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백합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27초

급속열분해 공정에서 바이오매스의 입자크기와 수분 함량이 열분해 산물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ticle Size and Moisture Content of Woody Biomass on the Feature of Pyrolytic Products)

  • 황혜원;오신영;김재영;이수민;조태수;최준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6호
    • /
    • pp.445-45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백합나무의 급속 열분해 공정에서 시료의 입자크기 및 함수율 조건이 열분해 산물(가스, 바이오오일, 바이오촤)의 수율과 물리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시료의 함수율이 낮을수록 바이오오일의 수율은 증가하였으며 시료의 입자 크기는 수율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각 조건별로 생성된 바이오오일은 20~30%의 수분 함량과 pH 2.2~2.4, 발열량 16.6~18.5 MJ/kg의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바이오오일 내 수분 함량은 높은 함수율 시료 조건에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바이오촤의 경우 80% 이상이 탄소로 이루어져있으며 발열량은 26.2~30.1 MJ/kg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미국 Alabama주 West Fowl River 하구 패류서식장에 대한 위생학적 조사 (SANITARY SURVEY OF SHELLFISH GROWING AREA ON WEST FOWL RIVER ESTUARY, MOBILE, ALABAMA)

  • 김성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45-162
    • /
    • 1974
  • 시판되는 굴, 담치, 백합 등 패류는 깨끗한 수역에서 생산되어야 한다는 것은 공중보건상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들 서식해역에 대한 위생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패류위생관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일이다. 본 조사는 미국 Alabama주 West Fowl River 지역에 있어 패류위생관리상 양식장의 등급분류와 관련한 굴(Crassostrea virginica) 및 그 서식수의 위생학적 성상을 알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 연구는 미국 국제개발처(AID) 연수계획에 의하여 이루워 졌음을 밝혀 둔다. 조사지역에 있어서의 감염원은 가옥, 소업체, 가축, 물새, 야생동물 등에 의한 일반적인 발기물과 배설물로 되어 있고 특별한 하수나 공업배출물은 없었다. 이 조사는 이 지방에 있어 건조기인 10월에 실시되었으며 조사기간중의 총 강우양은 0.08mm, 평균 기온은 $21.3^{\circ}C$, 바람은 동풍이 우세하였다. 저질은 뻘로 되어 있고 저호시 평균수침은 약 1m이며 조사기관중 평균 수온은 $26.0^{\circ}C$였다. 염분은 조사지점에 따라 상이하였으며 바다로 향한 강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고 평균 염분은 $18.0\~28.7\%$의 범위에 있었다. 해수 및 굴 양자의 Coliform 함양은 Fecal coliform 보다 시종 높았으며 Coliform 및 Fecal coliform의 수는 바다로 향한 강의 흐름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이것은 해수의 오염은 주로 지표수의 유입에 의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굴의 Coliform 및 Fecal coliform MPN은 해수의 그것보다 $11\~12$배 높았다. 조사수역에 설정한 7개소 Sampling station 중 오직 Station 7만이 패류양식장 허가해역의 세균학적 수질기준에 합당하였으며 굴의 Fecal coliform MPN은 시판용 패류의 세균학적 기준을 초과하고 있었다. EC test 양성시험관에서 분리된 세균의 $97.6\%$가 E. coli group로 나타나 EC test는 Echerichie Coli 시험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 PDF

경북지방(慶北地方)의 묘지(墓地)에 분포(分布)하는 잡초종(雜草種) (Weeds Identified in the Buryingplaces of the Kyungpook Probince)

  • 김길웅;신동현;권순태;박상조;이성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4-172
    • /
    • 1993
  • 1992년(年) 6월(月)과 9월(月)에 경북지방(慶北地方)의 묘지에 분포하는 잡초(雜草)를 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묘지에서 조사된 잡초종(雜草種)은 53과 196종으로 그 중 일년생(一年生) 31종, 울년생(越年生) 38종, 다년생(多年生) 127종이었다. 2. 묘지에서 조사된 잡초종(雜草種)을 과별(科別)로 보면 국화과 34종, 벼과 27종, 콩과 17종, 장미과 10종, 백합 미나리아재비과 8종, 석죽 배추과 7종, 꿀풀 마디풀과 6종, 돌나물 사초과 4종 그리고 나머지 41과에서 1~3종의 잡초(雜草)가 조사되었다. 3. 경북지방(慶北地方)의 묘지에서 우점(優占)하는 초종은 띠, 쑥, 제비꽃, 개망초, 망초, 산딸기, 꿀풀 등이었다.

