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밴드구조

Search Result 900,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Subband Affine Projection Algorithm (부밴드 인접투사 알고리즘)

  • Choi, Hun;Bae, Hyeon Deok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3
    • /
    • pp.221-227
    • /
    • 2004
  • This paper presents the subband affine projection algorithm(SAPA). The improved performance of SAPA is achieved by applying the affine projection algorithm to the subband adaptive structure. In this algorithm, the weight updating formula of adaptive filter is simply derived by using the orthogonal quadrature filter(OQF) as an analysis filter bank for subband filtering. The derived SAPA has the fast convergence speed and small computational complexity.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algorithm for colored input signal is evaluated through some experiments.

Band gap engineering of Hybrid Armchair Graphene and Boron Nitride Nanorribbons

  • Jeong, Ji-Hun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5.03a
    • /
    • pp.388-39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탄소로 이루어진 그래핀과 붕소와 질소의 합성물인 h-BN을 적절하게 섞어, 밴드갭(band gap)의 변화를 범밀도함수이론(DFT)을 통하여 설계하려고 한다. 본 연구에서 태양전지의 가장 높은 효율을 가지기 위한 밴드갭 1.2eV 가지는 모델을 설계하려고 한다. Armchair 방향으로 B와 N을 도핑을 하여 width에 따른 Nanorribbons 형태를 만들어 밴드갭(band gap)의 변화를 살펴 볼 것이다. 그래핀과 h-BN을 각각 고정시키며 다른 한쪽의 width를 늘리면서 밴드갭(band gap)의 변화도 살펴 볼 것이다. 그래핀와 h-BN의 비가 5:3일 때 1.14eV로 가장 1.2eV에 비슷하게 나왔고 3:5일 때 1.12eV로 그 다음으로 가장 가까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엇다. 또한 비슷한 밴드갭을 가지더라도 그러한 원자 구조가 얼마나 안정적인지를 알기 위해 cohesive 에너지를 계산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태양에너지 연구에 큰 이바지를 할 수 있다.

  • PDF

전자구조 및 화학적 물성 변화에 따른 InGaZnO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자 특성 연구

  • Kim, Bu-Gyeong;Park, Hyeon-U;Jeong, Gwon-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334.2-334.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a-InGaZnO (IGZO) 활성층에 대기분위기에서 열처리 온도를 각각 $150^{\circ}C$, $250^{\circ}C$, $350^{\circ}C$ 실시하여 전자구조와 광학적 특성분석 및 화학적 결합 상태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러한 물성 변화에 따른 소자의 특성을 알아 보았다. 박막 트랜지스터 소자의 전기적 특성은, IGZO 박막에 후 열처리 공정온도 후 제작한 박막 트랜지스터는 $150^{\circ}C$에서 3.1 cm2/Vs의 전계 효과 이동도와 0.38 V/decade의 문턱전압 이하 기울기를 보였으나, $350^{\circ}C$에서는 8.8 cm2/Vs의 전계 효과 이동도와 0.20 V/decade의 문턱전압 이하 기울기로 더 향상된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 결과를 관측하였다. 전기적 소자 특성의 변화와 활성층 IGZO 박막 특성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X-ray Absorption Spectroscopy (XAS)과 Spectroscopy Ellipsometry (SE)로 측정된 흡수 스펙트럼을 통하여 3 eV 이상의 광학적 밴드 갭은 기존에 보고 되었던 a-IGZO와 유사한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측정, 분석법들을 통해 후 열처리 공정 온도에 따른 밴드 갭 부근의 결함준위의 양 변화와 가전자대의 전자구조의 변화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달라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X-ray Photoemission Spectroscopy (XPS)를 통해 측정한 O-1s를 통해 Oxygen deficient state와 밴드 갭 부근의 결함준위와의 상관관계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이는 a-IGZO 활성층에 후 열처리 공정 온도 변화에 따라서 전자구조의 혼성변화와 밴드 갭 부근의 결함준위의 양의 변화, 에너지 준위의 변화 및 이와 연관된 화학적 상태 변화가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를 예상할 수 있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Opt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ZnMgO thin films by RF co-sputtering (RF magnetron sputtering으로 성장된 ZnMgO박막의 구조적, 광학적 특성 분석)

