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밴드비

Search Result 910,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Estimation of maximum measurable depth using hyperspectral image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최대추정가능수심 산정 기법 개발)

  • Seo, Youngcheol;Kim, Dongsu;You, Hojun;Kwon, Ye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44-444
    • /
    • 2022
  • 하천 수심 계측은 수심을 사람이 직접 계측하거나 초음파 기반 유속계 (ADCP) 등 최신 계측기기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계측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사람이 직접 하천에서 수심을 측정하는 것은 위험이 동반되고, 수심자료의 측정오차가 크게 발생한다. 따라서 수심측정에서 직접 측정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초분광 영상의 반사도와 수심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을 활용하여, 초분광 영상 기반 수심 산정 기법을 개발하였다. 초분광 영상 기반 수심 산정 기법은 복수의 파장이 존재하는 초분광영상으로부터 두 개의 파장대의 밴드를 추출하여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해 밴드비를 산정한 후, 실측수심과 밴드비 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회귀식을 찾아내는 방식이 최적 밴드비 분석법에 기반한다. 최적 밴드비 분석법을 통해 획득된 높은 상관성의 밴드비-수심 관계식을 이용하여 수심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직접 수심 측정 방식에 비해, 높은 해상도와 밀도, 양질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과거 연구에 따르면 저수심부에서의 높은 정확도의 수심추정 결과를 보였지만, 고수심부에서는 실측수심과의 오차도 높아지는 등 정확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수심계측을 할 수 있도록 최적 밴드비 분석법을 활용한 수심추정에서 신뢰성 있는 수심의 범위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으로 낙동강 본류와 황강 지류 합류부로 선정하였고, 초음파 기반 유속계(ADCP)와 드론을 활용하여 실측수심과 초분광 영상을 취득하였다. 민감도 분석을 위한 수심자료를 0.5m 단위로 분할하였으며, 구간별로 최적 밴드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간별로 산정된 상관계수와 평균제곱근오차 (RMSE)를 통해 정확도가 높은 구간을 구별할 수 있었다. 또한 해당 구간을 초과하는 수심은 초분광 영상을 통해 추정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며, 분석한 구간까지를 최대 추정 가능 수심으로 정의하였다. 마지막으로 검증을 위해 최대추정가능수심으로 판단된 구간까지의 데이터만 활용하여 최적 밴드비 분석법을 적용하여 상관계수나 평균제곱근오차 결과의 개선여부 확인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이 정확한 최대추정가능수심 구간을 산정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 PDF

Assesment of accuracy of the radar rainfall estimation for KICT X-band dualpolarization radar (KICT X밴드 이중편파레이더의 레이더 강우량 정확도 평가)

  • Yoon, Jungsoo;Hwang, Seokhwan;Oh, Byunghwa;Kang, Na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46-246
    • /
    • 2017
  • 서울과 같은 대도시 지역은 인구와 산업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규모의 수재해로도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또한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집중호우는 도시 지역에 돌발홍수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국지 예보는 도시 지역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레이더는 먼 거리에서의 악기상을 빠르게 관측할 수 있기 때문에 도시 지역 수재해 방지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X 밴드레이더는 높은 시공간 해상도의 관측 자료를 제공하고 있어 도시 지역에 적합한 레이더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는 건술기술연구원, 고려대학교, 연세대학교에 X밴드 이중편파레이더가 도입되어 서울 지역에서의 수재해 감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X밴드 이중편파레이더는 반사도, 차등반사도, 차등위상차, 비차등위상차 등 다양한 레이더 편파변수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중 비차등위상차는 감쇄와 부분차폐의 영향을 받지 않아 비차등위상차로부터 추정된 레이더 강우는 큰 강우 강도에서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비차등위상차로부터 추정된 레이더 강우량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부터 2016년까지 관측된 건설기술연구원 X밴드 이중편파레이더 자료(42개 강우사례)를 활용하였다.

  • PDF

Decision Level Fusion of Multifrequency Polarimetric SAR Data Using Target Decomposition based Features and a Probabilistic Ratio Model (타겟 분해 기반 특징과 확률비 모델을 이용한 다중 주파수 편광 SAR 자료의 결정 수준 융합)

  • Chi, Kwang-Hoon;Park, No-Woo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23 no.2
    • /
    • pp.89-101
    • /
    • 2007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the fusion of multifrequency (C and L bands) polarimetric SAR data in land-cover classification. NASA JPL AIRSAR C and L bands data were used to supervised classification in an agricultural area to simulate the integration of ALOS PALSAR and Radarsat-2 SAR data to be available. Several scattering features derived from target decomposition based on eigen value/vector analysis were used as input for a support vector machines classifier and then the posteriori probabilities for each frequency SAR data were integrated by applying a probabilistic ratio model as a decision level fusion methodology. From the case study results, L band data had the proper amount of penetration power and showed better classification accuracy improvement (about 22%) over C band data which did not have enough penetration. When all frequency data were fused for the classification,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about 10% in overall classification accuracy was achieved thanks to an increase of discrimination capability for each class, compared with the case of L band Shh data.

