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백토(白土)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31초

조선 16~17세기 관요(官窯) '별(別)'명 백자의 성격과 제작 배경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Gwanyo's Production of White Porcelain with "Byeol(別)" Inscription in 16th and 17th Century Joseon)

  • 김귀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2호
    • /
    • pp.214-230
    • /
    • 2022
  • 이 글은 조선 16~17세기 관요(官窯)에서 제작된 '별(別)'명 백자의 성격과 제작 배경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별'명 백자는 1560년대 이후 '좌(左)·우(右)'명 백자와 함께 관요 백자의 이원적(二元的)인 명문 체계를 구성하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별'명 백자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에 따라 15~17세기 관요 백자에 새겨지는 명문의 흐름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웠다. '별'명 백자는 1560년대부터 1640년대까지 관요에서 생산되었다. 관요는 연례진상자기(年例進上磁器) 이외에 왕실이나 조선 조정의 요구에 대응하여 별기(別器)를 제작·공급하였다. '별'명 백자는 별번(別燔)을 통해 생산한 별기이다. 별기는 사용 목적에 따라 크게 국용(國用)과 내용(內用)으로 구분된다. 다만, 그릇에 '별(別)'만 표기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명의 성격을 정확히 언급하기 어렵다. 연례진상자기가 별기로, 별기가 또 다른 목적으로 전용(轉用)되면서 소비와 관련된 명문이 백자에 점각(點刻)되었다. 16세기 왕실은 신유공안(辛酉貢案)을 바탕으로 백자 소비를 확대하였다. 왕실은 1560년대 관요의 운영 상황이 악화된 상황에서 최상품(最上品) 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기 위해 '별'이라는 명문을 활용하였다. 관요 백자는 생산단계에서부터 연례진상자기인 '좌·우'명 백자와 별기인 '별'명 백자로 구분·관리되었다. '별'명 백자는 1640년대까지 제작되었다. 1640년대 중·후반은 관요에서 별번이 일시적으로 정지되었다. 1659년경부터는 연례진상자기를 만드는 백토(白土)와 별기 소용 백토를 다른 지역에서 공급받았다. 당시 연례진상자기는 원주토(原州土)·서산토(瑞山土), 별기는 경주토(慶州土)·선천토(宣川土)를 원료로 사용하였다. 문헌(文獻)에 의하면 경주토·선천토가 원주토·서산토에 비해 훨씬 정결(精潔)하였다. 별번은 백토부터 별도로 채굴·관리하는 체계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특정한 명문을 통해 별기를 별도로 관리할 필요성이 감소되었고, 결국 '별'명 백자는 소멸된 것으로 판단된다.

백토안료의 전통제법 중 아교수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Glue Solution on Manufacturing of White Clay Pigment)

  • 강영석;정혜영;고인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17-423
    • /
    • 2016
  • 백토안료의 제조 공정 중 분쇄 및 수비단계에서 아교수를 적용하고 이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쇄 공정에서 아교수를 적용한 경우, 일반 증류수를 사용했을 때보다 미분의 생성량이 감소하고 분급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분쇄 성능 및 분쇄 한계에는 마찰력이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분쇄 조건에 따른 마찰력을 측정한 결과, 아교수를 적용한 경우 상대적으로 마찰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국 분쇄 공정에서 아교수를 사용하는 것은 마찰력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분급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안료 제조 공정 중 수비단계에서 아교수를 적용한 결과, 아교수 적용 시 동일한 조건에서 보다 큰 입도의 입자를 수비해 내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비액으로 아교수를 사용한 경우, 아교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비액의 점도가 증가하여 입자의 침강속도가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국 수비 공정에서 아교수를 사용한 것은 수비액의 점도를 증가시켜 수비를 통해 선별할 수 있는 입도의 범위를 확대하고, 보다 세밀한 입도 구간으로 입자를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옥수수 기름의 제조공정별 벤조피렌 함량 변화 (Changes in Benzo(a)pyrene Content During Processing of Corn Oil)

