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버스운영

검색결과 303건 처리시간 0.029초

이용자 만족도를 반영한 최적 버스 배차 간격 설정 모형의 개발 (Improvement of Optimal Bus Scheduling Model Reflecting Bus Passenger's Degree of Satisfaction)

  • 배상훈;김탁영;류병용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2-23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버스 배차 간격 설정 시스템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용자의 만족도와 버스 회사의 운영 효율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도록 이용자 만족도를 반영한 최적의 버스 배차 간격 설정 모형의 개발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버스 운영비용, 승객 대기시간 비용 및 승객 통행시간 비용의 합으로 총 교통비용을 최소화하는 기존 모형에 이용자 만족도를 반영하여 최적 버스 배차 간격 설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최적 배차 간격 설정을 위해 선형계획법을 사용하였고, 이를 위해 선형계획법을 기반한 LINGO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또한 부산의 일반 사례를 총 교통비용을 최소화하는 기존의 모형 및 현행 버스 배차간격 설정 시스템과 개발한 모형에 각각 적용하여 총 교통비용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 PDF

전력운영시스템 데이터 교환을 위한 메시지 버스 (A Message Bus for Data Exchange of Power Operation Systems)

  • 오도은;정남준;송재주;양일권;김현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55-1057
    • /
    • 2009
  • 전력시스템은 발전에서 수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설비 및 기기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모든 과정이 실시간으로 운영되고 있는 매우 큰 규모의 시스템이다. 전력시스템에 IT 기술이 접목되면서 다양한 구성요소 간에 수많은 정보교환이 요구되는 시점에서 각 운영시스템별 독립적인 필요에 의해 상이한 플랫폼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시스템 상호간 연계와 원활한 데이터 교환 및 유통을 통한 전체 전력시스템의 최적화를 이루는 데까지는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다양한 운영시스템 상호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표준화 요구에 부응하여, 향후 전력시스템은 표준화되고 공개된 정보모델을 활용한 전사적 통합시스템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운영시스템 데이터 교환을 위한 메시지 버스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서로 다른 운영환경에서의 단위 운영시스템들을 동일한 플랫폼으로 재구성, 재개발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에서 전력시스템 내 유통정보를 총체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필요로 하는 운영시스템에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의 구축은 미래의 전력시스템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정지궤도복합위성의 IMGL 통신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MGL Communication Software on GEOKOMPSAT-2)

  • 강수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45-347
    • /
    • 2015
  • 인공위성은 다양한 센서장치, 구동장치, 전자장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성을 제어하는 컴퓨터 장치는 이들 장치들과 다양한 종류의 통신 버스로 연결되어있다. 정의된 프로토콜에 따라 명령을 전송하고 장치들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위성을 운영한다. 위성에서 많이 사용되는 대부분의 상용 센서나 구동장치들은 표준화된 버스 (ex, 1553B, CAN, UART, etc ...)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그러나 위성의 임무나 설계에 맞게 특수하게 제작된 장치의 경우는 범용의 버스보다는 용도에 적합한 프로토콜이 설계되고 제작된다. 본 논문에서는 2018년 발사 예정인 정지궤도복합위성 컴퓨터 장치 (GMU) 내의 프로세스 모듈과 시스템의 이상상태를 감지하여 GMU의 운용 모드 및 형상의 변경을 담당하는 MRE 모듈사이의 통신을 담당하는 IMGL 설계를 소개하고 IMGL 운영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내용을 기술한다.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

  • 유승철
    • 방송과미디어
    • /
    • 제27권4호
    • /
    • pp.79-90
    • /
    • 2022
  • '스마트 기술(smart tech)'과 '도시화(urbanization)'라는 두 메가트렌드(megatrends)를 융합해 탄생한 스마트시티(smart city)가 전 세계적인 화두다. 스마트시티의 성장 가운데서 핵심적인 요소가 바로 '도시의 다양한 요소가 미디어(媒體, media)의 기능을 하는 커뮤니케이션이 중심이 된 도시'라는 점이다. 특히 메타버스 기술이 스마트시티에 접목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초월'이라는 의미의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인 메타버스(Metaverse)는 1992년 닐 스티븐슨(Neal Stephenson)의 소설 《스노우 크래쉬》에서 유래한 개념이라고 알려져 있다[1]. 메타버스는 정의하는 연구자에 따라서 크게 다르지만 흔히 '가상의 것(virtual thing)'으로 한정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메타버스가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적 측면에서 오프라인의 현실과 온라인의 비현실 모두 공존할 수 있는 생활형·게임형 가상 융합 세계라는 의미로 보다 광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스마트시티의 변화를 보면 도시 운영이 고도로 지능화되고 다양한 콘텐츠가 증강되면서 <<도시 공간에서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 구분>>을 파괴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과거와 다름없이 물리적 도시 공간을 걷고 있지만 이제는 지형지물과 연결된 공간정보를 스마트폰으로 확인하고 또 도심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통해 실시간 공공 및 상업 정보에 항시적으로 접하고 있다. 도시의 지향점으로 간주되는 스마트시티는 이제 일종의 '도시민 생활 플랫폼'으로 메타버스 기술과 융합 콘텐츠를 통해 도시민의 생활을 촘촘하게 연결한다. 본고에서는 '스마트시티가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 기능하는 현상'을 '테코레이션(Tecoration: Technology + Decoration: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통한 도시 공간구축)'이라고 명명하려고 한다. 본고는 '메타버스 미디어 공간으로서 스마트시티 그리고 디지털 사이니지 테코레이션'을 주제로 '디지털 사이니지가 만들어 가는 스마트시티의 소통'과 관련된 주요 이슈를 다루려고 한다.