Problematized obesity and standardization of treatment: Multiple translation in lapband surgery network (문제화된 비만과 치료의 표준화 과정: 랩밴드 수술 연결망에서의 다중번역)

  • Han, Gwang Hee;Kim, Byoung Soo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3 no.2
    • /
    • pp.137-172
    • /
    • 2013
  • Globally, awareness about obesity is increasing rapidly. In Korea, obesity is recognized as a disease and steps are being taken to treat it. From the health governance point of view, such standardized measures amplify the risk of obesity and thus play an important part in the prevention of the disease. In this context, various obesity treatments act as a medium for the problem-solving process. In recent years, obesity surgery has been viewed as a rational solution to the problem of obesity. In the context of standardization of treatment, Callon's "Process of Translation" in STS theorie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e central actor (Obligatory Passage Point; OPP). However, in the case of obesity, it is difficult to identify a single OPP to project different perspectives of an actor's needs. "Lapband surgery" often acts as a "boundary object"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assesses this absence of central actors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rough a case study of adoption of Lapband surgery in Korea. Further, we attempt to suggest an analytical framework with a boundary object and multiple translation concepts to aid solving the problem of obesity.

  • PDF

Development of Absorption Coefficients Estimation Algorithms for the Water Components by Empirical Method around Korean Waters (경험적인 방법에 의한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성분별 흡광계수 산출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 Moon, Jeong-Eon;Ahn, Yu-Hwan;Ryu, Joo-Hyung;Choi, Joong-Ki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280-285
    • /
    • 2009
  • 1998년 8월부터 2005년 6월까지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현장관측한 해수의 고유 광특성(IOPs)과 외형적 광특성(AOPs) 자료들을 이용하여 원격반사도$(R_{rs}(\lambda))$와 성분별 흡광계수의 총 합 $(\alpha(\lambda)=\alpha_w(\lambda)+\alpha_{ph}(\lambda)+\alpha_{ss}(\lambda)+\alpha_{dom}(\lambda))$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R_{rs}(\lambda)$ 밴드비를 이용하여 흡광계수 산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파장에 따른 $R_{rs}(\lambda)$와 총합 $\alpha(\lambda)$의 상관관계는 반비례적인 관계를 보였고, 파장 443 nm일 때 상관도$(R^2)$는 0.717이다. $\alpha_{ph}(\lambda)$ 산출알고리즘은 엽록소의 흡광과 관련된 파장 490 nm와 부유물의 산란과 관련된 파장 555 nm의 $R_{rs}(\lambda)$ 밴드비의 함수 형태로 구성하였고, 파장 443 nm일 때 RMS 값은 0.223이다. $\alpha_{ss}(\lambda)$$\alpha_{dom}(\lambda)$ 산출 알고리즘은 용존유기물의 흡광과 관련된 파장 412 nm와 부유물의 산란과 관련된 파장 555 nm의 $R_{rs}(\lambda)$ 밴드비의 함수 형태로 구성하였고, 파장 412 nm일 때 RMS 값은 각각 0.324와 0.230이다. $\alpha_{ph}(\lambda),\;\alpha_{ss}(\lambda),\;\alpha_{dom}(\lambda)$ 산출 알고리즘들은 대체적으로 현장값보다 높게 추정하였고 스펙트럼들은 잘 재현해냈다. 추후 이에 대한 개선과 알고리즘의 검보정이 요구된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forest characteristics and SAR volume scattering from multi bands (SAR 자료의 밴드간 특성과 산림 특성과의 관련성 연구)

  • Yoon, Jong-Suk;Shin, Jung-Il;Kim, Du-Ra;Lee, Kyu-Su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153-157
    • /
    • 2008
  • 기상상태에 관계없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Synthetic Aperture Radar (SAR)는 산림 분야에서 C, L, P 밴드의 자료가 많이 연구되어 왔다. 특히 밴드 간에 산림 지역에서 수관을 투과하는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X밴드의 경우는 C, L, P 밴드에 비하여 수관 표면에서 backscattering이 일어나게 되므로 수종을 분류하게 되는데 더 큰 장점을 가질 수 있으나 지금까지 산림 분야에서는 X 밴드의 SAR 자료가 활발히 연구되어 오고 있지 않다. 이 연구는 X밴드 SAR자료의 산림 분야의 활용성을 검토해보는 목적으로 1994년 10월 3일에 동시 촬영된 SIR-C/X-SAR 자료의 L, C와 X 밴드의 backscattering coefficients의 차이점을 통해서 수관 밀도나 다른 산림 특성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지역은 국립산림과학원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는 광릉 지역으로서 그 지역의 산림에 대한 정밀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여 SAR 자료의 밴드별 파장과 산림피복의 특성에 따른 연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Hyperspectral Imagery to Decision Tree Classifier for Assessment of Spring Potato (Solanum tuberosum) Damage by Salinity and Drought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의사결정 트리 기반 봄감자(Solanum tuberosum)의 염해 판별)

