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백화점 매장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7초

백화점 매장공간의 성별 탐색 특성과 주시경향에 관한 연구 - 백화점 매장 공간을 대상으로 - (Research on Gender Specification and Their Visual Preferences at Department Store Display Space - Target Department Store Space -)

  • 최계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52-60
    • /
    • 2016
  • Observation about space is looked steady in an instant, but in continuous movement, one's observation unconsciously stays at different points. In department store, customer actually observes around the store for buying, not focusing on certain point. By studying customer's movement and observation feature, buying desire and interest can be found. For analysis of the different searching-features according to the continuous-observation depending on sex, the study is set up to record movements of customers at women in Department store.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First, Men observed 0.2-0.4 units more in I-II section which are assumed as predominant. The result shows that men can focus on more section (around +0.4%) and longer (around +5.7%) than women do. Second, the same feature of observation depending on sex is that both men and women observe left and right section while keep focusing on middle section. Third, according to the fact that right-focused observation magnificently occurred in the image curved to right, the Space-composition has influenced on the observation of both men and women on the space. Forth, excessive number of display can cause avoidance of observation. Moreover, observation does not stay on the coverage due to wall or post, but is attracted to the brand name. As brand name causes right-focused observation in the image [(8)], brand name can be one of the reasons to attract observation in women apparel store. To sum up, this study is noticeable as it researches about continuous-observation. Furthermore, verifying the result that the composition of space and the placement of products can cause big differences in the observation feature is meaningful outcome.

백화점의 판매수수료 현황 및 정책대응 방안 (Sales Commission of Department Store and Policy Implications)

  • 이정희;황성혁;김성민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5호
    • /
    • pp.37-60
    • /
    • 2010
  • 백화점은 우리나라 유통시장에서 전통적인 대형 유통업체로 자리를 잡고 있었다. 1997년 우리나라의 외환위기 이후, 백화점은 3사를 중심으로 집중도가 높아지면서 납품업자와의 관계에서 우월적인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그 중에 하나가 판매수수료이다. 판매수수료란 제조업체를 대신하여 제품 판매에 기여를 한 유통업체가 판매 가격에 일정 부분을 가져가는 것을 의미한다. 즉, 백화점에 입점한 업체들이 제품 판매액의 일정부분을 백화점에 지불하는 것이다. 그런데 납품업체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판매수수료가 매우 높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 백화점은 납품업체를 대신하여 고객을 모으고 판촉활동을 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단순히 판매수수료가 높다고 말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것은 백화점이 직매입 보다는 수수료 위주의 매장 운영을 보이기 때문이다. 백화점의 수입은 판매수수료에 좌지우지 될 수밖에 없고, 규모화와 백화점 브랜드파워를 통한 거래교섭력 증대로, 납품업체와의 관계에서 판매수수료의 주도권을 높이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백화점의 판매수수료와 관련된 대응정책으로 백화점의 독과점 구조 심화를 방지해야 하며, 납품업체와 공정한 계약 체결을 할 수 있도록 공정거래위원회의 불공정거래행위에 대한 감시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으로는, 백화점 업계의 자율적인 상생과 공정거래가 정착되도록 하는 환경조성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구매심리의 단계와 가중치에 따른 VMD 감성평가 -의류브랜드를 중심으로- (Evaluation of VMD Sensibility according to Purchasing Psychological Steps and Weights)

  • 나영주;이은희;황진숙;고선주
    • 감성과학
    • /
    • 제10권2호
    • /
    • pp.187-19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판매매장별 구매심리에 따른 디스플레이 항목 에 대한 전문가 평가와 매장 방문 고객을 대상으로 한 반응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실제 판매환경에서의 VMD에 대한 통합적 분석을 행하고, 브랜드 감성과의 일치성, 브랜드 감성 형성 요인 등을 조사하여 판매 매장별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거리숍이 백화점내 매장보다 고객의 시선을 사로잡고 구매자극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각적 만족과 매장 방문 만족도는 고객의 구매의지와 비례관계에 있었으며 전문가에 의한 감성평가와 고객의 제품구매의지는 상관이 있었다 구매심리단계별 VMD 요소의 부족한 점과 이행이 잘 되는 점을 상호보완하면 각 판매 환경에서 VMD로 인한 즐거운 쇼핑문화를 이룩하고 또한 구매효과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고객반응을 바탕으로 한 소비자 조사를 통하여 매장 VMD 효과를 분석하고 상품구매 욕구와의 연관성을 이끌어냄으로써 소비자 조사 결과가 유용한 방법이다. VMD가 이뤄지는 곳은 실제 판매환경인 매장이므로 VMD의 효과와 고객반응에 대한 조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빅데이터(POS)를 활용한 백화점 방문수요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Demand for Visiting Department Stores Using Big Data (POS))

  • 신성윤;박정아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4호
    • /
    • pp.55-71
    • /
    • 2022
  • 최근 국내 백화점 산업은 소비패턴의 변화에 의해 고급화와 차별화된 복합쇼핑문화공간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5개 대규모 회사를 중심으로 70개소가 운영되며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 개념의 차량 자동입출차 시스템(pos)를 활용하여 백화점의 방문수요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백화점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2021년 신규개점으로 인하여 연간 매출액이 완전치 않은 지점 3곳을 제외한 67개의 지점을 대상으로 어떠한 사건이나 방문에 대한 빈도를 예측할 때 사용되는 음이항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백화점 방문수요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공항·터미널·기차역 여부, 대지면적, 주차대수, VIP라운지수, 명품매장비율, F&B매장 수, 경기·인천지역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상업지역 여부, 호텔은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내 백화점의 경쟁력 강화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백화점 소비자들은 명품 브랜드에 대한 선호가 높다. 따라서 백화점은 자체적으로 해외 바이어팀을 구성하여 새로운 명품 브랜드를 발굴하여 유치하고, 고객들의 수요가 높은 명품 브랜드를 유치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구매력과 충성도 높은 소비자들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기존 보다 더 차별화된 VIP 고객들을 위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높다. 둘째, 신규 백화점 입점은 경기·인천 지역의 기차역, 공항, 터미널과 같은 교통거점 지역을 중심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백화점은 고급화된 쇼핑센터라는 측면에서 핵심임차인이 중요하므로 소비자의 수준과 선호에 부합하는 테넌트의 유치 전략이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최고급 쇼핑센터인 백화점은 2021년 개점한 '더 현대'와 같이 차별화된 쇼핑, 문화, 외식과 여가서비스가 함께 제공되는 공간으로 개발되어야 향후 성장가능성이 담보될 수 있다.

