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범람도

Search Result 1,00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pplications of Channel Auto-Design System to flood inundation and bed change simulations in a small stream (소하천 홍수범람 및 하상변동 분석에 Channel Auto-Design System의 적용)

  • Kim, JongChun;Park, Sangwoo;Jeong, J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10-210
    • /
    • 2019
  • 소하천정비종합계획의 핵심은 설계홍수량보다 하천 단면의 통수량이 부족하여 홍수시 범람할 수 있는 구간에 적정 하도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하도계획을 수립하기에 앞서 기존 하천을 대상으로 홍수범람을 분석하여 범람 양상을 먼저 파악해야 하며, 이때 산정되는 예상피해액은 추후 편익-비용비를 바탕으로 소하천의 정비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기초 자료로도 활용된다. 한편, 장래하상변동을 모의하여 안정하도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역시 중요한데, 수립된 하도계획에서 과도한 하상변동이 발생하면 통수 능력의 변화, 급격한 수위 변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안정하도를 유지할 수 있는 대책이 동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존 하천의 평형상태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하도계획에 반영해야 적절한 종단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소하천정비종합계획의 경우 지자체별로 적게는 수십 개부터 많게는 수백 개의 소하천을 대상으로 과업이 진행되기 때문에 홍수범람 및 하상변동 분석을 소하천마다 반복해야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설계 편의를 위해 개발된 Channel Auto-Design System(안)은 효율성 증진, 설계의 표준화 측면에서 활용도가 높고, 이미 지방하천 12개소, 소하천 267개소를 대상으로 강우분석, 설계홍수량 산정, 하도계획 수립 단계에 적용되어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소하천정비종합계획 수립 과정 중 홍수범람 분석을 아우른 예상피해액 산정과 하상변동 분석을 통한 안정하도 검토에 초점을 맞춰 Channel Auto-Design System의 적용성을 추가로 검증하였다.

  • PDF

Analysis of large-scale flood inundation area using optimal topographic factors (지형학적 인자를 이용한 광역 홍수범람 위험지역 분석)

  • Lee, Kyoungsang;Lee, Daeeop;Jung, Sungho;Lee, Giha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6
    • /
    • pp.481-490
    • /
    • 2018
  • Recently,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flood disasters have become more complex and unpredictable due to climate change. Flood hazard map including information on flood risk level has been widely used as an unstructured measure against flooding damages. In order to product a high-precision flood hazard map by combination of hydrologic and hydraulic modeling, huge digital information such as topography, geology, climate, landuse and various database related to social economic are required. However, in some areas, especially in developing countries, flood hazard mapping is difficult or impossible and its accuracy is insufficient because such data is lacking or inaccessibl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to delineate large scale flood-prone area based on topographic factors produced by linear binary classifier and ROC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s) using globally-available geographic data such as ASTER or SRTM. We applied the proposed methodology to five different countries: North Korea Bangladesh, Indonesia, Thailand and Myanmar. The results show that model performances on flood area detection ranges from 38% (Bangladesh) to 78% (Thailand). The flood-prone area detection based on the topographical factors has a great advantage in order to easily distinguish the large-scale inundation-potent area using only digital elevation model (DEM) for ungauged watersheds.

Application of Flumen at Vulnerable Levee of Han River (한강제방의 취약지역에 대한 Flumen의 적용)

  • Park, Sung-Woo;Lee, Jin-Woo;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57.1-57.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한강제방 취약구간인 성산대교와 잠실철교 부근 지역에 대한 홍수범람을 수치모의 하였다. 제방 취약지역은 계획홍수량에 따른 하천설계 기준(2005)에 제시된 내용과 HEC-RAS를 이용한 부등류 해석을 통해 제방의 여유고와 비교하여 산정하였다. 범람모의를 위해 상용 수치모형인 FLUMEN을 이용하여, 한강제방의 취약지역에 대한 범람을 모의하고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Comparison of Flood Inundation Models using Topographic Feature (지형요소를 이용한 홍수범람해석 모형의 비교)

  • Moon, Changgeon;Lee, Jungsik;Cho, Sunggeun;Shin, Shachul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5 no.1
    • /
    • pp.69-77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flood inundation models for small stream basin. HEC-RAS model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one dimensional hydraulics and HEC-GeoRAS, Ras Mapper and RiverCAD models were applied for the flood inundation analysis in Gum Chung stream. Flood inundations are to simulate by flood inundation models using observed data and rainfall on each frequency and to compare with inundation area based on the flood plain ma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rea of flood inundations by HEC-GeoRAS model is similar to that of flood plain map and appears in order of RAS Mapper and RiverCAD model. Flood inundation area by RiverCAD model is to estimate lager than that of RAS Mapper and HEC-GeoRAS model in flood area on each frequency and the results show that they have a little difference in models of flood inundation analysis at small stream. Comparing the area of flood inundations by flood depth, the results of three models are relatively similar in flood depth as 2.0 m below, and RiverCAD model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lood depth as 2.0 m or more.

