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범례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2초

서파(西陂) 유희(柳僖)의 『춘추괄례분류』에 보이는 『춘추』 범례 분류의 특징 (Characteristics in Classification of Chunqiu Introductory Remarks (凡例) demonstrated on Chunqiugwalyebulyu (春秋括例分類) by Seopa(西陂) Ryu-Hee(柳僖))

  • 김동민
    • 한국철학논집
    • /
    • 제54호
    • /
    • pp.115-151
    • /
    • 2017
  • 본 논문은 서파 유희의 "춘추괄례분류'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 책에 보이는 범례 분류의 특징 및 그 학술적 가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책은 "춘추" 범례의 기본 원칙을 바탕으로 정형화된 범례를 규정한 일종의 범례 종합 분류집이다. 서파는 "춘추" 범례 분류의 두 가지 기본 원칙을 제시하였다. 첫째, "춘추" 라는 책의 성격과 체계를 명확하게 규정함으로써 "춘추" 범례를 분류하게 된 배경을 밝혔다. 둘째, "춘추" 에 존재하는 필법과 의리가 범례 분류의 기준이 된다는 점을 천명하였다. 서파는 이러한 범례의 기본 원칙에 따라 유형별로 범례를 분류하여 정형화된 범례 규정을 확정함으로써 올바른 "춘추" 해석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범례 규정이 잘못된 "춘추" 해석이 나올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함과 동시에 왜곡된 이론의 존립 근거도 없애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 책은 다양한 범례의 체계적인 분석과 종합을 통해 "춘추" 범례 분류의 표준화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매우 크다고 평가할 수 있다.

${\ll}$청구도${\gg}$ 이본 4개 유형의 제작 시기에 대한 검토 (Review on the Period when Four Types of Alternative Versions of ${\ll}$Cheonggudo${\gg}$ were drawn up.)

  • 이기봉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92-306
    • /
    • 2009
  • 본 연구는 ${\ll}$청구도${\gg}$ 이본 4개 유형의 제작 시기에 대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구도범례"는 "청구도제"가 작성된 1834년 이후에 작성되었기 때문에 최초의 ${\ll}$청구도${\gg}$에는 "청구도범례"가 수록될 수 없었다. 둘째, <도성도>는 총융청에서 총위영으로 이름이 바뀐 1846년 이후에 제작되었으며, 총위영이 존재했던 1846년 이후에서 1849년 이전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셋째, <도성도>를 삽입한다는 내용이 있는 "청구도범례" 역시 1846년 이후에 작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넷째, "청구도범례"와 본조팔도주현총도가 없는 ${\ll}$청구도${\gg}$ ${\rightarrow}$ "청구도범례"가 없고 본조팔도주현총도가 있는 ${\ll}$청구도${\gg}$ ${\rightarrow}$ "청구도범례"가 있고 봉우리식으로 표현된 ${\ll}$청구도${\gg}$ ${\rightarrow}$ "청구도범례"가 있고 산줄기식으로 표현된 ${\ll}$청구도${\gg}$의 순서로 제작되었다.

  • PDF

GIS Database 구축을 위한 지형 요소의 지도화 (Geomorphological Mapping for Construction GIS Database of Geomorphic Elements)

  • 이민부;김남신;한균형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81-92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지형요소의 GIS Database 구축을 위한 전산화된 지형분류도 제작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지형요소 전산화는 지형요소의 분류, 지형요소의 코드화, 범례화, 심볼의 제작, 마지막으로 지도화의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다. 지형분류는 지형요소의 공간적 분포와 형태, 지형형성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체계와 지형형성기구의 역할을 고려하며, 동적인 지형형성과정과 이 과정을 통해 물질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형분류도는 1: 25,000 축적에 표현 가능한 지형요소를 나타낼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지형요소들의 지도화 되었을 때는 시.공간적인 관계를 통해 지형환경체계가 인식되도록 하였다. 지형요소들은 GIS에서 Layer단위로 입력되어야 하기 때문에 Data Feature의 성격을 점.선.면으로 분류하여 지형요소의 형상을 범례로 만들었다. 지형요소 범례는 지형의 형태, 물질 그리고 성인을 고려하여 지형요소를 상징화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