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벽화

검색결과 215건 처리시간 0.022초

상호작용적인 문화 교육을 위해 가상현실을 이용한 고구려 벽화 복원 연구 (Designing a Digital Reconstruction of Koguryo Mural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for Interactive Cultural Heritage Learning)

  • 조용주;문형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359-1365
    • /
    • 2006
  • 디지털 고구려는 안악 3호분 고구려 고분을사용자와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해 게임요소를 가미하여 제작한 가상현실 환경이다. 디지털 고구려는 디지털 기술로 문화 유산 복원만이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 특히 초등학생 어린이들에게 고구려인의 생활상과 문화를 이해하고 역사 학습을 도와주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논문에서는 고구려의 고분과 벽화들을 복원하는 과정과 교육용 환경으로서 사용자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게임의 형태를 취한 가상현실 환경 제작 과정, 그리고 개발과 시연을 통해 나타났던 개선점들과 몰입감을 증대시키기 위한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한다.

일본 지하철 역 벽면의 환경디자인 요소에 관한 연구 - 2000년도에 제작된 도자 벽화의 기법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environment design element of Japan subway station wall - Laying stress on techniques of ceramic mural that is manufactured in 2000 years -)

  • 이병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0-173
    • /
    • 2003
  • Because effect about environmental effect that get to human visually is absolute, ability that mural of subway interior considers relation with space is required. Also, public environment element should be designed must intend agreeableness sex by same traitor effect of quality of the material and color and can be evaluated by cultural inheritance that is powerful enemy same time. Wish to accomplish access as meaning of city environment improvement of wall of subway station or underground space etc. through Japan course South Korea's illustration regarding environment landscaping features that is designed in wall of latest domestic building subway interior in this research. Various and new reading by that study and analyze manufactured wall environment landscaping features recently that could find and was approached in variouser technique, practical use of material than single material and is expressed according to history's special quality and planning know can. Underground space can give agreeableness feel and psychological sense of security by user though expression method, material, color plan etc. consist because is having image blockade enemy. Therefore, wall environment landscaping features of underground space to be cultural value and environment Dija because diversified research that is accompanied in element is gone subway interior space of our country and underground space etc. as new culture space develop be able to must.

  • PDF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가계양식 연구 (Gagye style of Goguryeo Murals)

  • 임린;김은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9-47
    • /
    • 2006
  • This study considers the Gagye(Added Hair) style shown in ancient Goguryeo Murals and examines its values and significance through an in-depth study on the relevance to the style of China. In Gagye style, the Korean Hwan-gye(Round-rolled Hair) hair type was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in letting the hair down and using accessories. The Korean Sseu-gye(Covered Hair) hair type features textile-made and Bokbal (Covered hair) styles. The Korean Go-gye(Highly-rolled up Hair) hair type was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in style and volume. The Korean Da-gye(Multi-laid Hair) hair type was different from that of China in component pattern in that the Korean Da-gye type was composed of two or three gyes. Eoneun meori (Braided & Coiled Hair) features the unique Goguryeo pattern in which "Che" was placed on the head and the hair was braided down on the sides of the face. Therefore, the Gagye style of Goguryeo Murals was localized and developed through cultural interchange between Goguryeo and China. It also features its own values and significance in Korea's clothing history.

함경북도 화대군 금성리 발해 벽화 고분의 복식 (A Study on the Costume of Kumseong-li Fresco, North Korea)

  • 김민지
    • 복식
    • /
    • 제57권9호
    • /
    • pp.16-31
    • /
    • 2007
  • This study is about the costume depicted upon the fraction of fresco which was excavated from Kumseong-li, Hwadae-Gun, Hamkyungbuk-Do, North Korea in 2004.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ts relics, this tomb was reported to belong to Parhae Dynasty(698-926). The fraction of fresco only shows below part of the knees of a man. A light red colored robe reaches down to his ankles on the back, whereas front part of it looks tucked up, which is likely to have slits on both side seams. Although tightly wrapped shins were reported as a pair of gaiters, there is no decisive evidence on the fresco. I suggest another possibility that this man wore slim pants. Also in order to figure out if these shins are considered as gaiters, I proceed comparative research on the historical sources about gaiters of countries and eras adjacent to Parhae. Consequently the idea that people of Parhae might have used gaiters turned out to be acceptable. The black boots show rather basic style: the toe tips are not pointed up, boot leg doesn't look either wide or long. These boots can not be identified with Ammohwa(暗摸靴) which the envoy Yang(楊) gave the protocol Miyakoyoshika(都良香) at his official visit to Japan, because Ammohwa has not yet been properly defined.

