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범람도

Search Result 1,00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Runup Computation of 1992 Nicaraguan Tsunami (1992年 니카라구아 쓰나미의 범람 산정)

  • 최병호;정홍화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7 no.1
    • /
    • pp.24-32
    • /
    • 1995
  • Tsunami generated by the 1992 Nicaragua's west coast earthquake caused 95 persons death, 155 persons injury and 3000 persons homelessness. The previous study done by Imamura et al. (1993) were on the 1992 Nicaragua tsumami generation and propagation which were simulated by using spherical far-field model and Cartesian near-field model, and the computed results with assumption of vertical wall at coast were adjusted by runup ratio to compare with observations. This study using moving boundary model hindcasts El Transito's runup height which was observed as about 6.4-9.9m.

  • PDF

UAV-based of automatic assessment of river embarkment from inundation (UAV를 활용한 위험단면 산정 자동화 기법개발)

  • Tae Gyun Kim;Tae Sam Lee;Jae Woo Park;Seong Hyeon H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10-210
    • /
    • 2023
  • 하천에서 범람이 발생하는 위험단면을 획득하는 것은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제까지는 특정단면을 현장에서 확인하여 직접측량을 통해 획득하고 이를 위험단면으로 하여 실제 하천 인근에서 홍수로 인해 가장 먼저 범람이 발생하는 위험단면과는 차이를 보일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최근에 UAV(Unmanned Aerial Vehicle) 항공사진측량을 통해 3차원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각 세부단면에 대한 분석이 가능해져 보다 정밀한 위험단면을 산정할 수 있다. 각 세부단면을 활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위험단면을 획득한다면 이제까지 직접측량으로 획득한 위험단면보다 홍수로 인해 가장 먼저 범람하는 지점과 최소홍수량 산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UAV 항공사진측량을 통해 하천의 각 세부단면을 분석하여, 최소 홍수량에서 범람하는 위험단면을 자동으로 산정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소하천에서 UAV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위험단면을 산정한다면 조기경보시스템 등을 설정하는것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umerical Simulations of Storm Surge/Coastal Flooding at Mokpo Coastal Zone by MIKE21 Model (MIKE 21 모형을 이용한 목포해역 해일/범람모의)

  • Moon, Seung-Rok;Park, Seon-Jung;Kang, Ju-Whan;Yoon, Jong-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8 no.4
    • /
    • pp.348-359
    • /
    • 2006
  • The city of Mokpo suffers lowland inundation damages by sea water flooding even without harsh weather like a typhoon, due to the low level urban infrastructure facilities, oceanic environmental changes by constructions of seadike/seawall and sea level rise caused by global warming. This study performs constructing the simulation system which employs the MIKE21 software. And the system is applied to several typhoon- induced surges which had resulted in inundation at Mokpo. Virtual situation of flooding is simulated in case 59 cm of surge height, which had been occurred actually by RUSA(0215), coincides with Approx. H.H.W. Then the water level of 545 cm corresponds to the extreme high water level(544 cm) for 10 year return period after the construction of Geumho seawall. The results show rapid and broad inundation at Inner-Port, requiring additional preparations for flood protections.

Flood Inundation Analysis from Levee Failure in Nakdong River (낙동강 제방 붕괴에 따른 범람홍수 해석)

  • Jeon, Min-Woo;Han, Kun-Yeun;Choi, Kyu-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4 s.153
    • /
    • pp.259-269
    • /
    • 2005
  • One- and two-dimensional coupling model has been developed to analyze the flood inundation aspect of protected lowland. One-dimensional model solves the Saint-Venant equations by the Preissmann method, and two-dimensional model solves the shallow water equation by the integrated finite difference method. The coupling model approximates unsteady supercritical and subcritical flow, backwater flooding effects, and escaping and returning flow from two-dimensional flow model to channel system. The model has been applied to the levee failure in the Nakdong river during September 13 through 15, 2000. Velocity distributions and inundated depths were presented to demonstrate model simulation results.