  • PDF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RAPD)를 이용한 나리(Lilium )의 품종구분 (Classification of Lilium Using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 최혜선;김경수;최장경;이경국;홍대기;강원희;이윤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2호
    • /
    • pp.144-147
    • /
    • 1999
  • 백합과 화훼작물의 품종구분을 위하여 RAPD 방법이 사용되어졌다. Operon사에서 구입한 10개의 10-mer random primer를 이용한 RAPD 실험결과 모두 107개의 밴드가 관찰되었고, 관찰된 밴드는 300bp 에서 2kb의 범위에 속했으며, 같은 계통 내에서는 동일한 밴드양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Casa Blanca와 Adelina는 동일계통 내 다른 품종들과 다른 밴드 양상을 보였다. L. longiflorum내의 품종들은 서로 다른 밴드 양상을 나타내었다. Random primers, OPA-02, 03, 04, 14, 16 그리고 17로 형성된 DNA 밴드들은 Lilium의 서로 다른 cultivar와 hybrid를 구분하는 marker로도 이용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 PDF

광조사 방향 및 광도에 따른 배양식물체의 생장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Tissue Cultured Plantlets by Lighting Direction and tight Intensity)

  • 함인기;김현숙;이미애;조만현;이은모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39-144
    • /
    • 1999
  • 광조사 방향 및 광도에 따른 몇 가지 배양식물체의 생장반응을 조사하였다. 광조사 방향은 배양실내 조명장치를 상방향 또는 측방에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딸기 배양식물체의 초장과 근장은 광조사 방향에 관계없이 차이가 없었으나,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은 광도가 높을 수록 증가하였다. 감자 절간 배양에서도 광도가 높은 측방광 조사구에서 초장이나 근장은 감소하였으나, 줄기 및 뿌리는 굵기가 굵고 생체중과 건물중 그리고 엽면적도 증가하였다. 백합인편배양 역시 측방광 고광도 조사구에서 자구 형성이 많았고 생체중과 건물중 모두 증가하였다. 따라서 관행 하방광 조사보다 배양용기의 측면에서 광을 조사하여 광도를 높이고, 배양용기를 3단으로 적재할 수 있는 측방광 조사방법이 배양식물체의 생장을 촉진시켜 양질 배양묘 생산효율을 증대시켰다.

  • PDF

Single Cell PCR과 현미경을 통한 바지락 및 백합 유생의 동정 (Identification of Ruditapes philippinarum and Meretrix lusoria Larvae Using Single Cell PCR Analysis and Microscopic Observation)

  • 정승원;김창수;유재원;김영옥;이진환;홍재상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247-254
    • /
    • 2010
  • Single cell PCR analysis and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techniques were utilized to identify free living bivalve larvae in the coastal waters of Tae-an, on the west coast of Korea. Through DNA sequencing, venerid clam larvae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Ruditapes philippinarum (99% similarity) and Meretrix lusoria (99%). Under microscopic observation, the D-veliger stage of R. philippinarum exhibited symmetrical shoulder angles and an elliptical ventral form. In contrast, M. lusoria displayed asymmetrical shoulder angles and a round ventral form in the umbonal stage. Size of the R. philippinarum larvae was $156{\pm}22{\mu}m$ in length, $126{\pm}12{\mu}m$ in height, $92{\pm}14{\mu}m$ in width with a length: height ratio of 1.23. Meretrix lusoria was $202{\pm}44{\mu}m$ in length, $161{\pm}35{\mu}m$ in height, $96{\pm}38{\mu}m$ in width with a length: height ratio of 1.25.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provide evidence for the larval identification of these two venerid clam larvae species in nature.

북방 조개의 유지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pids of 'Bugbangjohgae' Spisula sachalinensis)