Analysis of Optical Satellite Images and Pyroclastic Flow Inundation Model for Monitoring of Pyroclastic Flow Deposit Area (화성쇄설류 분출 지역의 감시를 위한 광학영상과 화성쇄설류 범람 예측 모델링 분석)

  • Cho, Minji;Lee, Saro;Lee, Chang-Woo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0 no.2
    • /
    • pp.173-183
    • /
    • 2014
  • Field survey research on damages caused by volcanic activities has plenty of difficulties due to human resources, safety and costs issues. Remote sensing application using satellite image is one of very useful tools to overcome those issues. In this study, we monitored the volcanic activities of Sinabung volcano in 2010, which is located in Sumatra island, Indonesia by using Landsat 7 ETM+ satellite images acquired on 17 April, 2009 and 30 July, 2012. We found that the area of pyroclastic flow inundation after 2010 has been tripled roughly, since extracting the pyroclastic flow inundation before and after 2010 eruption from classification. The result from modeling of pyroclastic flow inundation has been compared with the extracted pyroclastic flow inundation from Landsat 7 ETM+ images.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the length of inundation area from the modeling was calculated to 92% accurate, but the width of inundation area was somewhat imprecisely estimated in the volcanic area having the sharp slope and only calculated to 17% accurate.

Applicability on Inundation for Hydrodynamic Models adopting Moving Boundary Scheme (이동경계기법을 이용한 해수유동모형의 범람 적용성)

  • Park, Seon-Jung;Kang, Ju-Whan;Moon, Seung-Rok;Yoon, Jong-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1 no.2
    • /
    • pp.164-173
    • /
    • 2009
  • MIKE21, a commercial hydrodynamic model, was applied at the Masan Bay to evaluate the model's applicability of simulating the inundation phenomena. A storm surge/inundation model which adopts overflow computation scheme was applied together for comparison. The results of both models show correspondence with not only observed inundation area but also inundation water depth to prove their ability as inundation models. Especially, the accuracy of the MIKE21 model, which just adopts wetting/drying scheme, does not seem to be behind the inundation model. Moreover, an inundation simulation of the virtual MAEMI which was generated at preceding study, was conducted. The inundation area of the virtual MAEMI is similar to that of the real MAEMI, but inundation water depth is deeper than the real MAEMI.

An analysis of Flood Inundation using Query and Mathematical Method (Query 및 Mathematical 기법을 이용한 홍수범람 해석)

  • Jeong, Ha-Ok;Park, Sang-Woo;Choo, Tai-Ho;Park, Kun-Chu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2 no.1
    • /
    • pp.33-40
    • /
    • 2010
  • In this study, it has been intended to present the ways to improve some problems such as the difficulty of using the program which had got from the existing study, the computation and application of a lot of parameter and the complicated processing which need to be more simplified. Also It has been tried to bring up the ways to make a flood inundation map and a detailed inundation analysis which could reduce the risk factors. We selected an Anseong-Cheon basin, and wrote a flood inundation scenario based on extreme flood to exceed the planned frequency to consider only overflow and levee break and executed inundation simulation. Researchers conducted an analysis of overflow and levee break using function of HEC-RAS Storage with a One-Dimensional model. It applied Elevation versus Volume Curve for more correct inundation simulation than a method of Area-Time-Depth which used in popular. This study will suggest a mathematical method of SURFER with a little difference of inundation area more simplified and precise flood inundation than complicated Arcview 3.2a which used Query method of Arcview 3.2a.

Assessment of flood hazard using 1D and 2D modeling in Rio Narcea, Spain (스페인 Rio Narcea 유역에서의 1D 및 2D 모델링을 이용한 홍수범람 평가)

  • Kim, Woo-Jin;Han, Hyeong-Jun;Choi, Gye-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31-431
    • /
    • 2011
  • Rio Narcea 는 스페인 북부에 위치한 Astuias 지역을 흐르는 Nalon River 의 한 지류로서 총연장 102km 유역 면적 1,135 m이며. 사행천으로 홍수 시 범람하기 쉬운 곡류천의 특성상 잦은 홍수피해를 받고 있는 지역이다. 특히 2010년 6월에는 일주일 사이에 홍수 피해가 두 번씩이나 발생함에 따라 수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였고 사회 SOC 시설이 큰 타격을 입는 등 상당한 피해를 야기하였다. 이에 1D 및 2D 수리 모델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행천에 수리특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홍수범람도를 작성하여 1D와 2D 모델링을 비교분석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홍수 피해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1D 모델링은 HEC-GeoRAS 및 HEC-RAS를 이용하였으며, 2D 모델링에는 IBER를 이용하였다. Arc-GIS 툴을 이용한 HEC-GeoRAS 기능을 사용하여 강의 단면을 구성하고 HEC-RAS를 이용하여 1차원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2D 모델링에는 스페인의 CIMNE에서 개발한 2차원 수리해석 프로그램인 IBER를 사용하였는데, 이 프로그램은 부정류 해석과 난류 해석, 유사이동 및 Dam-break 등의 해석이 가능하다. 1D 및 2D 모델링의 결과 값으로 얻어진 수심 및 유속을 토대로 1D는 Arc-GIS를 이용, 2D는 IBER 프로그램 내에 기능을 이용하여 바르셀로나에서 주로 사용되는 Catalan Water Agency 기준에 의한 홍수범람도를 작성하였다. 각각의 1D 와 2D 모델링으로 작성한 홍수범람도를 비교분석해 본 결과 거의 유사하게 표현됨을 알 수 있었으며, 두 모델링 기법 모두 홈수범람도를 표현함에 있어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대상지역의 관련 자료의 유무에 따라 구분하여 1D 혹은 2D 모델링 기법을 선택 사용할 수 있으며. 유역의 홍수발생시 인명과 재산 피해에 대비한 홍수범람 지도 및 홍수재해지도 제작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lood hazard analysis by using HEC-RAS 2D and Mapper Model based on: Bulgab Reservoir (HEC-RAS 2D 및 MAPPER 모형을 이용한 홍수범람 해석: 불갑저수지 중심으로)

