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oper Location for Subway Transit Station Sign Type - Focusing on the Cases of L Type -

지하철 환승역 안내표지 유형별 적정 위치 개선방안 연구 -L자형 지하철역 사례 중심으로-

  • 김황배 (남서울대학교 GIS공학과, 첨단교통환경연구소)
  • Received : 2017.08.09
  • Accepted : 2017.09.11
  • Published : 2017.10.01

Abstract

The subway is the transportation means most commonly used by the citizens of the metropolitan area along with the bus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major metropolitan municipalities. However, satisfaction with the signboards is low and the signboards need to be improv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blem of guide signs of city hall and exchange area with L - shaped history structure for guide signs affecting route finding.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confirm whether the moving distance is long and moving accurately to the desired destination due to the L - shaped historical structure in both the station and the alternate area. In both stations, the number of the guide signs, Problems such as installation position, height, other. In this study, the movement within the subway stat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pace. The type of guide sign installation was defined, and the specific principles for guiding the movement route were propose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ful as an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types and layout of subway stations.

지하철은 수도권 및 주요 광역지자체에서 버스와 함께 대표적으로 수도권 시민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이이나 관련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안내표지에 대한 만족도는 낮고, 안내표지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길찾기에 영향을 주는 안내표지를 대상으로 L자형 역사구조를 가진 시청역과 교대역의 안내표지 설치위치, 설치간격, 설치높이, 설치형식 및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추적 조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시청역 및 교대역 모두 L자형의 역사 구조로 인해 이동거리가 길어 원하는 목적지로 정확하게 이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확인을 필요로 하였으며, 두 역 모두 안내표지 설치개수(안내표지 과다 부착, 과소 부착), 안내표지 설치 위치(타 시설물에 가려 잘 안보임, 필요 없는 안내표지 설치), 안내표지 설치 높이(너무 낮거나 높게 설치), 기타(작은 안내표지 글씨 크기, 안내표지 내 너무 많은 정보량 존재) 등의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는 공간별 정보의 위계에 대한 고려 없이 모든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나타난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역 내 이동(나가기, 타기, 갈아타기) 공간별/그에 따른 행위를 구분하여 L자형 역사 구조일 경우 공간별 안내표지 설치 유형을 정의하였으며, 이동경로 방향유도에 대한 구체적인 원칙을 제안하였다. 해당 연구는 향후 지하철 역 안내표지 유형 및 배치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Seoul Design Foundation (2014).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research system and system for innovation of Seoul subway information system. Seoul Design Foundation (in Korean).
  2. Eun, D. S. (200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oul Subway Information Design System", The Korean Society, Vol. 14, No. 4 pp. 341-355.
  3. Kwon, J. Y. (2014). Visibility improvement of subway sign based on passenger satisfaction survey, Maste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n).
  4.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3). Design and layout standard for complex transfer center.
  5.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Design Guidelines for Urban Railway Station and Transit Facility.
  6. Network Rail (2011) Managed Stations Wayfinding.
  7.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2). Subway environment improvement total design and basic plan.
  8.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11). Legible Seoul Way-Finding System Strategy. Seoul Development Institute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