링 방법이 계속되어 연구되어지고 있다. 현재 많이 사용하는 모델링 방법 중에는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는 것, first principle 방법을 이용하는 것, 지능형 기법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방법인 fractional factorial 방법을 이용한 모델, Taguchi 방법을 이용한 모델, 그리고 지능형 방법인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모델의 3가지 모델을 사용해서 각 모델의 학습오차와 예측오차 등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모델에 사용된 데이터는 비선형 시스템인 플라즈마 화학 증착 장비(Plasma-Enhna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 PECVD)에 의해 증착된 산화막 실험 데이터이다. 각 모델에 대해서 PECVD 데이터를 사용하여 모델을 만들었을 때 각 모델의 학습오차와 학습오차 변위, 그리고 예측오차와 예측오차변위를 조사하였다. 세가지 모델 모두 학습오차가 예측오차보다 작았으며 변위 또한 학습오차변위가 예측오차변위보다 작았다. 본 연구 결과는 일반적으로 신경회로망에 의한 오차가 다른 통계적인 방법에 의한 오차보다 작음을 보여준다.

  • PDF

A Control Algorithm of Hybrid Mass Damper Using Displacement Feedback (변위 피드백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제진장치의 제어 알고리즘)

  • Kim, Byoung-Jeon;Lee, Sang-Hyun;Chung, La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140-14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준능동형 제진장치로 복합형 제진장치(HMD, Hybrid Mass Damper)의 운용에 요구되는 제어알고리즘 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어력을 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 내장화 과정에서 구조물의 상태를 피드백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의 가속도를 계측하고 이로부터 변위, 속도를 추정하게 되는데 여기서 발생하는 오차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GPS의 실시간 변위측정기술을 활용하여 변위를 직접 입력하면서 구조물의 응답을 제어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구성하려 한다. 이 때 측정된 데이터의 값에는 잡음이 발생하고 미분기의 동적특성을 가지고 있는 HMD에 입력신호로 사용하는 경우 상당한 오차가 생기는 변위 되먹임(Feedback)의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진장치 입력신호의 시간간격(Time-interval)을 조정하여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수치해석결과, 입력신호에는 최적의 시간간격(Time-Interval)이 존재하였으며 이를 적용할 경우 건물의 변위와 가속도 응답을 크게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Inertial Sensor Error Model (관성센서의 오차 모델 분석)

  • Kim, Dae-Young;Hong, Suk-Kyo;Go, Young-G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7.07b
    • /
    • pp.571-574
    • /
    • 1997
  • 항법장치의 핵심요소인 가속도센서와 자이로센서는 선형거리추측(Linear position estimation)과 각 변위 추측(orientation estimation)시 출력 데이터에 포함된 오차성분의 적분에 의하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거리 오차와 각 변위 오차가 누적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정밀한 항법을 위한 저가의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를 설계하고, 오차성분의 사전해석을 통하여 정확한 오차모델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dentification of error motion in planetary gear system (유성치차장치의 회전오차 해석과 그 진단에 관한 연구)

  • 박천경;박동삼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4 no.1
    • /
    • pp.43-53
    • /
    • 1990
  • The manufacturing errors such as pitch error and run-out error in planetary gear system bring about the irregular displacement of the center of each gear, which cause the torqe variation, vibration and noise. In this study, the relation between manufacturing errors and error motions of the center of gear was analyzed, and it can be applied to identyfy the errors of gears by investigating the measured locus of the center of each gear. Also, another identification method of power spectrum estimation using FFT algorithm was introduced, which analyze the frequency of the measured error mo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error of each gear had a corresponding unique frequency, therefore, this method proved to be more effective.

GPS를 이용한 대류권 수증기의 3차원 분포도 결정을 위한 습윤지면 추정 정확성 향상

  • 박관동;하지현;박종욱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4.04a
    • /
    • pp.44-44
    • /
    • 2004
  • GPS를 이용하여 대기 수증기의 3차원 분포도를 구하기 위하여, 관측소와 GPS 위성 간 시선방향으로의 수증기에 의한 GPS 신호지연 정도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정확성 향상을 위하여 반드시 고려해야하는 위상중심변화(phase center variations)와 조석하중에 의한 지각변위(ocean loading displacements) 등 수직방향 좌표 결정 오차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소개한다. 타 연구를 통해 위상중심변화는 크게는 l0cm 이상의 오차를, 그리고 조석하중에 의한 지각변위는 한반도의 경우 최대 3-4cm 정도의 오차를 보임을 알았지만, 이들 오차가 시선방향 습윤지연 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규명되지 않았다. (중략)

  • PDF

Measurement of the Axial Displacement Error of a Segmented Mirror Using a Fizeau Interferometer (피조 간섭계를 이용한 단일 조각거울 광축방향 변위 오차 측정)

  • Ha-Lim, Jang;Jae-Hyuck, Choi;Jae-Bong, Song;Hagyong, Kihm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34 no.1
    • /
    • pp.22-30
    • /
    • 2023
  • The use of segmented mirrors is one of the ways to make the primary mirror of a spaceborne satellite larger, where several small mirrors are combined into a large monolithic mirror. To align multiple segmented mirrors as one large mirror, there must be no discontinuity in the x, y-axis (tilt) and axial alignment error (piston) between adjacent mirrors. When the tilt and piston are removed, we can collect the light in one direction and get an expected clear image. Therefore, we need a precise wavefront sensor that can measure the alignment error of the segmented mirrors in nm scale. The tilt error can be easily detected by the point spread image of the segmented mirrors, while the piston error is hard to detect because of the absence of apparent features, but makes a downgraded image. In this paper we used an optical testing interferometer such as a Fizeau interferometer, which has various advantages when aligning the segmented mirror on the ground, and focused on measuring the axial displacement error of a segmented mirror as the basic research of measuring the piston errors between adjacent mirrors. First, we calcu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xial displacement error of the segmented mirror and the surface defocus error of the interferometer and verified the calculated formula through experiments. Using the experimental results, we analyzed the measurement uncertainty and obtained the limitation of the Fizeau interferometer in detecting axial displacement errors.