Pended Protocol 방식의 버스를 가진 다중프로세서 시스팀의 성능 한계 분석

  • 최창렬;오세웅;박진원
    • ETRI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137-147
    • /
    • 1992
  • 다중프로세서 컴퓨터시스팀의 성능은 시스팀 구성 요소인 하드웨어, 운영체제, 응용 프로그램의 특성에 매우 복잡하게 관련되어 있다. 시스팀 설계 단계에서 시스팀 구성요소에 대한 최적 형상을 결정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설계대안에 대한 성능 한계를 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방법의 하나로 4-point bound 방법이 제시되었다. 본 논문은 pended protocol 로 동작하는 시스팀 버스 기반의 다중프로세서 시스팀의 성능 한계를 4-point bound 방법으로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pended protocol의 동작 특성을 반영하는 작업부하를 정의하고, 캐시 적중률, 버스 동작 특성의 변화에 따른 다중프로세서 시스팀의 성능 한계를 예측 분석 한다.

  • PDF

전기버스를 위한 배터리 자동 교환-충전인프라 배치 최적화 모형개발 및 적용 사례 분석 (A case study on optimal location modeling of battery swapping & charging facility for the electric bus system)

  • 김승지;김원규;김병종;임현섭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21-135
    • /
    • 2013
  •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문제가 심각한 위기로 인식되어지면서 세계 각국에서는 전 산업분야에 걸쳐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국내 에너지 부문 CO2 배출량의 약 20%를 차지하는 수송 분야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전기자동차 보급 확산이 필수적이다. 최근 정부에서 전기자동차 보급 활성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긴 충전시간과 배터리의 가격에 의한 비싼 차량가격, 짧고 불규칙한 운행거리와 부족한 충전 인프라 등으로 인하여 향후 전기자동차의 보급 확대는 매우 불투명한 상태이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 효과적으로 전기자동차를 보급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배터리 공용제 기반의 배터리 자동교환형 전기자동차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서는 배터리를 자동으로 교환해주는 시설인 배터리 교환소 (BSS: Battery Swapping Stations)가 필요하게 되는데, BSS는 배터리 교환을 통해 전기자동차가 긴 충전시간을 소모할 필요 없이 짧은 시간 내에 배터리를 충전하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을 대중교통, 특히 공공버스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 안에 전기자동차를 보급, 확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버스를 전기버스로 전환하여 버스 노선을 운영할 경우 전기버스가 중간에 멈추지 않도록 적절한 위치에 충전시설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전기버스에 대한 충전시설은 버스 노선의 기 종점 및 기존 버스정류장에 추가로 설치하여 버스가 승객의 승 하차를 위해 정차할 때 신속하게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게 구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버스를 위한 배터리 자동교환충전시설의 위치선정 문제를 Set Covering Problem에 적용하여 해결하였다. 배터리 충전 시 최대 주행거리를 영향권으로 설정하였으며 메타 휴리스틱 기법인 그리디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배터리 교환형 충전인프라 배치 최적화 모델을 개발하였고 현재 운영 중인 서울시의 버스노선을 대상으로 실제 충전시설의 위치를 선정하였다.

버스의 서비스평가 구조모형에 관한 연구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Bus Service Evaluation)