Application of a Two-dimensional Flood Inundation Model based on Quadtree Grid (사면구조 격자 기법에 의한 2차원 홍수범람모형의 적용)

  • Kim, Jong-Ho;Lee, Seung-Oh;Yoon, Kwang-Seok;Cho, Yo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3
    • /
    • pp.129-136
    • /
    • 2008
  • All measures to cope with flooding rely on flood predictions to some extent. To investigate these predictions such as maximum water level or inundation area, a numerical model has been developed. The governing equations of the model are the two-dimensional Saint-Venant equations. The governing equations are discretized explicitly by using the leap-frog scheme and upwind scheme based on quadtree grids. The predicted numerical results have been verified by comparing to those of a Thacker problem. As a result of verifications, the present model is not only nearly four times as efficient as uniform grids but also in close agreement with the previous models. Next, the developed model is applied to several flood events in the Uiryeong basin. A general tendency is found that as a frequency is increasing, overall water levels including peak water level are increasing. At only a 500 year frequency, maximum water level is higher than 18.5 m. Therefore, it can be predictable that inundation will be generated in a 500 year frequency.

The Application for Levee failure Analysis by Numerical Model (제방 붕괴 모의를 위한 수치해석모형의 적용)

  • Park, Jae-Hong;Chun, Myung-Ho;Han, Ke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39-1643
    • /
    • 2008
  • 국내에서의 범람홍수 및 범람으로 인한 제방붕괴 특성은 그 해석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주로 과거 범람상황 및 지형도를 통한 경험적 추정 등에 의존해 오고 있는 실정으로 정교한 물리학적 이론에 근거하지 못하였으므로 범람홍수량, 제방의 붕괴폭 등을 정확하게 예측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았다. 도시하천과 같이 제방 인접한 곳에 주거, 산업시설 등이 밀집하고 있는 지역에서의 제방붕괴로 인한 홍수류의 범람은 막대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발생시키는 큰 재해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홍수시 제방월류로 인한 제방붕괴 양상을 예측하고 이를 통해 범람유량의 정확한 예측을 통하여 도시하천 제방 계획시 홍수피해와 투자액을 감안한 경제적인 하천 제방단면 결정을 위한 기본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도시 중요시설물의 입지 선정시 홍수피해에 대한 판단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을 이용하여 Teton 댐, Mantaro landslide 댐, Spirit Lake 장애물 댐 등에 적용하여 개발된 모형의 정확성을 입증하였다. 적용결과 개발된 모형은 기존의 모형과 같은 결과를 나타내어 국내 계산환경에 적용가능함을 보여 앞으로 이용가능성이 큰것을 알 수 있었다. 적용결과 파이핑의 발생위치의 영향은 대체로 파이핑의 위치가 제체의 윗부분에 위치할수록 최대 유출량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Lawn Lake 댐의 경우에는 사면의 식생의 영향으로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점착력은 경우에는 점착력이 클수록 유출량의 크기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찰각은 최대 붕괴폭의 크기 및 발생시간, 댐의 높이와 폭, 저수용량 등과 유출량이 연관있어 좀 더 많은 계산결과를 이용하여 심도있는 고찰이 요구되었다. 입자의 중간크기, 공극률, 균일성의 경우 적용된 댐들 모두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변수들이 커질수록 유출량도 증가하였다. 댐 사면 경사의 경우에는 상,하류 사면 모두 경사가 완만할수록 유출량이 감소하였다. 위의 결과를 통해 개발된 제방붕괴 해석모형은 좀 더 많은 연구와 적용을 통해 개선과 검증이 이루어진다면 국내 제방붕괴해석에 필요한 해석모형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 PDF

Establishment Methodologies for Flood Information Map (홍수정보지도 작성방법에 관한 연구)

