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버스 안내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4초

BIS 안정화를 위한 버스기반정보 GIS DB 품질 관리 방안 - 실시간 환승교통 종합정보 시스템을 사례로 (Quality Control Scheme of GIS-based Bus Network for Stabilization of BIS - Focusing on Real-Time Public Transportation Information)

  • 주용진;함창학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3-41
    • /
    • 2012
  • 버스정보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버스 위치를 파악하여 정류장 안내기, 인터넷, 모바일 서비스 등을 통해 대중교통 이용 승객에게 버스운행 상황을 제공하는 도착 안내 정보 시스템이다. 신뢰성 있는 버스정보시스템의 구현과 정보 유지를 위해서는 기반정보 DB의 품질 관리를 통한 교통 정보의 질적 향상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버스 기반정보 데이터의 각 절차 별 성과물의 데이터 품질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하고 품질 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의 내용으로 우선, 국토해양부 실시간 환승 교통 종합정보(TAGO : Transport Advice GOing anywhere) 시스템의 기반정보 DB를 사례로 버스 네트워크 DB를 구축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논리적, 형상적 오류를 유형화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항목별 검수 방법과 절차에 대한 기준을 정립하고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품질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버스 기반 정보의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품질확보가 가능 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스템 운영상의 오류 야기를 사전에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대중교통 정보 제공과 버스정보시스템의 신뢰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폰 GPS를 활용한 개선된 버스정보시스템 (Advanced Bus Information System Using Smart Phone GPS)

  • 박재흥;강선희;서영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47-255
    • /
    • 2014
  • 본 논문은 기존 버스정보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단점인 텍스트 기반의 시스템을 보완하고 GUI 기반의 사용자 요구형식의 콘텐츠를 전달하고 스마트폰 GPS를 활용한 버스정보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기존 버스정보시스템은 단말기를 버스에 설치하고 정류장별로 안내판을 설치하는 비용적인 문제와 설치 후 유지보수에 대한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제안 시스템은 스마트폰의 지도화면을 활용한 버스노선도 및 사용자의 위치 확인, 내 주변 가까운 버스 정류장 찾기, 지도화면 위의 버스노선도 표현, 버스도착예측시간의 정확도 증가를 위한 알고리즘 적용, 내선 순환 버스의 노선구축 기능을 제공한다, 버스도착예측시간 제공의 정확도는 기존 시스템의 약 67% 대비 약 88.71%로 21.71% 증가하였으며, 텍스트와 테이블 UI의 기존시스템을 지도를 기준으로 하는 GUI 형태로 개선하였다. 그 결과 개선된 버스정보시스템에서는 스마트폰의 GPS를 활용하여 기존 버스정보시스템을 보완하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었다.

버스 혼잡도를 이용한 BIS 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BIS System using Bus congestion)

  • 주영환;임승철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211-215
    • /
    • 2016
  • 본 논문은 기존의 버스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활용한다. 버스를 이용하는 승객에게 제공되는 버스노선과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는 버스의 남은 시간등과 같은 버스정보시스템의 한계를 개선하고자한다. 버스의 탑승인원을 IoT(사물인터넷) 센서네트워크 시스템을 적용하여 버스 이용 고객에게 해당 버스의 혼잡도 정보를 제공한다. 대중교통을 이용 하는 승객에게 버스혼잡도등을 스마트폰의 앱을 통하여 제공하여 기존 버스에서 승객 몰림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을 예방하고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된 버스정보안내시스템을 제안한다. IoT 센서네트워크를 사용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개발하여 본 제안방법을 검증하였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버스 승·하차 시스템 (Boarding and Alighting System of Public Bu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 강석원;박형근;이지수;홍의성;공기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51-58
    • /
    • 2022
  • 본 논문은 시각장애인의 대중교통, 특히 버스 이용을 보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시각장애인의 대다수는 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데, 기존의 안내시스템과 점자 블록은 큰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2017, 장애인실태조사). 본 논문에서는 시각장애인의 버스 접근성과 이동성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능을 갖춘 시스템을 개발한다: (1)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승차 예약 기능, (2)버스 도착 알림 기능, (3)Beacon을 이용한 무선 하차 벨 기능. 데모환경을 구축한 후 진행한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버스 예약, 탑승, 하차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메타버스 개념 및 현황에 대한 논의와 향후 연구 방향 제안 (Thesis of the Metaverse Concept and Proposing Research Direction)

  • 류성한;윤혜정;박재현;장영훈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2호
    • /
    • pp.1-13
    • /
    • 2022
  • 메타버스라는 사이버 초현실 세상이 다가오고 있다. 팬데믹으로 인해 원격근무와 원격학습 또는 사회적 격리를 경험한 이들에게는 행동의 제약과 한계를 뛰어넘어 상상의 세상으로 안내하며, 새로운 사회적 관계를 만들어 가도록 도와주는 메타버스는 사이버 세계의 오아시스와 같은 세상이다. 다양한 플랫폼들을 중심으로 메타버스 생태계가 진화하고 있는 가운데 실무 및 학계에서 다양한 논의가 오가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갈 다양한 학술적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평에서는 현재 논의 중인 메타버스의 개념과 현황에 대해서 정리하고 메타버스가 성장하고, 사회에 의미있는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 연구 주제와 분야별 세부 연구 방향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학계에서 다양한 관점의 메타버스 연구가 시의적절하게 수행되고 관련 연구들을 통해 건강하고 바람직한 메타버스 생태계가 조성되고 진화해 가기를 바란다.