  • 김갑수;도군섭;권대우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35-14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2개의 사례지구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서비스평가 구조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가설로서 요인분석과 신뢰성 분석 등을 통해 구성된 '질적서비스에 대한 인식', '이동성에 대한 인식 '환승에 대한 인식', '경제성에 대한 인식'이란 인지서비스(Perceived service)를 나타내는 4개의 잠재변수는 '개인속성'과 '교통특성'이란 잠재변수의 영향을 받으며, 상호 구조적인 관계를 가지고 전반적인 만족도로 대표되는 '서비스평가'에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다. 모형추정결과, 기초적합지수(GFI)가 상인·월성 0.864, 지산·범물 0.807로 나타났고, 조정 적합지수 (AGFI)는 상인·월성 0.823. 지산·범물 0.759로 나타나 적합성은 대체로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두 지역 모두에 있어서 잠재변수 간이나 잠재변수와 관측변수간의 인과계수의 유의성도 2, 3개의 인과계수를 제외하면 모두 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모형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상인·월성의 경우, 운전기사에 대한 인식치가 '서비스평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크며, 요금수준과 더불어 직접적으로 '서비스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타 편리성, 쾌적성, 시설 및 운영성이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지산·범물의 경우, 쾌적성, 시설 및 운영성, 편리성이 '서비스평가'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질적서비스에 대한 인식'은 버스의 현행 요금수준과 대기시간에, 그리고 유의성이 높다고 할 수 없지만 이용자의 연령과 버스이용빈도에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회손실비용을 고려한 버스 운행시격과 링크 통행시간 예측 알고리즘 (An Opportunity Cost Based Headway Algorithm in Bus Operation)

  • 이영호;조현성;김영진;안계형;배상훈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3-54
    • /
    • 2000
  • 이 연구는 버스정보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운행시격 결정과 통행시간 예측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을 다룬다. 운행시격 결정 문제는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 수단을 운영하는데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이다. 기존 연구는 버스 운행비용과 승객비용의 합을 최소로 하는 운행시 격을 찾는데 초점을 두고 이다. 이때 승객비용이란 승객 대기비용과 승객 교통비용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우리나라와 같이 버스회사 수입이 전액 운행수입에만 의존하는 경우엔 이러한 접근 방식이 타당하지 않다. 기존의 방식과 다르게 승객비용으로 승객 이탈비용을 사용하여 버스의 최적 운행시 격을 구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먼저 정류장이 하나인 경우에 대해 해석적 방법으로 풀고, 정류장이 여러 개인 경우에 대해서는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한다. 또한 이 연구는 신뢰성이 높고 정확한 통행시간 예측정보를 산출하기 위해 2 단계 예측 기법과 전문가시스템을 이용하는 자료융합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려면 교통정보 수집원을 통해 얻는 자료가 정확해야 하고, 또한 교통상황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통행시간을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AVL(Automatic Vehicle Location)시스템을 이용한 버스정보시스템에서 실시간 데이터와 과거 데이터를 융합하여 통행시간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AVL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는 경제성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버스의 운행관리와 정확한 도착예정시간을 예측하기 위해 AVL시스템을 통해 얻은 데이터의 패턴을 분석하고 유고상황을 감지한다.

  • PDF

중앙버스전용차로상에서 결정적 지체모형을 이용한 능동형 버스우선신호의 최적 신호시간 산출방안 (Optimal Signal Times for Active Bus Signal Priority on Median Bus Lane Using Deterministic Delay Model)

  • 김태운;정영제;김영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5-25
    • /
    • 2014
  • 버스우선신호는 도로상에서 버스에 물리적, 운영적 통행우선권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신호 교차로에서 버스의 정시성 및 신속성, 서비스 개선을 통해 승객의 수송 효율과 도로 교통의 수송 용량을 높일 수 있는 대중교통 우선정책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결정적 지체모형의 하나인 HCM모형을 이용하여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존재하는 독립교차로에서 능동형 버스우선신호 제공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능동형 버스우선신호의 기법 중 Early green과 Green extension 기법을 이용하여 버스가 이용하지 않는 비우선현시의 여유녹색시간을 버스가 이용하는 우선현시에 재분배하는 버스우선신호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방법론을 통하여 비우선현시의 여유녹색시간을 우선현시에 재분배 하였을 때 차량당 지체 및 사람당 지체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고 여유녹색시간의 민감도 분석을 통해 여유녹색시간이 정확한 값인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교차로 전체의 차량당 지체는 다소 증가하고 사람당 지체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민감도 분석결과 여유녹색시간의 변화가 30%미만일 경우 지체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30%이상일 경우 버스우선신호의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메타버스에서 서번트 리더십이 구성원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member attitudes in the metaverse)

  • 이승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703-704
    • /
    • 2022
  • 코로나 시대를 거쳐 뉴노멀로 향하는 이 시점에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다양한 조직의 운영이 기대된다. 조직에서의 리더는 구성원들을 이끌며 조직의 목표에 도달을 수 있도록 리더십을 발휘한다. 이런 리더십은 예전부터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져서 전통적 리더십에서 변혁적 리더십, 카리스마 리더십, 슈퍼 리더십 등을 거쳐 최근에는 서번트 리더십이 각광을 받고 있다. 현실에서의 조직을 이끄는 리더십과 가상의 공간의 메타버스상에서의 리더십은 분명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는 리더의 서번트 리더십의 지각수준과, 서번트 리더십의 구성요소가 현실과 메타버스 플랫폼을 사용하는 조직을 대조하여 구성원의 직무태도 및 조직몰입의 영향에 대하여 질문을 던지고 새로운 리더십의 방향을 찾는 연구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