  • Han, Kun-Yeun;Kim, Keuk-Soo;Choi, Seung-Yong;Lee, Yong-Sh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22-1326
    • /
    • 2007
  • 지구 온난화에 의한 엘리뇨, 라니냐의 발생은 한반도에 커다란 기후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변화는 연간 총 강우량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지만 강우강도가 증가하고, 태풍의 규모가 커지는 등 홍수방어의 측면에서 상당한 어려움을 야기하고 있다. 2006년 태풍 '에위니아'와 이에 뒤이은 태풍과 중국 북부지방의 기단이 장마전선을 형성하며 사상 최고의 강우강도를 기록한 집중호우는 미래의 기후조건이 극단의 사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구조적/비구조적 대책이 요구됨을 단적으로 드러내는 예이다. 이러한 집중호우들의 결과로 발생하는 제방붕괴 등으로 인한 홍수범람은 수많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500년 빈도 홍수유출에 의한 제방붕괴모의를 실시하고 강원도 원주시에 대한 침수심과 범람범위를 도출하고, 해당 침수지역의 홍수위험강도(침수심${\times}$유속)를 구하였고, FEMA에서 제시한 바 있는 Downstream Hazard Classification Guidelines(USBR, 1988)의 사람 및 가옥에 대한 위험 정도를 도출하였으며, 이 자료들을 근간으로 하여 침수심과 범람범위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던 범람지도와 지역별 홍수의 세기를 표현하는 홍수위험 정보를 GIS Tool(ArcView, ArcGIS, CAD 등)들을 이용하여 표출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홍수지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작성된 홍수위험정보 지도(침수심, 유속분포도, 홍수위험강도)는 주민의 대피 이동시나 대피지구 선정, 홍수로부터 발생하는 피해에 대한 최적화된 대응 대비, 도시개발계획 수립시 개발지역의 선정 등에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홍수정보 지도의 작성을 통해 기존 침수깊이와 범람범위의 1차적인 정보에서 수립할 수 있었던 계획이 가질 수 있었던 한계점을 좀 더 향상된 정보를 이용하여 극복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치수 방재 계획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Analysis of Flooding by Virtual Flood Scenario (가상 홍수시나리오에 의한 홍수범람 해석)

  • 윤희천;엄대용;이용욱;김정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1 no.2
    • /
    • pp.181-189
    • /
    • 2003
  • A virtual flood scenario has been constructed to investigate the overflowing process in the flooding area. The topography is constructed using the airborne LIDAR data. In addition, the frequency and scale of the flooding and the destruction condition of the flooding defensive structure are used as input to the scenarios. Through the scenario, the inundation depth with respect to time and maximum depth has been analyzed. This analysis shows the water level variation with time which show the flooding process. Moreover, a flooding map is drawn using the results from the scenario, distribution of the defensive structure, vulnerable area, and expected destruction points in the study area.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to examine the flooding process and flood disaster management. Furthermore, it could provide important basic information for the land development and the city planning of a possible flooding area.

A Study of Informationization Technique for Detecting Flood Inundation Area Using RS (RS를 이용한 홍수범람지역 탐지 정보화 기법 연구)

  • Shin, Hyung-Jin;Chae, Hyo-Sok;Hwang, Eui-Ho;Park, Jae-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1
    • /
    • pp.172-183
    • /
    • 2012
  • In 2011, floods were at the worst stage of devastation in Chao Phraya river basin of Thail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flood inundation area around Chao Phraya river basin by using Terra MODIS image because it has the ability of spatiotemporal dynamics. The MODIS indices, which included the enhanced vegetation index(EVI), land surface water index(LSWI), and the difference in the values of EVI and LSWI(DVEL), were extracted from MODIS product MOD09 8-day composite datasets with a spatial resolution of 500m from Jul. 29, 2011 to Jan. 09, 2012. We found that combined application of EVI, LSWI, and DVEL was suitable for monitoring flood inundation. For the extracted flood inundation area and water-related area. The result can be used to acquire the flood inundation data scattered and demonstrate the potential for the use of MODIS data for temporal and spatial detection of flood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