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벤조인

검색결과 239건 처리시간 0.023초

Aliquat 336 상이동 촉매하에서 디페닐메탄의 산화에 의한 벤조페논의 합성 (Synthesis of Benzophenone by Oxidation of Diphenylmethane under Aliquat 336 as Phase Transfer Catalyst)

  • 박대원;이화수;문정열;박상욱;신정호
    • 공업화학
    • /
    • 제5권1호
    • /
    • pp.74-80
    • /
    • 1994
  • 본 연구는 Aliquat 336 상이동 촉매와 potassium tert-butoxide 염기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디페닐메탄을 산화시켜 벤조페논을 합성하는데 관한 것이다. 4급 암모늄염 촉매 존재하에서는 벤조페논이 합성되지 않는다고 보고된 다른 연구 결과와는 달리 Aliquat 336 촉매로 상온에서 30% 이상의 벤조페논 수율을 얻었다. Aliquat 336 촉매의 양과 potassium tert-butoxide의 양이 증가할수록 디페닐메탄의 전화율이 증가하였다. 산소의 분압이 높을수록 유기용매에 녹아 있는 산소의 농도가 증가하여 전화율과 선택도가 상승하였다. 또한 Aliquat 336 촉매의 역할이 포함된 반응 메카니즘을 제시하였다.

  • PDF

코발트 카르보닐 촉매에 의한 브로모벤질 브로미드의 카르보닐화 (II). 알킬(알콕시메틸)벤조에이트의 선택성 합성 (Carbonylation of Bromobenzyl Bromide Catalyzed by $Co_2(CO)_8(II)$. Selective Synthesis of Alkyl(alkoxymethyl)benzoate)

  • 심상철;도칠훈;윤영주;조찬식;우병원;오대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0-95
    • /
    • 1991
  • 할로벤질 할라이드의 선택적 카르보닐화에 대한 방법을 검토하였다. 알킬(알콕시메틸)벤조에이트는 한 반응기에서 두 반응에 의해 완성되며, 일차로 알코올 용매하에서 알콕시 음이온을 할로벤질 할라이드와 반응시키면, 알킬 할로벤질 에테르가 Williamson ether 합성법에 의해 얻어진다. 이차로 Na$_2$CO$_3$, CH$_3$I 및 Co$_2$(CO)$_8$을 첨가하고, 일산화탄소 기류하에서 반응시키면, 알릴할라이드 부분이 카르보닐화되어 알킬(알콕시메틸)벤조에이트를 높은 수득률로 얻을 수 있었다.

  • PDF

내식 방지용 고분자 나노복합재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lymer Nanocomposite for Corrosion Protection)

  • 유성구;박세형;박찬섭;차종현;서길수
    • 공업화학
    • /
    • 제16권2호
    • /
    • pp.212-216
    • /
    • 2005
  • 아연도금 강판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청제로서 사용하고 있는 벤조트리아졸을 유기화제로 사용하여 이를 Na-montmorillonite (Na-MMT)에 삽입시켰다. 이것을 XRD로 관찰한 결과 벤조트리아졸의 삽입으로 인하여 MMT의 층간 거리가 증가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코팅액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벤조트리아졸이 삽입된 MMT를 이용하여 수용성 poly(ethylene-co-acrylic acid) (PEA) 나노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나노복합재료는 PEA 매트릭스에 실리케이트가 단일층으로 잘분산되어 있는 박리형 나노복합재료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을 인용하여 아연도금강판에 코팅하여 염소분무 시험한 결과 금속의 내식성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PEA 매트릭스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실리케이트 층에 의한 산소투과도 감소와 방청제의 효과에 의한 것이다.

