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변위 예측

검색결과 757건 처리시간 0.029초

Mass Movement가 타이백 앵커 벽체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평가 (Investigation of Tieback wall Behavior based on Generated Mass Movement)

  • 임유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83-92
    • /
    • 2000
  • 벽체의 수평변위 중 토체의 침하 및 앵커체 자체의 움직임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mass movement가 타이백 앵커토류벽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공사례에 대한 유한요소 해석을 실시하여 벽체의 변위, 겉보기토압, mass movement 및 앵커 자유장 내에서의 하중 변화를 투적하였다. 유한요소해석법을 이용해 mass movement를 계산, 예측할 수 있었으며, 시공 순서에 따흔 앵커 자유장 내의 하중변화를 예측할수 있었다. 현장계측결과와 유한요소해석결과로부터 벽체변위, 겉보기토압 및 앵커의 하중 변화에 미치는 mass movement의 영향이 매우 큼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로켓 노즐 변위에 따른 추력 중심 변화 예측 (Prediction of the Thrust Center Movement Due To Rocket Nozzle Deflection)

  • 옥호남;김인선
    • 항공우주기술
    • /
    • 제6권1호
    • /
    • pp.136-145
    • /
    • 2007
  • 로켓 노즐의 변위에 따라 추력 중심이 어떻게 이동되는지를 예측하기 위해 전산유동해석을 수행하였다. 노즐 변위각을 0/1/3도로 하여 3차원 계산을 수행하였으며, 축대칭 계산에서 보지 못했던 공력계수의 진동이 관찰되었다. 변위각 1도 및 3도 조건에 대하여 추력중심 위치가 -16 mm 및 -4 mm로 나타났으며, 노즐 변위에 따른 추력 중시의 변화는 무시할 만한 정도라고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오해하기 쉬운 로켓 엔진의 추력 발생 원리를 간략히 수학적으로 기술하였으며, 로켓 외부 유동이나 노즐 변위와 같은 대칭 조건에서 압력 중심을 어떻게 정의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 PDF

계측 자료의 비선형최소자승법을 이용한 파괴시간 예측 (Failure Time Prediction by Nonlinear Least Square Method with Deformation Data)

  • 윤용균;김병철;조영도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9권6호
    • /
    • pp.558-566
    • /
    • 2009
  • 암석의 시간 의존적 거동은 기본적인 역학적 특성으로서 시간 의존적으로 거동을 분석하여 암반구조물의 파괴시간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Voight가 제안한 재료 파괴 예측식($\ddot{\Omega}=A\dot{\Omega}^\alpha$, 여기서 $\Omega$는 변형률이나 변위와 같은 측정 가능한 물리량이고 A & $\alpha$는 상수이다)을 이용하여 터널, 사면 및 실내 크리프 시험으로부터 측정된 변위나 변형률로부터 파괴시간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Voight식을 1차 및 2차 적분하여 구한 변위속도 및 변위식에 비선형최소자승법을 적용하여 A & $\alpha$를 구하였으며 이들 상수는 파괴시간을 예측하는데 사용되었다. 예측된 파괴시간은 실제 파괴시간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크리프 변형률과 변형률속도에 선형역속도법을 적용하여 구한 예측 파괴시간은 변형률과 변형률속도를 이용하여 구한 파괴시간보다 오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터널 굴진면 수평변위를 이용한 굴진면 전방의 단층대 예측 (Prediction of Fault Zone ahead of Tunnel Face Using Longitudinal Displacement Measured on Tunnel Face)

  • 송규진;윤현석;서용석
    • 지질공학
    • /
    • 제26권2호
    • /
    • pp.187-196
    • /
    • 2016
  • 터널 굴진면에서 측정된 수평 변위를 이용하여 터널 굴진면 전방에서의 단층대 예측을 검토하기 위하여 총 28개 단층모델을 대상으로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터널 굴착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변위를 x-MR (moving range) 관리도 기법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굴진면 전방에 분포하는 단층의 존재를 예측하였다. 단층대는 단층점토 및 단층각력, 단층 손상대로 구분하여 모델링하였으며, 단층핵의 폭은 1 m (단층점토 0.5 m, 단층각력 0.5 m), 단층 손상대의 폭은 2 m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굴진면으로부터 약 2~26 m 전방에서 단층의 예측이 가능하였고, 5개의 측정지점에서 대부분 경사 45°인 경우 예측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굴진방향과 단층면 사이의 각도가 작을수록 예측 가능시점이 빠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변위 및 내력기여도계수를 이용한 정량적 변위 제어 (Direct Control of Displacement Using Displacement and Resistance Force Contribution Factor)

