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버스 설계

검색결과 568건 처리시간 0.039초

위치 인식 기반 버스 안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cation-Aware Smart Bus Guide System)

  • 최주연;정자현;박성미;창병모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25-13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상황 인식 기반의 개인 맞춤형 안내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위치 인식 기반의 서울시 버스 안내 시스템을 PDA와 GPS를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 버스 정류장 및 선택한 버스 정류장의 노선 정보 등을 안내한다.

  • PDF

제주 버스 환승지점 추천 서비스 설계 (Design of a recommendation service for transfer locations in Jeju bus system.)

  • 변세정;김지환;강민주;이정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26-527
    • /
    • 2020
  • 본 연구는 대중교통 활용도를 높이고자 효율적인 버스 환승지 추천 서비스를 설계한다. 제주데이터 허브에서 입수한 승하차데이터를 처리하여 승객수와 버스의 정류장 도착시간 등을 예측함은 물론 인터넷 연결을 통해 버스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현재의 교통상황을 실시간으로 입수하여 효율적인 환승지를 추천한다. 승객은 변동되는 교통상황에 따라 이동중에도 더 좋은 환승 노선으로 변경할 수 있으며 데이터센터 관점에서는 축적되고 있는 버스 데이터의 활용도도 높일 수 있다.

초등예비교사의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메타버스 활용가능성 제안 (Proposal for Possibility of Using Metaverse in the 'Earth and Space' Area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 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48-256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에게 메타버스에 대한 교육적 접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 연구이다. '초등과학교재연구 II'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초등예비교사 71명을 대상으로 메타버스에 대한 설문을 하였다. 설문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의 LMS 시스템을 활용하여 설문을 제시하여 그에 반응한 내용을 바탕으로 정량적 수치 해석과 정성적 분석으로 결과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초등예비교사의 메타버스에 대한 이해 정도는 매우 높은 수준이다. 초등예비교사들은 MZ세대로서 이미 메타버스의 기본이 될 수 있는 매우 빠른 IT환경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메타버스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둘째, 초등예비교사의 메타버스에 대한 필요성은 매우 높은 수준이다. 메타버스는 현재의 교육환경을 넘어서 보다 양질의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요소가 많기 때문에 매우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초등예비교사의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적용 가능성 탐색의 질문에서는 아직까지 교수설계 원리에 근거하여 메타버스 교수설계를 기획한 사례는 보기 드물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와 우주'영역에서 메타버스 활용가능성을 제안하며 시공간을 초월할 수 있는 가상공간을 활용한 교육컨텐츠는 매우 필요할 것이라 여겨진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설계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기법을 도입한 교육컨텐츠가 개발되어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환경에서 메타버스가 구현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원(초등예비교사 포함)들에게 메타버스에 대한 연찬을 할 수 있도록 연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비조절형 버스시스템 적용을 위한 새로운 전력조절기 전원단 설계 및 해석

  • 박성우;장진백;박희성;장성수;이종인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4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3권1호
    • /
    • pp.85-85
    • /
    • 2004
  • 다목적 실용위성(KOMPSAT) 시리즈는 전력버스가 위성의 배터리와 직접 연결되어 있어 버스전압이 배터리와 동일하며, 전력조절기(Power Regulator)의 스위칭 듀티 값이 위성 탑재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되는 소프트웨어 제어방식의 비조절형 버스 시스템 (Unregulated Bus System)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소프트웨어 제어방식 비조절형 버스시스템을 채택하는 위성의 전력조절기 모듈화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전원단 회로를 제안하며 제안된 전원단의 모드별 동작 특성을 해석하고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 검토한다. (중략)

  • PDF

저전력과 크로스톡 지연 제거를 위한 버스 인코딩 (Bus Encoding for Low Power and Crosstalk Delay Elimination)

  • 여준기;김태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9권12호
    • /
    • pp.680-686
    • /
    • 2002
  • 딥 서브 마이크론 (DSM: deep-submicron) 설계에서는 버스에서 선들 간의 커플링 효과는 크로스톡 지연, 노이즈, 전력 소모와 같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킨다. 버스 인코딩에 대한 대부분의 이전 연구들은 버스에서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거나 크로스톡 지연을 최소화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모두를 고려한 방법은 보이지 않는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버스에서의 전력 소모 최소화와 크로스톡 지연 방지를 동시에 고려한 새로운 버스 인코딩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우리는 이 문제를 공식화하여, 자체 천이와 상호 천이의 가중 합 문제를 풂으로써 해결하였다. 여러 벤치마크 설계를 이용한 실험으로부터 제안한 인코딩 방법을 이용할 경우, 크로스톡 지연을 완전히 제거할 뿐 아니라 이전의 방법들을 사용한 것 보다 최소 15% 이상 적은 전력을 소모하였음을 보았다.