백화점의 매장유형에 따른 소비자 행태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Consumer Behavior according to the Shape of Merchandise Plans in Department Stores)

  • 김진규;이규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6호
    • /
    • pp.121-12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interior improvement of department store would affect costumers' behavior The marketing field that is aimed to maximize consumption is required to recognize the strategy about the environment that promotes consumption and products values. The places where to appear intensively and largely are department stores; they have to Provide diverse kind of products, services, and pleasant circumstances for shopping. Therefore,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based on studying customers behavior that is distinguished cause in selling space in the department store. First, to notice the meaning of consumption to the modern society, secondly, to analyze how customers behave differently according to various shape of selling spaces, thirdly, with precise understanding of buyers consumption behavior, to suggest the fundamental information In department merchandizing planning for maximized selling.

백화점 브랜드매장의 비주얼 머천다이징 평가: 판매원 대 소비자 관점 (Perceptions of Visual Merchandising in the Department Stores: The Employee versus Consumer Perspectives)

  • 박경애;전보미나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22-229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and compared the two perspectives of consumers and employees on the perceptions toward visual merchandising (VMD) of fashion brands in a department store. Importance of VMD elements, roles of VMD, evaluations of VMD elements, and brand and store images were measured and compared. The two type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consumers and employees. A total of 327 consumer samples and 317 employee sampl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what VMD elements were the most important. While employees perceived of the role of VMD higher than consumers, consumers evaluated two VMD element factors higher than employees and showed higher store image. Such results were not different by brand types. The study implies that the higher VMD perceptions of consumers are desirable to manage VMD from the employees' perspective.

백화점 디스플레이 특성에 관한 연구 - 명품매장 Facade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isplay in a Department - Focusing on the Facade of high stores -)

  • 유현아;이성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31-134
    • /
    • 2003
  • Today the trend of department Is increasing stores to satisfy consumers to enjoy shopping comfortably and purchase desire. Specially, high stores focus on the sale environment improvement for consumers's pattern such as different corporate images, new life style and value system. However, nowadays Internet shopping mall is generalized, so consumer can purchase high brad more comfortably. Therefore, department store have to show high brand image through new interior production in departments. Specially, the importance of department store's facade is realized to link of company sales promotion of stores. Because the purpose of department store is sale, so the role of facade display is very important. Specially, facade in department stores contains many various concepts connotative logics, so this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space. Facade shows product images and connects consumer's purchase desi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tores in departments and to help facade design of department stores.

  • PDF

백화점 매장계획을 위한 VMD와 고객동선의 상관관계에 관한 분석적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ustomer's Circulation and VMD in Planning the Interior of Department Stores)

  • 최영신;차소란;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2호
    • /
    • pp.121-130
    • /
    • 2002
  • At the large commercial facilities, people try to grasp a customer's needs as the marketing strategies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maximization of profits as well as the primary purpose for functional and effective spatial plan. In planning the interior of each department, they try to provide the image of the interior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customer's emotional needs. And this kind of efforts also have been improved as visual merchandising strategies based on the transmission of visual information.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mong customer's behavior, circulation and VMD by gasping their shopping patterns at the department stores based on the spatial and emotional approach to form an environmental image of each department. The researcher focused on time, speed and rate of shopping that show customer's behavioristic characteristics and examine the factors to have an influence on decision making. With the result, this study proposes the primary data and evidence for MD planning, circulation planning and VMD planning of each department.

대형백화점의 B 브랜드 리뉴얼 계획안 (A plan for a renewal design of an inner shop at a department store)

  • 김혜자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21-222
    • /
    • 2005
  • Nowadays, the consuming society, the quality of wideness is increasing as the economic life level increases. Modern's any of large department stores, playing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middle of our consuming culture, is creating a new life culture and life patterns including producing a new consuming value, too. This is a plan for a renewal design of an inner shop at a department store for brand launching in Seoul, which was planed to escape from the brand's own cold color to show up the product's color using indirect illumination. It was also considered clients' path lines who may keep at a distance to come into an expensive brand's store by designing the whole area as a show room, so there a window display and a harmony with the products let the shop be well functionalized.

  • PDF

자율주행 가이드 로봇 서비스 연구개발 (Autonomous Mobile Guide Robot Service R&D)

  • 김성진;권혁민;최수헌;장종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09-811
    • /
    • 2022
  • 최근 온라인 유통의 약진 속에서 대표적인 오프라인 유통인 백화점 채널이 예전에 비해 경쟁력이 약화 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유통채널로서의 경쟁력이 약화 된 것이지, 복합 문화 센터의 경쟁력은 나날이 느는 추세다. 길이 복잡한 백화점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시설 안내 및 길 찾기 동행, 사용자 나이 및 성별에 따른 매장 추천, 고객 센터 연결 등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이드 로봇을 통하여 경쟁력을 키우고자 해당 서비스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