다중의약품에 저항하는 Staphylococcus aureus 균에 항균성을 가지는 파라-히드록시벤조히드라자이드 유도체의 합성과 구조-활성관계 3차원 정량분석 (Synthesis and 3D-QSAR of p-Hydroxybenzohydrazide Derivatives Wit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Multidrug-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Bhole, Ritesh P.;Bhusari, Kishore P.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77-87
    • /
    • 2010
  • 40여년전에 보고된 이래 병원에서 유래한 메치실린-저항 Staphylococcus aureus (MRSA) 은 세계적으로 큰 문제가 되어왔다. 항균성의 가능성을 가지는 새로운 약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N'-[(-3-substituted-4-oxo-1,3-thiazolidin-2-ylidene]-4-hydroxy benzohydrazide (4a-4.i)와 N'-[-(3,4-disubstituted)-1,3-thiazolidin-2ylidene)]-4-hydroxybenzohydrazide (5.a-5.i)~(10.a-10.i)을 적절한 합성방법을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이들 합성된 화합물들은 s. aureus 균주에 대해 생체외 조건에서 분석하였다. 시료 화합물과 표준 화합물에 대해 최소억제농도(MIC)를 결정하였다. 시험한 모든 화합물들은 2000 ${\mu}g$/mL 투여량까지는 독성이 없었고, 사용한 균주에 대해 상당한 항균성을 보였다. 특히 6.f, 7.g, 9.f 와 10.f, 10 i 들이 가장 항균성이 컸다. 이것으로 미루어 파라-히드록시벤조히드라자이드 고리와 치환된 싸이아졸린 고리는 항균성에 필수적임을 알 수 있었다. 3D-QSAR 분석결과로 파라-히드록시벤조히드라자이드의 활성자리에 대한 결합방식을 알게되었다.

벤조티아졸기를 갖는 벤조크라운에테르를 전극물질로 사용한 $K^+$ 이온선택성 막전극 (Benzothiazole Substituted Benzocrown Ether-Based Potassium Ion-Selective Membrane Electrodes)

  • 홍욱선;권혜경;차근식;남학현;장승현;정광보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698-704
    • /
    • 1995
  • 33중량%의 PVC와 66중량%의 o-NPOE 가소제에 1중량%의 중성 전극물질인 4'-benzothiazolyl-benzo-15-crown-5를 사용하여 성형한 막전극은 다른 15-크라운-5난 18-크라운-6 유토체들에 비하여 나트륨에 대하여 보다 낮은 선택성을 갖는 칼륨선택성을 나타내었다. 이 막전극의 전기화학적 성질들(감응기울기, 선택성, 섬출한계 및 수명)을 잘 알려져 있는 칼륨선택성 전극물질인 발리노마이신, benzo-15-crown-5, 4'-aminobenzo-15-15-crown-5, benzo-18-crown-6, dibenzo-18-crown-6 및 bis[(benzo-15-crown-5)-4'-ylnethuyl]pimelate를 사용한 전극막들의 것과 동일한 실험 조건하에서 비교하였다. 이러한 비교연구를 통하여 벤조티아졸기가 치환된 벤조크라운에테르 화합물이 증가된 칼륨이온 선택성을 나타내게되는 이유를 치환기의 효과와 이온의 분배계수효과로 설명하였다.

  • PDF

Benzodiazepine 계열 약물 복용 환자의 수면다원검사에서 도출된 EEG유형 분석 (Polysomnography 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phy in Patients Expending Benzodiazepine Drugs)

  • 장다준;임동규;김재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33-341
    • /
    • 2021
  • 벤조디아제핀은 GABAA 수용체에 작용하고 신경 억제제로 작용하며 불안, 불면증 및 공황 장애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 그룹이다. 우리는 연령, 벤조디아제핀 사용 여부 및 사용 기간에 따라 수면 중 뇌파 소견에 차이가 있는지 관찰하기 위해 30명의 개인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얻은 뇌파 소견을 이용하여 벤조디아제핀 복용군과 비복용군, 단기 및 장기복용, 노인과 비 노인군, 고령 단기복용 및 고령 장기복용군을 비교했다. 평가된 항목은 수면 잠복기, 수면 효율, 수면 단계별 백분율, sleep spindle의 개수 및 평균 주파수로 설정하였다. 복용군과 비복용군의 비교에서 sleep stage와 sleep spindle의 평균 주파수 항목에서 유의미하였다. 장기복용과 단기복용군의 비교에서 sleep efficiency 항목에서 유의미하였다. 노인군과 비 노인군과의 비교에서 sleep efficiency, sleep stage 항목에서 유의미하였다. 전반적으로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벤조디아제핀의 사용은 느린 주파수 수면을 억제하고 수면 방추파의 주파수와 빈도를 증가시킨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