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lassification System for Gong-Po-Do Style in Tomb Wall Paintings of Koguryo

고구려 고분벽화 공포도 형식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Hwang, Se-Ok (Korean Ancient Architecture Cultural Properties Technology Institute)
  • 황세옥 (한국고건축문화재기술연구소)
  • Received : 2015.12.24
  • Accepted : 2016.05.04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Koguryo's tomb mural paintings in North Korea are our precious cultural heritage which have been designated as UNESCO World Heritage property receiving high praise in the following criterion, i) exceptional creativeness of human being, ii) representative value showing the stage of development in construction history of East-Asia, iii) aesthetic superiority iv) uniqueness of building construction including tombs' ceiling. Mural paintings have been found from almost 100 tombs of the Koguryo dynasty out of 130 which are scattered across Huanren County, Lianoning Province, Ji'an, Jilin Province in China and Pyongyang in North Korea. Especially, most of them are gathered in Pyongyang from 4th and 5th century. Peculiarly, some of them have been constructed before King Jangsu's transfer of the capital to Pyongyang(AD 427). It can be regarded that Pyongyang territory had been under control of Koguryo and to become a new capital in the near future. And dense emergence of such tombs since the capital transfer from Gungnae City to Pyongyang during the reign of Jangsu is linked closely to the construction of tombs for rulers under strengthen royal authority of Jangsu and centralized system of authoritarian rule. Tomb mural paintings describe the owner's figure pictorially based on the truth just as in his living years. General lifestyles of ruling powers and sovereigns can be seen from the wall paintings portraying several buildings with various styles, figures, manners of living, which are considered that the tomb owner had led politically and sociologically in his life. In spite of not enough proofs to approve figure of architectures or "Gong-Po" in wall paintings on the tombs as those of Koguryo, it is persuasive with consideration for painting and decoration inside the tomb like wooden building in real life for the purpose of reenacting and continuing the tomb owner's luxurious life after death. "Du-Gong-Po-Zak" had appeared in company with Koguryo tomb murals and it can be found in most of the murals. And the emergence of substantial "Gong-Po-Do" can be counted more than a century ahead of the figure in murals. It could be a reasonable assumption as regards Koguryo tomb murals time of appearance match up with production period of Gahyungmyunggi(家形明器) and Hwasangseok(畵像石) Hwasangjeon(畵像塼) Design in the Mural Painting of the East-Han(東漢) Ancient Tombs in China. On this study, architectural "Gong-Po"s described in Koguryo tomb murals are categorized largely in "Bi(non)-Po-Zak-kye", "Jun(semi)-Po-Zak-kye", and "Po-Zak-kye" based on presence of "Ju-Du", "Cheom-Cha", and "Cheom-Cha-Sal-Mi" with developmental aspect, and, "Po-zak" is subdivided as "Bi(non)-Cheul-Mok" and "Cheul-Mok" typ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포양식(?