한국과 중국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대 가계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ncient Gagye on Mural Paintings in Korea and China)

  • 임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778-789
    • /
    • 2012
  •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gagye (the cubic hair style which added wigs or other materials to hair) that appeared in mural paintings were compared between Pyongyang and Jian in Goguryeo and the midlands, the northwest region, and the northeast region in China for the same period (Han to Weijin, and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Gagye in Korea and China was classified into circle type, hat type, high-bun type, and multi-bun type; in addition, Han elements, northern race elements, Goguryeo elements, and uniquenes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regional distribution, trend periods, and style characteristics. The Han elements of ancient gagye in Korea and China appeared in the hat type, the high-bun type, and accessories that left the hair down. The northern race elements were found in the circle type and multi-bun type. The uniqueness of Goguryeo elements included a circle from the circle type, a triangle style from the hat type, an up-do style from the high burn type, and simplified hair accessories.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구스타프 클림트의 <스토클렛 저택의 장식벽화(Stoclet Frieze)> VR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 경험 평가 (An Evaluation of Users' Experiences with Gustave Klimpt VR Application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 이보아;최여림;정도영;박성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297-300
    • /
    • 2017
  •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기반으로 <클림트 인사이드(2017)>전시에서 사용된 <스토클렛 저택의 장식벽화(Stoclet Frieze)> VR 앱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이하 PU)과 인지된 이용용이성(이하 PEOU)의 평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VR 앱의 학습적합성(SFL)이 감상적합성(SFA)보다 높게 평가된 PU의 경우, 학습유용성(UFL)과 감상유용성(UFA)의 모든 요인이 만족도(DOS)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전시환경에서의 VR 앱의 학습에 대한 내적 동기 부여 및 감상 지원에 대한 잠재력이 확인되었다. 또한 PEOU의 모든 요인들은 DOS뿐만 아니라 DOI와도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본 연구를 통해 TAM의 PU와 PEOU의 ATUA(DOS 및 DOI) 및 BITUA(ITRA(1) 및 ITRA(2))에 대한 영향력이 검증됨에 따라, 두 변수는 사용자의 VR 앱에 대한 기술 수용에 대한 예측을 가능케 했으며, 결론적으로 예술작품 원작을 재매개한 VR 앱에 대한 평가모델로써 TAM의 적합성이 입증되었다.

  • PDF

음식점에 적용된 벽화의 특성 및 실내공간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Mural in The Restaurant and Its Correlation with Interior Space)

  • 오혜경;홍미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229-23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murals in the restaurant and its correlation with interior space. A field survey has been done by visiting 9 Western food restaurants and 9 Oriental food restaurants. Detail recording of mural content has been made and photographs of wall painting have been taken.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majority of murals were painting technique on the wall directly with paint. Secondly, main theme of mural in the Western food restaurant are flower and plant whereas that of Oriental food restaurant are customs of each country and letter characters. Thirdly, the theme of mural has correlation with food served in the restaurant and the theme represents major character of the restaurant. Fourthly, there were analogy among the interior space elements such as finishing materials and colors. Only exception was murals in the Western food restaurant which shows contrast in its form with interior space. Fifthly, the physical and visual weight of mural was significant in most of cases. Even if the painting is not physically large and is not visually noticeable,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age formation.

신 마하 붓다고사 연구 (In Search of Shin Mahā Buddhaghosa)

  • 우흘라따웅
    • 수완나부미
    • /
    • 제3권1호
    • /
    • pp.87-104
    • /
    • 2011
  • 붓다고사(Buddhaghosa)는 불교승려이자 작가로써 상좌부불교에서 가장 뛰어난 승려로 유명하다. 그는 청결을 의미하는 Visudhimagga의 작가로서도 유명한데, 이 작품들은 정전(正典)문학의 백과사전이라 불리고 있으며, 담마의 다양한 보물 컬렉션이라 할 수 있다. 붓다고사는 Visuddhi의 순결함에 도달하기 위해 magga 형식을 설명하고 있고, 불교교리 전체를 조직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붓다고사는 스리랑카어로 쓰여진 atthakathā를 Magadyhi(빨리어)로 변역했다. 이러한 업적으로 그는 명예를 얻었고, 이 작품은 상좌부불교(Theravāda)를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서 신성한 텍스트로 여겨졌다. 최초의 붓다고사에 관한 전기문은 6세기에 쓰여진 Mahavamsa에 나타난다. 마하밤사에 따르면, 그는 큰 보리수가 있는 인도 마가다국에서 브라만으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Buddhaghosa의 atthakathā를 연구한 Kosanbi박사는 붓다고사는 북인도로부터 온 인물은 아니라고 보았으며, 붓다고사가 미얀마 사람일지도 모른다고 추정했다. 그 이유는 다수의 atthakathā가 미얀마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미얀마뿐만 아니라, 태국 그리고 캄보디아 역시 붓다고사가 자국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5세기부터 더 나아가 11세기 중반까지 하(下) 미얀마의 고대 쀼왕국에서 불교가 매우 번성했다는 지속적인 기록이 있다. 이는 5세기에 붓다고사 전설과 함께 불교를 활성화시켰으며, 상좌부불교와 관련된 조각품들과 비문을 연구하는데 반영되었다. 붓다고사의 자타카 해설은 붓다의 역사적 탄생을 다루고 있으며, 미얀마의 모든 청소년에게 오랫동안 교육자료로 활용되어 왔다. 또한 자타카 해설은 비석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테라코타 부조나 11세기와 12세기의 버간사원의 벽화에서도 사용된다. 이처럼 미얀마에서 비석과 테라코타 부조, 그리고 수많은 벽화들이 발견되는 것을 통해 붓다고사가 미얀마 출신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고구려 고분벽화 공포도 형식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System for Gong-Po-Do Style in Tomb Wall Paintings of Koguryo)

