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버그균형척도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초

이중과제 훈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ual-task Training on Chronic Stroke Patients' Balanc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 박주형;김덕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11-718
    • /
    • 2016
  • 본 연구는 이중과제 훈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 능력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경상북도 A병원에 내원한 뇌졸중 1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과제 훈련은 전 후 평가를 제외한 총 4주 동안 주 5회 30분씩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버그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TS FreeEMG 300(BTS FreeEMG 300, BTS, Italy)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이중과제 훈련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 만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BBS 점수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고(p<.05), CCR값에서도 어깨 및 팔꿈치 관절 동작 모두에서 음의 값이 나타나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이중과제 훈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 능력 및 상지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에 미치는 융복합적 효과: 메타분석 (Convergenc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Dynamic Balance in Chronic Stroke : A Meta-Analysis)

  • 박세주;이소인;정호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275-284
    • /
    • 2021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을 시행한 연구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선정기준을 연구대상 (뇌졸중 환자), 중재 방법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비교집단 (중재 또는 비 중재방법), 연구 결과 (동적 균형) 및 연구 설계 (무작위 배정 임상실험) 유형에 맞춰 정리하였다. 총 7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문헌을 검색하여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적합한 문헌 17편을 선정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 R 4.0.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개별연구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의 질 평가는 코크란 그룹이 개발한 무작위배정 임상실험 연구를 평가하는 척도를 사용하였다.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의 동적 균형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는 0.59 (95% 신뢰구간 : 0.41-0.77)로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동적 균형에 대한 하위항목들을 분석하였고, 버그 균형척도 (0.50), 일어나 걷기 검사 (0.78), 기능적 뻗기 검사 (0.51)의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이처럼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한다.

만성 뇌졸중 환자의 낙상 예측을 위한 버그균형 척도와 플러턴 어드밴스드 균형 척도의 비교 (Comparison of the Berg Balance and Fullerton Advanced Balance Scale for Predicting Falls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김인섭;남택길;김경모;김준섭;김소정;강정하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9-46
    • /
    • 2018
  • Background: The Berg Balance Scale (BBS) and the Fullerton Advanced Balance (FAB) scale have been used to assess balance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These clinical balance scales provide information about potential risk factors for falls.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and risk factors of falls and compare the predictive values of the BBS and FAB scale relative to fall risk in patients with stroke through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Methods: Sixty-three patients with stroke (faller=34, non-faller=29) who could walk independently for 10 met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BBS and FAB scale were administered. Then, we verified the cut-off scor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the area of under the curve. Results: In this study, the BBS and FAB scale did not predict fall risk in patients with stroke in the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A cut-off score of 37.5 points provided sensitivity of .47 and specificity of .35 on the BBS, and a cut-off score of 20.5 points provided sensitivity of .44 and specificity of .45 on the FAB scale. Conclusion: The BBS and FAB scale were not useful screening tools for predicting fall risk in patients with stroke in this study, but those who scored 37.5 or lower on the BBS and 20.5 or lower on the FAB scale had a high risk for falls.

뇌졸중 환자에 대한 기능적 보행평가, 버그 균형척도,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의 동시 타당도 (Concurrent Validity of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Berg Balance Scale, and Timed Up and Go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 원종임;김기송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3-51
    • /
    • 2011
  • Balance is a complex motor skill that depends on interactions between multiple sensorimotor processes and environmental and functional contexts. Many rehabilitation specialists believe that balance assessment under multitask conditions may be a more sensitive indicator of balance problems and falls than balance assessment in a single-task context. Functional Gait Assessment has many tasks that allow for testing under multitask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ncurrent validity between the Functional Gait Assessment (FGA), Berg Balance Scale (BBS), and Timed "Up & Go" Test (TUG) in patients with stroke. One hundred and five participants with at least 3 months post stroke and able to walk at least 6 m with or without a mono cane, participated in this study. Concurrent validity between the FGA, BBS, and TUG was assessed using Spearman rank order correlation. The FGA correlated with the BBS (r=.80, p<.01) and TUG (r=-.77, p<.01). The good and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the FGA, BBS, and TUG establishes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FGA in patients with stroke. These measures provide clinicians with valuable information about patients' functional balance capabilities.