包樣式)의 초시적인 모습이라 할 수 있는 고구려 고분벽화에 묘사된 공포도(?包圖)를 북방 주변 국가와의 문화적 교류와 천도(遷都)에 따른 지역 시기 형상별로 고찰하고 유형별로 체계화 정립을 주 내용으로 한다. 고구려 고분벽화에 묘사된 공포는 지상에서의 묘주가 통치자로서 군사 행정 정치 사회적으로 누렸던 지위나 신분에 따른 옥사(屋舍)의 제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묘주 생전 지상가옥의 공포형태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보이며, 지상에서의 실제 공포 출현시기는 고분 축조 편년보다 최소한 1세기 이상 앞선 것으로 추정이 가능하다. 이는, 고구려 지상에서의 공포출현시기와 관련하여, 공포가 묘사된 중국 동한기(東漢期) 고분(古墳) 내 가형명기(家形明器)와 화상석(?像石) 화상전(畵像塼)의 제작시기와도 대체로 일치한다는 점에서도 추정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고분벽화에 묘사된 공포도는 비포작계, 준포작계, 포작계로 대별되고, 포작계는 비출목형과 출목형으로 세분하였다. 또한 고구려 공포는 한(漢) 이후 같은 동이족인 북위(北魏)로부터 유입되었으며, 고구려 풍토와 정서에 맞도록 토착화되어 고유한 고구려 형식의 공포체계로 발전 확립되었다. 고구려 멸망(668) 이후 이러한 기법은 문화적 교류 및 망명인들에 의해 주변국에서 그 맥을 이어갔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숙, 2004, 中國 甘肅省의 4.5세기 壁畫墳과 高句麗 壁畫墳의 比較 考察 韓國古代史硏究 35, 한국고대사학회
  2. 고광익, 2011a, 옥도리 고구려 고분벽화에 대한 고찰 고구려발해연구 41, 고구려발해학회
  3. 김도경, 2003, 쌍영총에 묘사된 목조건축의 구조에 관한 연구
  4. 김동현, 1999. 12, 한국 고대건축의 공포에 대한 연구 문화사학 제11.12.13호, 한국문화사학회
  5. 김동현, 1987, 고구려 고분벽화의 공포성격, 일지사
  6. 김버들 외, 2001,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건축요소에 관한 연구 -일본고대사찰과 비교하여-, 동국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7. 김사봉, 1990. 2, 고산동 20호 고분벽화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2, 사회과학출판사
  8. 김영숙, 1988. 4, 고구려 고분벽화에 그려진 기둥과 두공장식에 대하여, 조선고고연구
  9. 김원룡, 1960, 고구려고분벽화(高句麗古墳壁畵)의 기원(起源)에 대(對)한 연구(硏究) 진단학보(震檀學報) 21
  10. 김은택, 2002. 1. 3, 일본의 문화발전에 미친 고구려의 영향, 노동신문
  11. 김일권, 2009, 고구려 덕화리 1, 2호분의 소우주 구조와 기명 28수 성좌도 역사 동아시아문화와 예술 통권6호, 정보동아시아문화학회
  12. 김정기, 1981, 三國時代의 木造建築 미술사학연구, 한국미술사학회
  13. 김정기, 1969, 고구려 고분벽화에 보이는 목조건축
  14. 김정신, 2003, 벽화고분을 통해 본 고구려 주거건축에 대한 연구
  15. 김정신, 1998, 벽화고분을 통해 본 고구려 목조건축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논문집-자연과학.의학.예.체능편- 제32집
  16. 김종혁, 1985, 수산리 벽화무덤과 다까마츠무덤 력사과학 2호
  17. 김진순, 2009. 6, 高句麗 後期 四神圖 고분벽화와 古代 韓.中 문화 교류 先史와 古代 제30호, 한국고대학회
  18. 노태돈, 1996, 5-7세기 高句麗의 地方制度 韓國古代史論叢 8, 한국고대사학회
  19. 리화선, 1989, 벽화두공을 통해 고구려 건축물의 두공 조선고고연구 제3호(루계 제72호),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 조선고고학연구
  20. 문명대, 2013, 덕흥리고분벽화(德興里古墳壁畵)와 그 불교의식도(淨土往生七寶儀式圖)의 도상의미와 특징에 대한 새로운 해석 고구려고분벽화 Vol. No. 41, 한국미술사학회
  21. 박아림, 2016. 11, 高句麗古墳壁畵 기초자료정리와 검토, 동북아역사논총 13호
  22. 백종오, 2008 봄호, 북한의 고구려 유적 연구 현황 및 성과 제31권 제1호(통권110호), 정신문화연구
  23. 서정호, 2008. 9, 壁畵를 통해 본 高句麗 집문화(住居文化), 국제학술대회발표논문
  24. 서정호, 2003, 벽화를 통해 본 고구려 집문화
  25. 손량구, 1989, 고구려 사람들의 일본렬도에로의 진출에 대하여 력사과학 2호
  26. 양홍훈, 1987, 斗栱起源考察 中國考古學論文集, 文物出版社
  27. 윤장섭, 1977. 4, 한국건축 목조공포형식 발전과정 고찰 -고대두공의 기원과 발전에 관하여- 건축 대한건축학회지 21권 75호, 대한건축학회
  28. 임린, 2012, 한국과 중국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대 가계의 비교연구 Vol 36, No7, 한국의류학회지
  29. 장명호, 2010, 析高句麗古墳壁畵中的建築形象
  30. 장명호, 2007, 論安岳3號墓的建築淵源
  31. 전주농, 1963, 고구려 벽화무덤의 시원에 대하여 고고민속 3호
  32. 전호태, 2007, 기둥만 세워진 집, 만보정1368호분 벽화
  33. 전호태, 2004. 12, 5세기 평양권 고분벽화로 본 고구려문화의 정체성, 고구려발해학회