  • 황세옥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2호
    • /
    • pp.20-55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포양식(?包樣式)의 초시적인 모습이라 할 수 있는 고구려 고분벽화에 묘사된 공포도(?包圖)를 북방 주변 국가와의 문화적 교류와 천도(遷都)에 따른 지역 시기 형상별로 고찰하고 유형별로 체계화 정립을 주 내용으로 한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묘사된 공포는 지상에서의 묘주가 통치자로서 군사 행정 정치 사회적으로 누렸던 지위나 신분에 따른 옥사(屋舍)의 제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묘주 생전 지상가옥의 공포형태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보이며, 지상에서의 실제 공포 출현시기는 고분 축조 편년보다 최소한 1세기 이상 앞선 것으로 추정이 가능하다. 이는, 고구려 지상에서의 공포출현시기와 관련하여, 공포가 묘사된 중국 동한기(東漢期) 고분(古墳) 내 가형명기(家形明器)와 화상석(?像石) 화상전(畵像塼)의 제작시기와도 대체로 일치한다는 점에서도 추정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고분벽화에 묘사된 공포도는 비포작계, 준포작계, 포작계로 대별되고, 포작계는 비출목형과 출목형으로 세분하였다. 또한 고구려 공포는 한(漢) 이후 같은 동이족인 북위(北魏)로부터 유입되었으며, 고구려 풍토와 정서에 맞도록 토착화되어 고유한 고구려 형식의 공포체계로 발전 확립되었다. 고구려 멸망(668) 이후 이러한 기법은 문화적 교류 및 망명인들에 의해 주변국에서 그 맥을 이어갔다.

고구려 거문고 연구 재검토 (A Re-examination the study on the Gogureoy Geomungo)