버스 노선망 설계를 위한 평가모형 개발 (Develpment of Analysis and Evaluation Model for a bus Transit Route Network Design)

  • 한종학;이승재;김종형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1-172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버스 노선망 설계 과정에서 다양한 평가지표의 정략적 산출이 가능하고 관련 주체들의 입장과 시각을 반영할 수 있는 버스 노선체계 평가모형(BTRAEM: Bus Transit Route Analysis & Evaluation Model)을 개발하였다. 우리나라 대도시 버스 노선망의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고 노선체계를 새롭게 정비하는데 있어 가장 큰 문제점은 평가지표를 정량화 할 수 있는 자료기반의 미흡과 노선망 분석체계 알고리즘의 한계로 계획가의 직관이나 경험에 의존하거나 교통수요분석 프로그램(EMME/2)에 기반하여 평가지표를 산출하여 노선망을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이 연구에서는 평가모형의 정립을 위해서 국외의 버스 노선망 평가모형의 개발추이를 검토하고, 평가모형에 적용할 번스 노선망 설계 문제의 목적함수와 제약조선을 정의하였다. 또한 평가모형의 구동을 위해서 요구되는 입${\cdot}$출력자료구조와 정량화된 평가지표자료를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버스 이용자들의 대중교통 노선 선택 및 통행배분모형을 평가모형내에 반영하였다. Visual-C++로 구현된 버스 노선망 평가모형을 Mandl's Transit Network에 적용한 결과, 노선망 구조의 성능을 특징짓는 변수들에 대한 의미있는 결과값이 도출되었다. 향후 이 연구에서 개발된 버스 노선망 평가모형은 다양한 버스 노선망 대안에 대해서 관련 이해당사자들의 입장과 시각을 균형 있게 반영할 수 있고 다양한 목표를 조화시킬 수 있는 평가가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ZigBee 통신을 이용한 버스 정보 체계의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about the BIS(Bus Information System) using ZigBee Communication)

  • 고윤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57-162
    • /
    • 2012
  • 최근, 버스 수송 분담률을 개선하기 위한 일환으로 승객에게 실시간으로 버스 운행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버스 정보 시스템(BIS : Bus Information System)에 관심이 집중됨으로서 버스 정보 체계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크게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추세에 대응하여 기존의 버스 정보 체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실제적인 버스정보체계에 근접하도록 확장된 지그비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실험적 버스정보체계와 데이터 처리절차를 설계한다.

네이버 길 찾기 API를 활용한 통학버스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School Bus Application using Naver Directions API)

  • 송기선;안원영;하옥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473-474
    • /
    • 2021
  • 일반적으로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통학버스 애플리케이션은 버스의 위치나 도착시각 같은 정보를 제공해주기 위해서 GPS 수신기와 같은 추가 장비를 설치해야 하는 비용 문제로 인해 버스 시간표, 노선도 등 단편적인 정보만을 제공해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실시간 도로 교통 정보가 반영된 네이버 길 찾기 API를 사용하여 버스 도착시각을 학생들에게 제공해주는 통학버스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한다. 현재 단편적인 정보만을 제공해주는 대학교 통학버스 애플리케이션에 도입된다면 대학교 학생들의 통학버스 이용의 질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가상버스 네트워크를 위한 MPI/VBus (MPI/Vbus for Virtual Bus Network)

  • 최현진;김봉완;박규호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3)
    • /
    • pp.883-885
    • /
    • 2001
  • Wave Pipelining(WP) 기법을 적용한 가상버스(Virtual Bus) 네트워크 구조는 병렬 컴퓨팅에서 중요한 메시지의 긴급성을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우리는 효율적인 통신을 지원하는 가상버스에 적합하도록 MPI를 설계, 구현(MPI/VBus)하였다. 또한, MPI/Vbus와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메시지 큐들을 커털 영역에서 공유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사용자 레벨 통신(User Level Communication)을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했다.

  • PDF

Pended Protocol 방식의 버스를 가진 다중프로세서 시스팀의 성능 한계 분석

  • 최창렬;오세웅;박진원
    • ETRI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137-147
    • /
    • 1992
  • 다중프로세서 컴퓨터시스팀의 성능은 시스팀 구성 요소인 하드웨어,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의 특성에 매우 복잡하게 관련되어 있다. 시스팀 설계 단계에서 시스팀 구성요소에 대한 최적 형상을 결정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설계대안에 대한 성능 한계를 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방법의 하나로 4-point bound 방법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은 pended protocol 로 동작하는 시스팀 버스 기반의 다중프로세서 시스팀의 성능 한계를 4-point bound 방법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pended protocol의 동작 특성을 반영하는 작업부하를 정의하고, 캐시 적중률, 버스 동작 특성의 변화에 따른 다중프로세서 시스팀의 성능 한계를 예측 분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