  34. 정영진, 2006, 고분벽화로 본 발해문화의 특수성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총서19, 동북아역사재단
  35. 정호섭, 2010. 12, 高句麗 壁畵古墳의 編年에 관한 檢討 선사와 고대 제33호, 한국고대학회
  36. 조법종, 2005. 12, 한국 고대사회의 고조선.단군인식 연구 선사와 고대 제23호, 한국고대학회
  37. 조우연, 2008, 4-5세기 중엽, 평양지역 소재 고구려 벽화고분의 墓向에 관한 試論 -東岩里壁畵古墳, 高山洞 7.10 號壁畵古墳의 묘향과 集安세력의 舊 樂浪.帶方지역 진출 시기에 대해-
  38. 주영헌, 1961, 고구려벽화무덤의 편년에 관한 연구, 과학원출판사
  39. 중앙문화재연구원, 2013, 고구려의 고분 문화 I
  40. 지다 다케미치(千田剛道), 2010, 다카마쓰총과 기토라고분의 벽화 고대 환동해교류사, 동북아역사재단
  41. 최택선, 1988, 고구려 벽화무덤의 피장자에 관한 연구 고고민속론문집 11집
  42. 한인호, 1997,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 본 고구려의 건축에 관한 연구, 高句丽研究
  43. 한천섭, 1997. 4, 고구려벽화무덤의 건축조형적 특성에 대하여, 朝鲜考古研究
  44. 고광익, 2011b, 옥도리 고구려 고분벽화에 대한 고찰 고구려발해연구 제41집, 고구려발해학회
  45. 김도경, 2000, 한국고대목조건축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46. 김버들, 2001, 高句麗 古墳壁畵에 나타난 建築要素에 關한 硏究 -日本古代寺刹과 비교하여-, 동국대학교 건축공학과 석사학위논문
  47. 김진형, 2011. 8, 고구려와 고대 중국의 유물에 나타난 건축요소 비교 연구 : 3-6세기의 고분과 석굴을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석사논문
  48. 박재평, 2002, 한국고대건축 구성요소의 특징에 관한 연구 -4세기에서 9세기의 건축유구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건축공학과 박사학위논문
  49. 박현주, 2002, 德興里古墳 壁畵硏究,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유현옥, 2010. 2, 중국 한대 건축명기의 의장적 특성에 관한 연구 -중국 하남성 출토 한대 건축명기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건축학과 석사학위논문
  51. 이왕기, 1990, 中國 漢代 建築의 樣式에 관한 연구 -家型明器와 畵像石을 對象으로-,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2. 황세옥, 2009, 한국 고건축 목조결구기법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박사학위논문
  53. 황용순, 2007, 高句麗 古墳壁畵와 中國 古墳壁畵와의 關係, 선문대학교 역사학과 석사학위논문
  54. 고구려문화전실행위원회, 1985, 고구려문화전도록, 일본
  55. 궈창화(國慶華).윤재신 옮김, 2006, 중국 목조건축의 구조, 동녘
  56. 김동현, 1996, 高句麗 建築의 對中交涉 高句麗 美術의 對外交涉, 도서출판 예경
  57. 김동현.배병선, 2003, 한국건축사, 기문당
  58. 김용준, 1958, 고구려고분벽화연구, 과학원출판사
  59. 김정기, 1980, 한국목조건축, 일지사
  60. 동북아역사재단 편, 2011, 옥도리 고구려 벽화고분
  61. 동북아역사재단, 2006, 고구려 안학궁 조사보고서 2006
  62. 문화재청, 2004, 고구려고분벽화
  63. 방기동, 2003, 集安高句麗壁畵古墳的建築
  64. 세키노 다다시關野貞, 1913, 조선고적도보
  65. ICOMOS한국위원회.문화재청, 2005, 세계문화유산 고구려고분벽화
  66. 안휘준, 1993, 고구려 고분벽화, 풀빛
  67. 양지홍, 1999, 高句麗建築工藝
  68. 유돈정 저.한동수 외 역, 1995, 중국고대건축사, 세진사
  69. 이윤화 저.이상해 외 역, 2006, 중국고전건축의 원리, 시공사
  70. 이호관, 1994, 고분벽화, 동북아역사재단.
  71. 전호태, 2014, 비밀의 문 환문총, 김영사
  72. 전호태, 2008,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사계절
  73. 전호태, 2007, 고구려, 동북아역사재단
  74. 조선유적유물도감편찬위원회, 2000,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II -고구려편-, 서울대학교출판부
  75. 조선총독부, 1915, 朝鮮古蹟圖譜 二 기타 - 고구려시대(2)
  76. 중국건축사편준비위원회, 양금석 역, 1990, 중국건축개설, 태림문화사
  77. 최무장.임연철, 1990, 고구려 고분벽화, 신서원
  78. 한국미술사학회편, 1996, 고구려 미술의 대외교섭, 도서출판 예경
  79. 한인호, 1995, 조선중세건축유적연구, 사회과학출판사
  80. 황세옥, 2016, 한국사, 도서출판 온고지신
  81. 關口欣也, 1976, 朝鮮三國時代建築と 法隆寺 金堂の 樣式的 系統 太田博太郞還曆記念論文集
  82. 奈良縣立橿原考古學硏究所編, 1972, 壁畫古墳高松塚
  83.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탈 http://portal.nrich.go.kr/kor/page.do?menuIdx=667
  84.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content_id=cp04260014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