  • Kang, Si-Woo;Kim, Young-Yi;Ahn, Cheol-Hyoun;Cho, Hyung-K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6a
    • /
    • pp.178-178
    • /
    • 2007
  • II-VI의 넓은 밴드갭 (3.37 eV)을 가지는 ZnO는 solar cells,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s, ultraviolet light emitters, and chemical sensors 등에 응용되고 있다. 특히 고효율 ZnO계 발광 소자 구현을 위하여 MgO (7.7eV), CdO (2.0eV) 등의 고용을 통한 밴드갭을 엔지니어링 하며, 단파장 영역의 광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MgO 첨가를 통한 밴드갭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의 연구가 활발하다. 그러나 ZnO의 wurtzite 구조와 MgO의 rocksalt 구조의 상이한 결정구조로 인하여 Mg의 고용한계는 4 at. %, 4.1 eV 알려져 있다. 본 실험에서는 p-type Si (100), c-sapphire (0002)과 GaN 기판 위에 MgO (99.999 %)와 ZnO (99.999 %) 두가지 타겟을 사용하여 RF co-스퍼터링법으로 ZnMgO 박막을 증착 하였다. 이때 ZnO 타겟의 power 밀도는 고정 시키고 MgO 타겟의 power 밀도를 변화 시키며 Mg의 함량을 조절하여 그에 따른 광학적 구조적 특성의 변화를 연구 하였다. 성장된 ZnMgO 박막은 MgO 타겟의 power 밀도가 증가할 때 Mg의 함량이 10 at. %까지 증가 하며, 그에 따른 표면의 거칠기 및 입계 크기가 감소하며, 박막의 성장속도 또한 감소함을 SEM과 AFM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XRD를 동하여 ZnMgO 박막의 (0002) peak의 위치는 $34.50^{\circ}{\sim}34.7^{\circ}$로 오른쪽으로 이동하며, c-축으로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PL과 UV룰 동하여, Mg의 함량이 증가 할수록 박막의 밴드갭 에너지는 3.2 eV에서 4.1 eV 로 증가하였다.

  • PDF

CuS/ZnO 이종 나노구조의 합성과 광촉매로의 응용 및 특성평가

  • Lee, Mi-Gyeong;Choe, Min-Gi;Yong, Gi-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2a
    • /
    • pp.609-609
    • /
    • 2013
  • 나노선은 대표적인 일차원 나노구조로 높은 부피-표면적 비율과, 조절 가능한 밴드갭 에너지, 뛰어난 광학적/전기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잠재적 응용처를 가지며, 많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ZnO 나노선은 대표적인 광촉매로, 높은 감광성과 높은 부피-표면적 비율 등의 특징을 가지지만, 상대적으로 넓은 밴드갭 에너지 때문에 가시광선 영역을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CuS 나노입자/ZnO 나노선 이종구조를 간단한 두 가지의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ZnO 나노선은 간단한 수열합성 방법으로 합성하였고, 그 위에 CuS 나노입자를 successive ionic layer adsorption and reaction (SILAR) 방법으로 증착하였다. 합성된 나노 구조는 기존의 ZnO 구조와는 달리 가시광 영역에서도 향상된 광촉매 특성을 보였으며, 이는 ZnO와 CuS사이의 interfacial charge transfer (IFCT)에서 기인한 것이다. SEM, TEM, XRD를 통해 CuS/ZnO 이종구조의 형태와 결정구조, 구성성분을 분석할 수 있었고, Acid Orange 7의 광분해 실험을 통해 향상된 광촉매 특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Wave Attenuator for Human Brain Protection to be et Wireles Phone Hand Set by Corrugate Ceramic Chip (인체 두뇌 보호를 위한 무선 전화기용 Corrugate 유전체 칩 전자파 감쇄기)

