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벽체 미생물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8초

신선편이 채소류 가공작업장 내 시설 및 제품의 미생물 오염 실태 (Microbial Contamination in a Facility for Processing of Fresh-Cut Leafy Vegetables)

  • 김병삼;이혜옥;김지영;윤두현;차환수;권기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73-578
    • /
    • 2009
  • 신선편이 농산물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신선편이 농산물 가공시설에 대한 HACCP 적용이 제한적이고 작업공정에 대한 위생관리가 미흡하여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선편이 농산물 가공시설과 작업공정에 대한 위생관리 및 관련 위생설비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작업장과 공정별 설비에 대한 미생물 오염실태를 조사하였다. 신선편이 농산물 가공업체의 엽채류 생산라인 작업장을 조사한 결과 각 작업공정별 벽체의 미생물 오염정도는 총균수가 $10^1{\sim}10^2$ CFU/100 $cm^2$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과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작업대 및 작업기기류의 미생물 오염정도는 총균수가 $10^0{\sim}10^4$ CFU/100 $cm^2$, 대장균군은 $ND{\sim}10^2$ CFU/100 $cm^2$로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 검사 항목 중에 Staphylococcus aureus로 의심되는 균을 동정한 결과 Staphylococcus sciuri 라는 균으로 확인되었으며, 특별한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신선편이 엽채류는 총균수가 $10^4{\sim}10^6$ CFU/g, 대장균군은 $10^4{\sim}10^5$ CFU/g로 검출되었고, 세척수는 총균수가 $10^2$ CFU/g으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작업장 내 공기 중의 낙하균과 부유균은 각각 $10^0{\sim}10^1$ CFU/plate, $10^1{\sim}10^3$ $CFU/m^3$ 범위에서 검출되었다. 검출된 미생물은 동정한 결과 다양한 균이 검출되었으며 그중에서도 Sphingomonas paucimobilis는 공정 전 과정에서 검출되었다. 결과적으로 생산과정의 여러 검체에서 공기 미생물과 같은 균종이 검출되어 부착미생물만큼이나 공기 미생물이 제품의 오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생산에 관계된 시설과 작업장 내의 공기 미생물의 관리가 함께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신선편이 양파 가공작업장 내의 시설 및 공정별 미생물 오염 실태 (Microbial Contamination in a Fresh-Cut Onion Processing Facility)

  • 이혜옥;김지영;윤두현;차환수;김건희;김병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67-57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신선편이 농산물 가공시설과 작업공정에 대한 위생관리 및 관련 위생설비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작업장과 공정별 설비에 대한 미생물 오염 실태를 조사하였다. 신선편이 농산물 가공업체에서 양파 생산라인 작업장을 조사한 결과 각 작업공정별 벽체의 경우 미생물 오염정도는 총균수가 $ND{\sim}10^1$ CFU/100 $cm^2$ 미만으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과 병원성 식중독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작업대 및 작업기기류의 경우 미생물 오염정도는 총균수가 $10^0{\sim}10^3$ CFU/100 $cm^2$, 대장균군은 $ND{\sim}10^3$ CFU/100 $cm^2$로 검출되었다. 병원성식중독균 검사 항목 중에 Staphylococcus aureus로 의심되는 균을 동정한 결과 Kocuria varians라는 균으로 확인되었다. 병원성식중독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신선편이 양파의 경우 총균수가 $10^3{\sim}10^4$ CFU/g, 대장균군 $10^3{\sim}10^4$ CFU/g로 검출되었고, 세척수의 경우 총균수가 $10^1{\sim}10^2$ CFU/g으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다. 작업장 내 공기 중의 낙하균과 부유균의 경우 각각 $ND{\sim}10^0$ CFU/plate, $10^1{\sim}10^2$ $CFU/m^3$ 범위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었다. 검출된 미생물에 대하여 Vitek (R)2 compact를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다양한 균이 검출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Sphingomonas paucimobilis은 공정 전 과정에서 검출된 균이다. 결과적으로 생산과정에서 공기 미생물과 같은 다양한 균종이 검출되어 부착미생물만큼이나 공기 미생물이 제품의 오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파쇄 폐타이어가 혼합된 생물학적 반응벽체에 관한 연구 : 폐타이어와 미생물의 MTBE (Methyl tertiary Butyl Ether) 흡착