교통정보 안내전화 통합연계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ystematic Implementations for the Integrated ITS call center)

  • 정성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05-21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 제공하고 있는 안내전화서비스를 대표번호체계로 통합연계운영하고, 도로교통 정보외에 철도, 항공 버스 등의 대체교통수단 정보 및 관련기관과의 유기적 연계를 통한 원스톱(One stop) 서비스를 제공하는 안내전화서비스의 통합연계운영을 서비스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외 현황을 분석하고, 시범구축, 확대구축, 안정화 및 고급화의 3단계에 따라 운영기술과 통합시스템 기술사양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통정보 안내전화는 정보취득의 원스톱(One stop) 서비스, 이용 편의성 서비스, 다양한 연계정보제공 서비스, 제공정보의 실시간화 및 효율적인 체계를 구현할 것으로 기대한다.

버스도착시간 추정모형의 신뢰도 향상방안 연구 (Improve the Reliability Measures of Bus Arrival Time Estimation Model)

  • 김지수;박범진;노창균;강원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597-604
    • /
    • 2014
  • 본 연구는 현재 국내 BIS에서 버스도착시간 안내를 위해 개별노선 단위로 산정되고 있는 정류소간 통행시간 기반의 버스도착시간 추정 모형의 한계점을 제시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정류소간 운행시간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버스도착시간정보의 특성을 이용하여 버스노선번호에 관계없이 버스정류소에 도착한 동일 구간을 운행하는 모든 버스의 정보를 순서대로 이용하여 버스도착시간을 추정하는 버스도착시간 추정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모형은 실제 버스운행정보를 수집하여 RMSE를 기준으로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오차는 기존 모형 대비 최대 20%가 감소하였고 버스도착시간정보의 정확도와 직결될 수 있는 데이터 업데이트 주기는 절반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버스도착시간의 급격한 증가나 감소, 동일한 구간을 운행하는 다른 노선의 도착예정시간 차이, 운행계획과 다르게 운행시의 정보제공 불가함 등의 문제가 해결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하철 환승역 안내표지 유형별 적정 위치 개선방안 연구 -L자형 지하철역 사례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oper Location for Subway Transit Station Sign Type - Focusing on the Cases of L Type -)

  • 김황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5호
    • /
    • pp.915-926
    • /
    • 2017
  • 지하철은 수도권 및 주요 광역지자체에서 버스와 함께 대표적으로 수도권 시민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이이나 관련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안내표지에 대한 만족도는 낮고, 안내표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길찾기에 영향을 주는 안내표지를 대상으로 L자형 역사구조를 가진 시청역과 교대역의 안내표지 설치위치, 설치간격, 설치높이, 설치형식 및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추적 조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시청역 및 교대역 모두 L자형의 역사 구조로 인해 이동거리가 길어 원하는 목적지로 정확하게 이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확인을 필요로 하였으며, 두 역 모두 안내표지 설치개수(안내표지 과다 부착, 과소 부착), 안내표지 설치 위치(타 시설물에 가려 잘 안보임, 필요 없는 안내표지 설치), 안내표지 설치 높이(너무 낮거나 높게 설치), 기타(작은 안내표지 글씨 크기, 안내표지 내 너무 많은 정보량 존재) 등의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는 공간별 정보의 위계에 대한 고려 없이 모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나타난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역 내 이동(나가기, 타기, 갈아타기) 공간별/그에 따른 행위를 구분하여 L자형 역사 구조일 경우 공간별 안내표지 설치 유형을 정의하였으며, 이동경로 방향유도에 대한 구체적인 원칙을 제안하였다. 해당 연구는 향후 지하철 역 안내표지 유형 및 배치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Positive Guidance 기법을 적용한 도시철도역사 안내표지 평가방법 연구 - 수서역 환승동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valuation Method of the Urban Railway Station Sign Based on Applying the Positive Guidance Technique - Focusing on the Suseo Station Transfer Passageway -)

  • 김황배;김현주;이상화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629-636
    • /
    • 2017
  • 도시철도는 수도권 및 주요 광역지자체에서 버스와 함께 대표적으로 수도권 시민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이다. 그러나 관련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안내표지에 대한 만족도는 낮고, 안내표지 개선의 경우 대부분 안내표지의 설치위치에 대해 안내표지가 많이 또는 적게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사진 분석 위주로 제시하고 있어 정량적인 분석 기법을 통한 문제점 도출 및 개선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est-bed 역사(수서역)을 대상으로 환승 동선(분당선 ${\rightarrow}$ 3호선 방면)내 주요의사결정지점에서의 안내표지 정보부하 및 적정 설치위치를 Positive Guidance를 적용하여 평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Positive Guidance는 운전자 측면에서의 제공되어야 하는 적정 정보량과 정보 제공 위치 선정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FHWA에 의해 1973년에 처음으로 도입되었다. 해당 기법을 통한 평가 결과 해당 동선 내 주요 의사결정지점에서 동선 결정을 방해하는 요인(다수의 시인성 저하 시설물, 높은 안내표지 정보 부하량)이 많아 이용자들의 혼란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환승 동선 내 결절점 중심으로 필요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시거 방해 요인(높은 조도의 광고 표지, 원형기둥, 높은 천장 등)을 제거하기 위한 안내표지 설치 방안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향후 안내표지 디자인 개선시 유니버설 디자인을 적용하여 모든 이용자들이 도시철도역사 이용시 불편함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며, 해당 연구는 향후 도시철도역사 안내표지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정량적인 방법으로 안내표지 유형 및 배치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