  • 손태호;김성복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1 no.6
    • /
    • pp.907-913
    • /
    • 2000
  • 세라믹 강 유전체를 이용한 corrugate 구조의 으 전극으로 마들어지 유전체 칩에 의한 전자파 감쇄기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이 감쇄기의 감쇠는 corrugate 구조에 의한 전파모드 차단조건으로부터 얻을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근거리 프로브 측정 및 SAR 측정에 의한 결과는 셀룰라 밴드인 824∼849MHz에서 3.6∼5dB, PCS 밴드인 1750∼1780 MHz에서 4∼5dB의 감쇠를 얻었다. 또한 감쇠 범위는 휴대폰 정면을 중심으로 ±35°이외는 감쇠가 없으므로 통화기 통화품질의 저하가 거의 없음이 나타났다.

  • PDF

Nondegenerate Monopole Mode of Single Cell Two-dimensional Triangular Photonic Band Gap Cavity (2차원 단일 셀 삼각형 광결정 공진기에서의 비축퇴된 홀극 모드에 관한 연구)

  • Heo, Jun;Hwang, Jung-Ki;Lee, Yong-Hee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02a
    • /
    • pp.16-17
    • /
    • 2001
  • 광결정(photonic crystal)은 서로 다른 유전체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구조로서, 빛이 진행할 수 없는 진동수 영역인 광밴드갭(photonic bandgap)이 존재한다. 광밴드갭 특성으로 빛의 자발 방출과 진행 방향이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광결정은 나노 레이저, 광도파관,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광소자 개발에 응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2차원, 3차원의 광결정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현재에는 2차원의 슬랩(slab) 구조에 대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중략)

  • PDF

A Study on High Quality Virtual Microscope System (고성능 가상 현미경 시스템에 관한 연구)

  • Cho, Seok-Hyang;Yoon, Ju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935-938
    • /
    • 2000
  • 본 논문은 광학 현미경을 컴퓨터 상에서 구현한 소프트웨어 시스템인 Medieye 시스템에 가장 큰 문제점인 대용량의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Medieye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다. 현재 구현된 Medieye 시스템은 환자의 조직 샘플에 대한 고해상도 디지털 영상을 인터넷 상에서 제공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의료 기관 및 의학 연구 기관의 슬라이드로 꽉 찬 캐비넷을 디지털 저장시스템으로 대체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기반의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Medieye 시스템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네트워크 서버, 데이터 서버 3 부분으로 구성되었고, 이들은 정해진 통신 규약에 따라 메시지를 서로 주고받음으로써 각 부분이 상호 독립적이다 이 시스템에 적용할 영상압축 기법은 블록 기반의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한 영상 압축이다. 입력 영상 신호를 여러 개의 부밴드 영상으로 분해하고 각 부밴드 영상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다시 작은 블록으로 나누어 각 부밴드의 특성에 맞도록 영상을 압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 기법은 제로 트리와 비슷한 성능을 보이면서도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계산적인 면과 수행 속도 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 준다.

  • PDF

Plastic Loads of Mitred Bends under Internal Pressure and Bending Moment (굽힘 하중과 내압이 가해지는 미터밴드의 소성하중)

  • Min, Sung-Hwan;Kim, Yun-Jae;Jeon, Jun-Young;Lee, Kuk-Hee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22 no.6
    • /
    • pp.549-555
    • /
    • 2009
  • Based on three-dimensional(3-D) finite element limit analyses, this paper provides limit and TES (Twice-Plastic Load) loads for mitred pipe bends under bending and pressure. The plastic limit loads are determined from FE limit analyses based on elastic-perfectly-plastic materials using the small and large geometry change option. A wide range of parameters related to the mitred bend geometry is considered. Based on the finite element results, closed-form approximations of plastic limit and TES plastic load solutions for mitred pipe bends under bending a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