  • Kang, Kyeong-Suk;Ryu, Chan-Seok;Jang, Si-Hyeong;Kang, Ye-Seong;Jun, Sae-Rom;Park, Jun-Woo;Song, Hye-Young;Lee, Su Hwa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1 no.4
    • /
    • pp.317-326
    • /
    • 2019
  • Salinity which is often detected on reclaimed land is a major detrimental factor to crop growth. It would be advantageous to develop an approach for assessment of salinity and drought damages using a non-destructive method in a large landfills are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pplicability of the decision tree classifier using imagery for classifying for spring potatoes (Solanum tuberosum) damaged by salinity or drought at vegetation growth stages. We focused on comparing the accuracies of OA (Overall accuracy) and KC (Kappa coefficient) between the simple reflectance and the band ratios minimizing the effect on the light unevenness. Spectral merging based on the commercial band width with full width at half maximum (FWHM) such as 10 nm, 25 nm, and 50 nm was also considered to invent the multispectral image sensor. In the case of the classification based on original simple reflectance with 5 nm of FWHM, the selected bands ranged from 3-13 bands with the accuracy of less than 66.7% of OA and 40.8% of KC in all FWHMs. The maximum values of OA and KC values were 78.7% and 57.7%, respectively, with 10 nm of FWHM to classify salinity and drought damages of spring potato. When the classifier was built based on the band ratios, the accuracy was more than 95% of OA and KC regardless of growth stages and FWHMs. If the multispectral image sensor is made with the six bands (the ratios of three bands) with 10 nm of FWHM,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damaged spring potato by salinity or drought using the reflectance of images with 91.3% of OA and 85.0% of KC.

A Subband Structured Digital Hearing Aid Design for Compensating Sensorineural Hearing Loss (감음성 난청 보상을 위한 부밴드 구조 디지털 보청기 설계)

  • Park Jo-Dong;Choi Hun;Bae Hveon-Deo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4 no.5
    • /
    • pp.238-247
    • /
    • 2005
  • In this Paper. we Presents subband design techniques of a compensating filter and adaptive feedback canceller for the digital hearing aid. The sensorineural hearing loss has a hearing threshold that shows a nonlinear characteristic in frequency domain. and its compensation suffers from an echo that produced by an undesired time varying feedback path. Therefore. the digital hearing aid requires the compensator that can adjust gains nonlinearly in frequency bands and eliminate the echo rapidly In the Proposed digital hearing aid. the compensating filter is designed by the adaptive system identification method in subband structure, and the adaptive feedback canceller is designed by the subband affine projection algorithm. The designed compensation filter can control the nonlinear gain in each subband respectively, therefore precise compensation is possible. And the feedback canceller using the subband adaptive filter achieves fast convergence rate. The Performances of the Proposed method are verified by computer simulations as comparing with the behaviors of the previous trials.

넓은 밴드갭을 갖는 인듐-갈륨-아연 산화막의 광학적 및 전기적 특성에 대한 연구

  • Jang, Gyeong-Su;Baek, Gyeong-Hyeon;Choe, U-Jin;An, Si-Hyeon;Lee, Jun-S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96-296
    • /
    • 2011
  • 기존에 디스플레이 적용을 위한 TFT의 채널 영역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산화물 반도체의 밴드갭은 약 3.3eV이다. 현재 밴드갭을 증가시키기 위한 연구가 널리 진행 중이며, Mg등의 도핑을 통해 증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기본 sputtering 공정을 이용한 Eg 증가에 대한 연구가 없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가스비, 파워 등의 기본 공정 가변을 통하여 밴드갭 증가와 이를 이용한 광학적 및 전기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Robust Digital Watermarking Algorithm For Copyright Protection (저작권 보호를 위한 견고한 이미지 워터마킹 기법)

  • 한창수;황재호;홍충선;이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535-537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HVS을 이용하여 웨이브렛기반 이미지 워터마킹 기법을 제안한다. 웨이브렛 변환 된 각 밴드 중 최고 저주파 밴드에 인접한 3개의 밴드를 선택하여 각 밴드에 워터마크를 반복적으로 삽입하여 견고성을 높였다. 또한 밴드 안의 모든 계수 값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삽입함으로써 비가시성을 고려하였다. 저주파 영역에 워터마크를 삽입함으로서 가우시안 노이즈나 JPEG, 잘라내기 등 여러 공격모델에 대해 견고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