  • 최헌
    • 공연문화연구
    • /
    • 제32호
    • /
    • pp.701-738
    • /
    • 2016
  • 거문고는 고구려에서 기원한 악기로 고구려 멸망 이후에도 선비등 지식층의 애호 악기가 되어 '백악지장(百樂之丈)'의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거문고의 우리 음악문화에서의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하겠는데, 이 악기의 기원이 외래의 와공후(臥??)라는 것을 넘어 고구려의 거문고 자체가 부정되고 와공후(臥??)만을 인정하려는 시도가 있었고 이에 대한 한국 학자들의 반대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고구려의 거문과와 관련된 연구는 여러 학자들의 주요 관심사가 되었는데, 그 연구 주제는 주로 왕산악(王山岳)의 거문고 제작설을 인정하고,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나는 거문고류 현악기의 정체를 밝히는 것에 집중되어 있었다. 결국 초기에 부정되던 거문고 와공후(臥??) 기원설은 임겸삼의 주장대로 고구려 거문고가 모두 부정되는 것이 아니고, 왕산악이 진(晉)의 와공후(臥??)를 개조하여 거문고를 만들었다는 와공후(臥??) 기원설을 인정하고 그 시기가 언제인가에 연구의 초점을 둔 연구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나는 여럿의 거문고류 현악기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었는데, 그 내용은 조금씩 달랐다. 이들을 비교하고 고구려 고분벽화의 거문고류 악기를 다시 검토해본 결과 8개의 고구려 고분에 나타나는 10개의 고구려 거문고류 현악기는 단순히 금(琴), 쟁(箏), 축,(筑) 와공후(臥??), 거문고로 단정 짓기 쉽지 않았다. 조금씩 그 형태와 연주자세, 괘와 술대의 유무, 줄의 수 등의 차이가 있는 것은 고분벽화의 정밀 묘사의 부정확성을 떠나서, 악기의 본질적인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고 또 그 내용이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그 명칭을 금(琴), 쟁(箏), 축(筑), 와공후(臥??), 거문고라기 보다는 금(琴)류, 쟁(箏)류, 축(筑)류, 와공후(臥??)류, 거문고류라 해야할 것으로 보았다. 이는 이들 악기와 고구려 고분벽화의 거문고류 악기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연유된 생각인데, 이는 고구려에서 거문고가 정착되기 전에는 다양한 거문고류 현악기가 연주되었음을 의미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또 "삼국사기"의 왕산악(王山岳) 거문고 제적설에 너무 경도되어 있는 것도 문제로 보았는데, 그것은 고조선의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즉 공후인(??引)에 등장하는 공후(??), 즉 와공후(臥??)를 고려한다면 "삼국사기"의 왕산악(王山岳) 거문고 제작설은 믿기 어려우며, 고구려보다 더 이전 시기부터 거문고류의 현악기를 연주해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공무도하가와 비슷한 시기라 할 수 있는 기원전 3-4세기의 악기로 신강(新疆)지역에서 공후(??)가 발굴되었는데, 이 시기에는 이 지역이 중국에 속한 곳이 아니었다. 중국에서는 중국의 공후(??)는 외래 악기가 분명하고, 중국에 전래된 이후 금(琴), 슬(瑟), 쟁(箏) 등 악기의 영향으로 와공후(臥??)가 만들어진 것으로 보고 있으며, 그 시기는 위진(魏晉)시대의 고분에 괘가 있는 와공후(臥??)류 악기의 그림과 토용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빨라도 한대(漢代)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즉, 중국에서는 아직 공후(??)가 전래되기 전에 이미 고조선에는 공후(??)가 있었다고 볼 수 있고, 그 전래 과정은 중국을 거치지 않았을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다. 또 와공후(臥??)가 외래의 세워 연주하는 하프류의 공후(??)를 뉘여 연주하는 악기로 개조한 중국의 악기로 주장하는 것도 부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즉 중국에 와공후(臥??)가 생기기 이전 또는 그와 비슷한 시기에 이미 고조선에 와공후(臥??)가 있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거문고의 기원이 된다는 와공후(臥??)의 발생지(發生地)는 혹시 고조선(古朝鮮)은 아닐까 조심스럽게 생각해볼 수 있겠다. 설혹 한(漢) 무제(武帝) 때 공후(??)(와공후(臥??))가 만들어 졌다는 설이 사실이고 이에 따라 뉘여타는 공후(??), 와공후(臥??)가 한대(漢代)에 만들어졌다는 것을 인정하더라도, "삼국사기"의 왕산악(王山岳) 거문고 제작이 진(晉)에서 전래된 와공후(臥??)를 개조한 것이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 고조선(古朝鮮)에 이미 와공후(臥??)로 추정되는 공후(??)가 있었으므로 고구려 사람들이 진(晉)에서 전래된 칠현금(七絃琴)(와공후(臥??)?)을 몰랐을리 없기 때문이다. 또 이 칠현금(七絃琴)이 중국 전통의 琴이라도 역시 마찬가지이다. 고조선과 고구려는 한(漢)의 문화와 교류가 많아서 한(漢)의 고취(鼓吹)가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타나고 있으므로, 한(漢)의 금(琴) 역시 이미 수입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진(晉)에서 전래된 칠현금(七絃琴)이 금(琴)이더라도 고구려 사람들이 그 연주법을 몰랐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이와 관련하여 생각해보면 거문고를 굳이 진(晉)에서 전래된 칠현금(七絃琴)을 개조하여 만들었다는 것을 신뢰하기 어렵다. 앞에서 살핀 여러가지 상황으로 보아 고구려의 거문고는 금(琴)이든 와공후(臥??)든 중국에서 전래된 악기를 개조해서 만들었다기 보다는 고조선에서부터 내려오던 거문고류 현악기를 개량하여 만들었다고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다만 금(琴)이든 중국에서 만들어진 공후(??)든 혹은 쟁(箏) 슬(瑟) 축(筑) 등의 악기가 고구려에 전래되었다면 이들이 거문고 창제에 참조되었다고 이해하는 것이 좋을것 같다. 그러나 거문고 창제의 원형을 굳이 외래 악기에서 찾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고구려 전래의 거문고류 현악기가 있었고 이를 토대로 외래의 현악기를 참조하여 거문고를 창제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좀 더 많은 자료를 찾아 연구해야 확실하게 밝힐 수 있는 문제라 하겠으나, 적어도 "삼국사기"의 왕산악(王山岳) 거문고 제작설은 액면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새로운 관점에서의 고구려 거문고를 보는 시각을 갖춰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