  • 김영민;김치경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91-100
    • /
    • 2005
  • 본 연구는 구조물의 정량적 강성설계 기법 개발, 즉 부재 단위의 강성 재설계를 통한 전역 자유도 변위의 정량적 조절 기법개발을 궁극적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역 자유도에 대한 부재의 변위기여도계수와 내력기여도계수를 유도하고, 이를 이용하여 특정 변위를 정량적으로 예측, 제어할 수 있도록 부재 강성과 특정 변위간의 상관식을 유도 제시하였다. 간단한 예제 구조물의 해석과 제안식 적용을 통한 변위 예측값 사이의 비교를 통하여 제안식을 검증하였다. 정정구조물의 경우 본 상관식은 정해로서, 이를 이용하여 폭정 변위를 원하는 목표치로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부정정구조물의 경우에도 부재 내력 재분배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기는 함에도 불구하고 각 부재 강성과 특정 변위간의 상관성과 경향을 제시함으로써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정량적 변위 제어 기법은 강성설계가 전체 설계 결과를 지배하게 되는 대 공간구조물 또는 초고층건물의 설계 시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파쇄대 예측을 위한 터널의 3차원 수치해석 (3-Dimensional Tunnel Analyses for the Prediction of Fault Zones)

  • 이인모;김돈희;이석원;박영진;안형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99-112
    • /
    • 1999
  • 막장 전방에 파쇄대 등의 불연속면이 존재할 경우, 이를 미리 예측하지 못한채로 굴진을 하게 되면 파쇄대로 인해 터널 굴진에 따라 발생된 종방향 아칭에 영향을 주어 막장면 전방에 응력이 집중하게 된다. 터널 및 지하공간의 설계시에는 불확실한 설계요소를 과다하게 내포하고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안정성이 확보된 터널 시공을 위해서는 터널 막장면에서의 정확한 계측으로 막장 전방의 파쇄대를 예측하여 터널 지보체계에 신속히 대비함이 필요하다. 최근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3차원 절대변위계측에 의해 터널의 시공 시 굴진에 따라 지반의 강도차이로 인해 발생된 종방향 변위의 변화를 측정하여 막장 전방의 불연속면을 미리 예측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혼합법을 사용한 3차원 수치해석으로부터 얻어지는 변위로부터 L/C (천단부의 종방향 변위[L]와 천단부의 침하량[C]의 비 )와 S/C (측벽의 수평방향 변위[S]와 천단부의 침하량[C]의 비), (Ll-Lr)/C (좌측벽의 종방향변위[Ll]와 우측벽의 종방향변위[Lr]의 차와 천단부의 침하량[C]의 비), 평사투영법을 중심으로 지반에 파쇄대가 존재할 경우에 대해 여러 가지 초기 지중응력조건에서 터널 굴착에 따른 3차원 절대 변위를 분석하여 그 존재를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 PDF

전단빌딩의 최대 층간변위를 예측하기 위한 역량스펙트럼법 개발 (Development of Capacity Spectrum Method for Shear Building to Estimate the Maximum Story Drift)

  • 김선필;김두기;곽효경;고성혁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255-264
    • /
    • 2007
  • 다층구조물의 경우 변위보다 층간변위에 의해 구조물의 파괴가 발생되나 현행 국 내외 내진설계 규준에 제시된 역량스펙트럼 법에서는 변위에 의한 응답산정으로 층간변위를 정확히 예측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층구조물의 가장 기본적인 모델인 전단빌딩(Shear Building)에 대하여 기존의 역량해석법의 간편성과 장점을 변함없이 유지하면서, 구조물의 파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층간변위를 실제에 가깝게 예측하고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개선된 역량스펙트럼 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나아가 제안된 방법을 예제구조물에 적용하고 시간이력 해석결과와 비교함으로서 제안된 방법의 신뢰성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인공신경망기법을 이용한 깊은 굴착에 따른 지표변위 예측 (Prediction of Deep Excavation-induced Ground Surface Movement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유충식;최병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53-6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굴착 공사로 인한 주변 건물 손상 평가의 일환으로 지표 변위유형의 효과적인 예측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검증된 유한요소 모델을 국내에서 행해지는 다양한 경우의 굴착특성으로 해석한 결과를 통해 인접 지반의 거동에 대한 매개 변수 연구를 수행하였고, 인공신경망 엔진의 학습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최적의 구조로 학습된 신경망 엔진은 간단한 굴착 특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지표 변위 유형 예측에 효율적임을 검증하였다.

마찰 감쇠기를 사용한 구조물의 보강 설계법 제안 (Seismic Retrofit Design Procedure Using a Friction Damper)

  • 문기훈;한상환;조한철;이강석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45-5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찰 감쇠기를 사용한 기존 구조물의 제진보강 설계절차를 제시하는 것이다. 보강된 구조물의 목표 지붕층 변위는 기존 구조물이 급격한 강도의 저감없이 보유내력을 발휘할 수 있는 최대변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결정하였다. 보강 구조물의 변위는 비탄성 변위비 제안식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80개의 지반운동 데이터를 사용하여 비선형 동적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제안된 방법은 보강 구조물의 지붕층 변위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