  • Yu, Chang Hwan;Shin, Jae Sung;Oh, Yeun K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54-254
    • /
    • 2019
  • 최근 가속화되는 온난화와 이상기후 현상으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홍수 및 가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기상이변으로 인한 집중호우 및 이상강우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이유로 하천 제방월류 및 댐 구조물의 붕괴 등 다양한 홍수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댐 구조물의 경우 붕괴 시하류에 직접적인 재산 및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정확한 해석이 필요하다. 기존의 댐 붕괴로 인한 하류하천 영향 및 홍수범람해석의 경우 하류하천 지형 및 기하학적 환경을 고려하지 못한 1차원적 해석에 그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남 영광군에 위치한 불갑저수지를 대상으로 1:5000 DEM 및 하천측량 자료를 적용하여 GIS Tool인 HEC-RAS Mapper를 구성하기 위한 하류지역의 기하학적 자료(Terrain MAP)를 추출하였으며, 미국 공병단에서 개발한 HEC-RAS 2D 모형을 이용하여 댐 구조물 붕괴 시 하류영향 및 홍수범람도를 작성하였다. 댐 붕괴에 따른 유출수문곡선을 유도하기 위해서 도면과 보고서를 참고하여 붕괴지속기간, 붕괴부 평균폭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조건들이 붕괴파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댐 직하류를 포함함 전 구간에서 범람현상이 발생되었으며 하도의 특성 및 구조물의 영향으로 구간별 침수심이 다르게 분포되었다(3.0~5.1m). 또한 하류로 진행되며 홍수파 및 침수심의 영향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댐 직하류에 유입된 붕괴유출량이 제내지로 확산되어 하류지역의 홍수파 에너지가 감소되는 것으로 이러한 결과는 실제하천에서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이며 제내지의 홍수범람을 양상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향후 이러한 2D 범람해석 결과를 토대로 보다 더 세밀한 유역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홍수 범람해석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Flood inundation analysis of Ca river basin in Vietnam using K-series model (K-serise 모형을 이용한 베트남 Ca 유역의 홍수범람해석)

  • Dae Eop Lee;Min Seok Kim;Jin Hyeog Park;Yeon Su Kim;Wan Sik 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42-342
    • /
    • 2023
  • 메콩강을 공유하는 6개국은 주로 강의 개발과 수자원의 활용을 통해 경제성장을 이룩하고 있다. 하지만, 각국의 산업화나 경제성장의 수준, 메콩강에 대한 의존도와 관심, 전략 등이 서로 달라 개발에 따른 국가 간 수자원 공유, 환경피해, 지역보존 등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메콩지역의 국가 중 베트남은 하천유역의 많은 부분이 국가공유하천으로 인접국가의 유역개발에 따라 다양한 물 분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잦은 홍수피해가 발생하고, 낙후된 사회인프라로 인해 이수 및 수질오염과 관련된 물 문제 역시 지역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해당지역의 물 문제해결을 위한 정책결정의 지원을 위해서는 수리·수문학적 기초 또는 상세 분석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매년 홍수와 대규모 범람, 비효율적 댐운영으로 인한 가뭄, 염수침입 등의 물 문제가 발생하는 Ca River 유역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K-series SW 기반의 홍수범람 해석을 수행하였다. K-water에서 개발된 다양한 K-Series SW 중 연구대상유역인 Ca River 하류 유역에 대한 적용에 적합한 모형을 기존 현황조사 등을 바탕으로 1차원 하천흐름해석을 위한 K-River, 2차원 홍수범람해석을 위한 K-Flood 모형을 선정하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2010년과 2013년의 홍수기를 대상으로 K-River모형을 이용하여 Ca river 하류의 수리학적 현상을 해석하였으며, 해당 결과를 기반으로 K-Flood 모형을 이용한 2차원 홍수범람해석을 수행하고 실제 범람지도와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결과검토를 통해 모의 결과가 수위에 대해 높은 재현성을 보이고 있으며 범람면적과 침수심의 모의결과가 실제 침수양상과 비슷한 양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