GPS와 VLBI 관측소의 해수하중에 의한 수직방향 지각변위 평가를 위한 기초 연구

  • 박관동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30-30
    • /
    • 2003
  • GPS와 VLBI와 같은 우주측지 기술을 이용한 정밀 측위는 수 mn 정밀도의 관측소 좌표결정과 1 mm/year 정도의 고정밀 속도결정에 이용된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오차 요인들과 다양한 물리적 현상에 대한 모델링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 중의 하나가 해수 하중(ocean loading)에 의한 수직방향의 지각변위이다. 특히 한반도의 서해안은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으로 이루어져 있고, 조수간만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현존하는 모델의 정확도가 떨어진다. KVN(Korean VLBI Network)사업에서 추진하는 3기의 VLBI 중 2기가 서울과 제주도에 설치될 계획이므로, 해수하중에 의한 지각변위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국내 GPS상시관측소의 많은 수가 서해안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지역의 해수하중에 의한 수직방향의 지각변위를 GPS로 관측하고 이를 서해안 해수조류 모델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서해안의 4개 GPS 관측소 위치에서의 해수하중에 의한 지각변위를 계산해본 결과 인천 지역에는 3 cm에 육박하는 지각변위가 수직으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같은 크기와 위상의 지각변위 진폭을 GPS로 검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오차 보정과 GIPSY를 이용한 고정밀 키네마틱 GPS 자료처리에 대하여 상세히 소개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PSEUDODYNAMIC TEST METHOD

  • Yi, Waon-Yo;Lee, Li-Hyung-;Lee, Yong-Tae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1992.04a
    • /
    • pp.89-94
    • /
    • 1992
  • 구조물의 비탄성 지진응답을 예측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진동대 실험(Shaking Table Test)과 준정적 실험(Quasic-Static Test)의 각 장점을 조합한 유사동적 실험(Pseudodynamic Test)은 실물 크기 구조물의 비탄성 거동온 파악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사동적 실험에서는 구조물에 변위이력의 정확한 가력 및 측정이 가장 중요하다. 측정된 변위와 계산된 변위의 차를 조절오차(Control Error)라고 하며, 임의의 단계에서 측정된 변위를 조정하므로서 그 다음 단계의 조절오차 및 측정오차(Measurement Error)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선된 유사동적 실험의 알고리즘을 얻을 수 있다.

  • PDF

The Derivation of Error Estimates with Various Shape Functions for Time Integration Using Finite Element Approach (유한요소 기법을 적용한 시간적분법에서 형상함수에 따른 오차추정치 유도)

  • 장인식;맹주원;김동호
    •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 /
    • v.11 no.4
    • /
    • pp.187-196
    • /
    • 1998
  • 불연속 갤러킨 정식화에 기초를 둔 시간적분법에 대하여 시간을 변수로 한 유한요소적 접근법을 시도하였다. 단일 형상함수와 두 형상함수 정식화에 대해 각각 선형, 이차 형상함수를 적용하여 모두 네 종류의 시간적분법을 유도하였으며, 각 방법에 대하여 시간시텝의 증가에 따른 변위와 속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증폭행렬을 계산하였다. 유도된 방법들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부하가 갑자기 변화는 진동 문제를 해석하고 변위의 오차를 비교하였다. 네 가지의 방법에 대하여 국부 오차 추정치를 개발하였으며, 오차 추정치의 정확도를 수치예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단일 형상함수 정식화에서 이차 형상함수를 이용한 오차 추정치가 실제 국부오차를 잘 나타내었으며 유도된 오차 추정치는 시간간격제어 기법에서 시간간격의 크기를 결정하는 척도로 이용 가능하다.

  • PDF

Influence of Zero Reading on Predicting Crown Displacement of Tunnel (초기계측 시점이 터널 내공변위 예측에 미치는 영향분석)

  • Kim, Kwang-Yeom;Kim, Ho-Geun;Seo, Youg-Seok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22 no.3
    • /
    • pp.214-220
    • /
    • 2012
  • Deformation behaviour of rock mass around an opening measured during tunnel excavation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assess the stability of the tunnel. Unfortunately displacement measured only after the installation of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can be acquired, which results in inevitably excluding the pre-displacement occurred and accumulated before th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s are installed. So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the pre-displacement based on the elapsed time before zero reading after deformation behaviour started. In this study, the accuracy of total estimated displacement depending on the distance between face and measurement position is calculated by statistical non-linear fitting on measurable displacement data. Besides, the influence of the unavoidable measurement error is considered by using Monte-Carlo simulation. As a result, the faster the initial reading started and the smaller the measurement error is, the higher the accuracy of estimating total displacement is obta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