버그 균형 척도 평가 빈도수가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 및 보행 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erg Balance Scale Evaluating Frequency for Dynamic Balance and Walking Speed of Patients With Stroke)

  • 최현석;김현진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15
    • /
    • 2012
  •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Berg Balance Scale(BBS) evaluating frequency on the walking speed and dynamic balance control in patient with stroke. Method : sixteen patient with stroke were randomly allocated to a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of eight patients each. For the experimental group, we performed both general physical therapy and BBS and general physical therapy only for the control group. The general physical therapy programs for the 2 group were conducted for 1 hour 1 a day, 5 times a week for 4 weeks, and BB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for 1 time a week. Result : A comparison of the Berg Balance Scale(BBS). Timed Up Go test(TUG) and 10 meter Walking Test(10mWT) score obtained before and after the 4-week treatment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t(p<.05) for the experimental group. BBS evaluated weekly and the first day and the last day evaluated in both groups after 4 weeks of BBS assessment improved significantly were (p<.05) especially in the assessment group on a weekly basis more improvement was. BBS weekly assessment group and the first day and on the last day, a group evaluation after 4 weeks in both the change of the TUG, 10mWT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valuation group(p<.05). Conclusion : 1 time a week of the BBS assessment of with stroke patients BBS, TUG, 10mWT that can help to improve. especially on a weekly basis, more has been improved.

  • PDF

단기 집단 복합중재가 정상 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Short-term Multimodal Group Interven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 정범진;최유진
    • 재활치료과학
    • /
    • 제8권3호
    • /
    • pp.57-68
    • /
    • 2019
  • 목적: 신체활동과 인지운동, 사회적 상호작용을 혼합한 단기 집단 복합중재가 75세 이상의 고령 정상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 설계는 단일 집단 사전-사후 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로 중재는 회당 70분, 주 1회, 총 4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후의 인지기능과 우울 수준, 신체기능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서 치매 선별용 간이 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Dementia Screening; MMSE-DS)와 단축형 노인우울척도(Short Form for Geriatric Depression Scale; SGDS),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를 사용하였다. 결과: 75세 이상의 고령 정상노인에게 집단 복합중재를 적용한 후 인지기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고(p<.01), 우울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감소가 있었다(p<.05). 균형수준도 중재 전$46.83{\pm}9.11$점에서 중재 후 $48.08{\pm}7.00$점으로 평가점수의 증가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p>.05). 결론: 신체활동과 인지운동, 사회적 상호작용을 혼합한 단기 집단 복합중재는 75세 이상의 고령 정상노인의 인지기능의 저하를 늦추고 우울수준을 감소시키는데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정상노인들의 치매, 우울 예방을 위한 중재에 있어서 보다 체계적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작업치료사에 의한 전문적인 치료에 대한 효과연구와 실험군-대조군 연구를 통해 효과입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가상현실과 힘판을 통한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isual Feedback Treadmill Gait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a Force Plate Measurement System on Gait 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 이동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63-373
    • /
    • 2020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엔터테인먼트요소가 가미된 가상현실과 시각적 되먹임 보행 훈련 프로그램을 병행하여 보행능력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휘돌림 보행을 하는 뇌졸중 환자 10명을 선정하여, 가상현실과 힘판을 통한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보행훈련을 일일 30분씩, 주5회, 5주간 총 25회 실시하였다. 이러한 보행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관절가동범위검사, 근활성도 검사, 버그 균형 척도(BBS), 보행분석, 삶의 질(SS-QOL) 평가를 중재 전·후 시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보행 흔듦기 시기에 마비측 관절가동범위와 근활성도, 동적균형능력, 보행능력, 삶의 질이 중재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p<0.05).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보행훈련이 휘돌림 보행을 하는 뇌졸중 환자의 발처짐, 근활성도, 동적 균형 및 보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로 인한 삶의 질도 개선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휘돌림 보행을 하는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 향상과 삶의 질 개선을 통한 라이프케어증진을 위해 가상현실과 힘판을 통한 시각적 되먹임 트레드밀보행훈련 프로그램 적용을 권장한다.