  • 정수봉;이재영;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3-26
    • /
    • 2004
  • Methyl Tertiary-Butyl Ether is one of several fuel oxygenates added to gasoline to improve fuel combustion and reduce tile resulting concentration of hydrocarbon. Thus, MTBE transfer readily to groundwater from gasoline leaking from Underground Storage Tank. Therefor, there are significant risks and costs associated with the water contamination. MTBE is far more water soluble than gasoline hydrocarbon.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is to test the ability of ground tire with facultative bacteria. Bacillus brevis, to sorb MTBE. The process is consisted both batch and column experiment to determine the sorption capacity. And Biofilm is observed by SEM in the column. Finally, it is clear that ground tire represent an attractive and relatively inexpensive sorption medium for a MTBE. The authors can surmise that to determine the economic cost of ground tire utilization, tile cost to sorb a given mass of contaminant by ground tire will have to be compared to currently accepted sorption media. and Bacillus brevis strain was eliminated on MTBE, too. The biobarrier that ground tire with bacteria, has potential for use in the remediation of MTBE-contaminated environments.

  • PDF

공주 송산리 6호분에서 분리한 진균의 생화학적 특성 분석 및 생장제어 연구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Control for fungi isolated from mural painting of Tomb No.6 at Songsan-ri, Gongju)

  • 이민영;박희문;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27-241
    • /
    • 2015
  • 공주 송산리 6호분에서 분리한 미생물의 배양조건에 따른 생화학적 특성을 확인하고 천연물 유효성분인 anethole과 eugenol의 항진균력을 평가하여 고분 또는 벽화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송산리 6호분 내부 공기중 및 벽체에서 포집된 26종의 곰팡이는 자낭균류 15종, 접합균류 2종, 담자균류 1종으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곰팡이의 전분과 젤라틴에 대한 분해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 SY-18, SY-23, SY-25 등에서 전분에 대한 분해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SY-18, SY-21, SY-23 등에서 높은 젤라틴 분해능을 보였다. 각 기질의 분해능이 우수한 균주 3종을 액체배양하여 생화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천연물 유효성분인 anethole과 eugenol의 항진균력 평가 결과, anethole과 eugenol의 혼합액(1:2)에서 곰팡이의 생장 억제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국내외에 동굴 또는 고분 벽화에 발생 가능한 곰팡이에 대해 강력한 항진균력을 보이는 천연물 유효성분을 이용하여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가철/바이오 복합처리제를 이용한 질산성 질소 오염 지하수의 현장 지중정화 적용성 평가 (Field Assessment of in Situ Remediation of NO3--contaminated Ground Water Using Zero-valent Iron/Bio Composite Media)

  • 주완호;장윤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1호
    • /
    • pp.35-4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예산군에 위치한 질산성 질소 오염 지하수 부지를 대상으로 오염지하수의 지중정화현장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고자, 영가철/바이오 환경정화소재를 이용한 Injected PRB(Permeable Reactive Barrier)와 관측정을 현장 오염지하수부지에 적용하고 주요 정화지표에 대한 변화를 모니터링하였다. 질산성질소, 아질산성질소, 암모니아성질소, 철 이온, TOC, 탁도 등의 항목 등을 조사하고 미생물 분석을 실시하여 지중정화기술의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대상 부지는 농경지역으로 북쪽 경계는 하천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며 하천 경계를 형성하고 남쪽은 불투수 경계로 이루어져 있다. 질산성질소는 전반적으로 지하수 흐름과 유사하게 하천으로 흐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델링 결과, 약 3년에서 5년정도 경과 후 안정 상태로 도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추가적인 오염원 유입이 없는 현재 상태만 고려한 것으로 지속적 오염이 유입된다면 오염범위 및 안정화 기간이 증가할 수 있다. 모니터링 결과, PRB설치 전, 후 철 이온, TOC, 탁도 값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PRB의 음용수 관정 영향은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해당 지중정화기술의 지중 주입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질산성질소는 PRB 설치 42일 차까지 5 mg/L보다 낮은 농도가 유지되었으나 84일 차부터 PRB 내부의 질산성질소 제거 유효 기간이 끝나 원래의 농도를 회복하였다. PRB 설치 후 아질산성 질소와 암모니아성 질소의 검출은 PRB에 의한 질산성 질소의 환원에 의한 감소를 보여주었으며, 미생물 분석 결과 종 다양성이 증가하고 탈질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는 Betaproteobacteria Class 군집이 크게 증가한 결과는 질산성 질소가 생물학적 환원작용에 의한 정화 가능성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