  • 조용계;진만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5-202
    • /
    • 1976
  • 북방 조개는 우리나라 동해안과 일본 동북 지방에 널리 분포하는 백합과에 속하는 조개로서 일본에서는 식용으로도 이용되나 여기에 대한 지질학적 연구(脂質學的硏究)가 없으므로, 이 조개에 대한 지질학적 연구를 행하여 그 결과를 보고한다. 1) 총 지질중 인지질(燐脂質)이 $43.1\%$로 제일 많았고, 다음 트리그리 세라이드가 $36.2\%$ 스테롤이 $10.3\%$였다. 2) 인지질의 구성을 보면, 포스화터질코린, 포스화터질에나놀아민, 포스화티달에타놀아민, 포스화티질세린이 중요한 것이었다. 3) 중성지질의 지방관은 20 : 5, 16 : 1, 16 : 0이 제일 많았고, 에타놀아민 함유(含有) 인지질에는 20 : 5, 18 : 0, 22 : 6, 코린함유(含有) 인지질에는 16 : 0, 20 : 5, 22 : 6이 중요한 것이었다. 4) 프라스마로겐은 대부분 에타놀아민 함유 인지질에 편재해 있었고, 코란함유 인지질에는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5) 중요한 스테롤은 22-트란스-24-놀코레스타-5.22-디엔-$3\beta$-을, 22-데하이드로콜레스테롤, 코레스테롤브라시카스테롤, 24-메치렌코레스테롤 및 $\beta$-시토스테롤로 구성되어 있었다.

  • PDF

백합(Meretrix meretrix)식해에서 분리한 Pediococcus pentosaceus SH-10의 생균제적 특성 (Probiotic Properties of Pediococcus pentosaceus SH-10 Isolated from the Hard Clam Meretrix meretrix Shikhae)

  • 송현정;김강진;김희대;유정희;구재근;박권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05-611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suitability of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strains of probiotic bacteria. Among 25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 the Hard Clam Meretrix meretrix Shikhae, the SH-10 strain, which exhibited superior resistance to low pH and bile salts, was selected as a potential probiotic bacteria. By examining carbohydrate utilization, morphological properties, and the 16S rRNA gene sequence, the SH-10 strain was identified as Pediococcus pentosaceus (hereafter, P. pentosaceus SH-10). P. pentosaceus SH-10 was resistant to amikacin, cefotetan, ciprofloxacin, gentamicin, kanamycin, nalidixic acid, streptomycin, and vancomycin. Tests of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pathogens such a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choleraesuis, and Staphylococcus aureus, indicated that P. pentosaceus SH-10 inhibited the growth of pathogenic bacter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P. pentosaceus SH-10 can be developed as a probiotic bacteria.

한국에서의 오이모자익 바이러스의 기주범위에 관한 연구 (Studios on the Host Range of Cucumber Mosaic Virus in Korea)

  • 정봉조;박해철;이순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85-192
    • /
    • 1975
  • 가. CMV의 기주조사결과, 43과 145종을 공시하여 27과 71종이 기주로 판명되었으며 그중 24두 57종이 Systemic mosaic을 나타내었다. 나. CM V의 새로운 기주로 확인된 식물은 쇠별꽃 쇠무릎, 아게라탐, 중대가리풀, 천인국, 지칭개, 씀바귀, 그늘취, 유채, 다닥냉이, 수염가래꽃, 좀명아주, 실사초, 깨풀, 새콩, 벌노랑이, 팥, 큰기린초, 들깨풀, 들깨, 개곽량, 아마, 주름잎, 버어베나의 24종이 판명되었다. 다. 다른 연구자의 보고에는 감수성으로 나타났으나 본 시험에서 음성으로 나타난 식물은 양파, 맨드라미, 당근, 쑥, 과꽃, 망초, 해바라기, 만수국, 봉선화, 양배추, 배추, 스위트알리슘, 무, 고구마, 대두, 강남콩, 나팔백합, 양귀비, 수수, 밀, 옥수수, 소루쟁이, 채송화 등 23종이었다.

  • PDF

천공 위치와 수종에 따른 공명기의 흡음특성 (Sound Absorption Characteristic of Resonator by Hole Position and Wood Species)

  • 황권환;김건형;박병수;박정환;변희섭;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3호
    • /
    • pp.9-16
    • /
    • 2008
  • 거제수나무(Betula costata Trautv.), 낙엽송(Larix kaempferi (Lamb.) Carr.), 백합나무(Liriodendron tulipifera L.) 세 수종의 시험편에 대해 드릴로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는 천공작업으로 다양한 종류의 공명기(등분포형, 밀집형, 일렬형, 나선형)를 설치하여 그 흡음성능과 공명기의 위치에 따른 흡음률 변화를 측정하였다. 공명기를 설치한 시험편은 무처리재보다 뛰어난 흡음성능을 발휘하였다. 공명기의 종류와 위치에 따라 흡음성능이 달리 나타났으며 그 변화 정도 또한 수종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한편, 나사선에 의한 단면적 증가로 인한 공명기의 흡음성능 향상은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