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벼먹노린재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벼먹노린재 방제, 어떻게 해야 하나? - `유령충` 충체별 약제 내성 가장 약해 약제 방제표적 $1\~2$령충, 방제효과 확실

  • 현재선
    • 농약정보
    • /
    • 제23권2호통권175호
    • /
    • pp.22-25
    • /
    • 2002
  • 연 1회 발생하며 성충태로 대부분이 양지바른 산지의 돌밑이나 낙엽밑 또는 논뚝 일부에서 월동하는 벼먹노린재는 작물종류나 경종양식이 다양화하면서 최근들어 국지적으로 문제되고 있다. 가해가 가장 심한 시기는 수잉기에서 출수기에 걸쳐서인데 이 때까지는 피해가 잘 눈에 띄지 않는다. 그러나 백수가 보이면서 갑자기 눈에 띈다

  • PDF

벼먹노린재(Scotinophara lurida)의 월동처와 본답발생 (Overwintering Site and Seasonal Occurrence of the Rice Black Bug Scotinophara lurida $B\"{U}RMEISTER$ (Hemiptera: Pentatomidae) in the Rice Paddy Field)

  • 이기열;박성규;안기수;최병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91-296
    • /
    • 2004
  • 충북지역에서 벼먹노린재(Scotinophara lurida)에 대한 월동처와 본논발생에 대하여 1999년부터 2001년에 걸쳐 조사하였다. 벼먹노린재 월동성충은 월동처에서 6월 상순부터 7월 상순까지 유아등에 포획되었으며, 이동최성기는 6월 하순이었다. 본논에서 각 태별 발생 피크는 월동성충이 7월 중순, 알이 7월 하순, 약충은 8월 중순에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제 1대 성충은 9월 중순에 가장 높은 밀도 피크를 보였다. 월동태는 성충이며, 월동충은 산기슭, 제방, 논뚝에서 발견되었다.

벼먹노린재(Scotinophara lurida)의 생활사와 기주식물 (Host Plants and Lifr Cycle of Rice Black Bug, Scotinophara lurida BURMEISTER(Hemiptera: Pentatomidae))

  • 이기열;안기수;강효중;박성규;김태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09-313
    • /
    • 2001
  • 벼먹노린재(Scotinophara lurida)에 대한 생활사와 기주식물에 대한 연구를 1999년부터 2001년에 걸쳐 수행하였다. 벼먹노린재의 알은 엷은 회색의 란형이다. 약충은 5령까지 발육하고, 체색은 적갈색, 흑갈색 그리고 갈색으로 체장은 1.19~7.24mm이다. 성충은 암수 모드 검은색이며 체장은 각각 9.34, 8.47mm, 월동성충의 수명은 27.2일, 산란수는 30.7개이다. 각 태별 발육기간은 알기간이 4.3일, 약충기간은 45.8일이다. 기주식물로 확인 종은 총 9종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