한국판 버그 균형척도 평가도구의 라쉬분석 (Application of Rasch Analysis to the Korean Berg Balance Scale)

  • 이정아;이충휘;박소연;황수진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9-56
    • /
    • 200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using Rasch analysis, the rating scale performanc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BBS). The subjects were 95 elderly people at community dwelling. Subjects (19 men, 76 women) ranged in age from 65 to 91 years. Rasch analysis was then done by means of the Winsteps program to deter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BS evaluation tools for elderly peop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wenty-one elderly people were excluded for misfit persons. Three items were found to be misfits and the order of item difficulty of the remaining 11 items was arranged. Elderly people BBS ability is indicated by -.94~7.41 logit, and the transformation formula is score=(logit score+.94)/$(.94+7.41){\times}100$. This transformation formula can be applied to Korean elderly people for balance ability. In the order of difficulty of evaluation items, the most difficult item was "Standing on one foot" and the easiest item was "Standing to Sitting". In conclusion, the Korean version of BBS evaluation tool for the elderly people has been proved valid and will be useful in clinical practice and research in Korea.

  • PDF

만성 허리 통증 노인의 오스웨스트리 장애지수, 버그 균형 척도, 보행 시 운동학적 움직임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Berg Balance Scale, and Kinematic Data during Gait Analysis in Elderly People with Chronic Back Pain)

  • 황영인;김기송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1-79
    • /
    • 2021
  • PURPOSE: Chronic low back pain is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quality of life and cause problems of gait and balance in elderly peopl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Berg balance scale (BBS), and kinematic data measured while analyzing the gait of elderly people with chronic back pain. METHODS: A total of 29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ODI, BBS, and kinematic data of lower extremities were measured while walking.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he significance was measured at .05. RESULTS: ODI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 13, and 14 items of BBS (p < .05), and left hip external rotation and right ankle abduction respectively in the stance and swing phase of gait (p < .01). 13 items of BB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right ankle abduction in the stance phase of gait (p < .01). In addition, 14 items of BB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ight and left ankle abduction in the stance and swing phase of gait (p < .01). CONCLUSION: While attempting to predict chronic low back pain and balance issues, it may be useful to check the right ankle abduction in the stance and swing phase of gait. In the future, it would be helpful if some simple tests could be designed to assess balance in elderly people with chronic low back pain.

주간보호센터 이용 경도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맞춤형 작업 중재의 효과 (The Effect of Tailored Occupational Intervention o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using the Day Care Center)

  • 이춘엽;김지훈;김희정;홍기훈;정혜림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5-36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경도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맞춤형 작업 중재를 적용하여 이러한 작업 중재가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B지역의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경도 치매노인 29명을 대상으로 단일군 전·후 실험설계를 적용하였고, 일주일에 한 번, 60분씩 총 10회기를 진행하였다. 중재는 크게 집단 활동과 개인 활동으로 이루어졌으며, 개인 활동은 경도 치매노인과 담당자가 상의하여 작업 목표를 선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활동들을 일대일로 시행하였다. 맞춤형 작업 중재의 효과는 CERAD 평가, 버그 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BS), 노인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결과 : 중재 이후 인지기능 변화에서는 MMSE-KC의 총점과 시간 지남력, 집중력, 구성회상, 길 만들기 B에서, 신체기능 변화에서는 BBS의 선 자세에서 앉기와 두 눈을 감고 잡지 않고 서 있기에서, 우울 변화에서는 GDS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결론 : 맞춤형 작업 중재는 경도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신체기능의 향상, 우울의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경도 치매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하나의 중재로 맞춤형 작업 중재를 제안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