  • 김덕숙;이근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5-81
    • /
    • 2009
  • 옥수수기름의 제조공정 단계별 공정유 및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에 함유되어 있는 B(a)P 함량을 측정하고 이의 제거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옥수수기름에서 높은 수준의 B(a)P가 검출되는 원인은 옥수수에 함유되어 있는 B(a)P의 80% 이상이 옥수수 배아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데 따른 현상이었다. 이로부터 얻어진 원유를 일반적인 정제공정을 거칠 경우 최종 탈취유에서는 $2.15{\mu}g$/kg가 검출 되었다. 따라서, 옥수수기름에서 일반적인 정제공정에 의해서는 현행 우리나라의 식용유 중 B(a)P 함유량 $2.0{\mu}g$/kg 이하의 법적 규격을 충족시키기 어려움을 쉽게 알 수 있었다. 이에 탈색공정에서 사용하는 2%(w/w) 내외의 산성백토 대신 산성백토:활성탄소=90:10(w/w)의 혼합분을 처리하여 $0.09{\mu}g$/kg 수준의 탈취유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때, 활성탄소의 처리량은 산성백토 대비 10% (w/w) 수준이 적정하였으며, 이의 증가에 따른 B(a)P 제거율 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웠다. 처리하는 활성탄소의 입도가 B(a)P 제거에 미치는 영향이 컸는데, $50{\sim}100$ mesh 수준의 입도를 갖는 것이 최적의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유기용매증기흡착에 의한 백토의 X-ray diffractogram의 변화 (X-ray diffractogram of clay treated with organic solvent)

  • 한관섭;박홍구
    • 약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1-114
    • /
    • 1973
  • Je-chun clay, Hwa-soon bentonite, and Hwa-soon montmorillonite were treated with treated with organic solvents, i.e., ethylene glycol, ethanol, n-hexane, dioxane, ethylene chlorohydrin and obtained X-ray diffractogram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original samples. Organic solvent was adsorbed on the basal plane surfaces of Je-chun clay, Hwa-soon bentonite, Hwa-soon montmorillonite and, as a result, the axis spacing ws increased, However, organic solvent did not affect the non-expanding lattice of Japanese acid clay and the basal plane remained unchanged.

  • PDF

수광재와 백토조합물에서의 기포형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Foam Formation in Waterslag-Bentonite System)

  • 김종희;송한식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48-255
    • /
    • 1977
  • The effect of firing temperature, soaking time and batch composition upon the glass phase and pore formation as well as their distribution in slag foamed glass was investigated. Sulfur dioxide gas produced by the oxidation and reduction of metal sulfide in waterslag was attributed to foam forming agent. Slag foamed glass matrix was mainly composed of 35~60% glas phase and melilite crystalline phase. The increment of bentonite addition in batch lowered the foam forming temperature in studied system. The result showed also that the foam size distribution was broadened as th firing temperature wa inbereased.

  • PDF

공주 마곡사 세조대왕연의 안료분석 및 채색기법 해석 (Interpretation of Coloring Technique and Pigment Analysis for King Sejo's Palanquin in Gongju Magoksa Temple, Korea)

  • 김지선;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03-415
    • /
    • 2019
  • 세조대왕연(충청남도 민속문화재 제14호)은 조선의 7대왕 세조(재위 1455-1468)가 마곡사에 두고 간 것으로 전해지는 가마이다. 세조대왕연의 채색에는 흑색, 백색, 황색, 적색 및 녹색 등 5가지 계열의 색상이 사용되었다. 색도 측정 결과 황색은 자황 채색부와 금칠 채색부에서 명도와 황색도의 차이가 두드러졌으며 적색은 진사로 채색된 지점에서만 적색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광학현미경 관찰,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및 성분 분석을 수행한 결과, 흑색은 먹, 백색은 백토와 연백, 황색은 자황과 합금, 적색은 연단과 주사 및 석간주, 녹색은 녹염동광을 안료로 사용하였다. 박락된 극미량 안료편의 단면을 분석한 결과, 백토와 연백의 순서로 바탕층을 올린 것이 나타났으며 이를 기초로 세조대왕연의 채색기법을 고찰하였다.

처리조건에 따른 중금속 이온의 안정화 거동 (Stabilization Behavior of Heavy Metal ions by Treatment Conditions)

  • 엄태호;김유택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583-588
    • /
    • 2003
  • 폐기물 함유 세라믹 재료의 성형과정에서 일어나는 일차적인 중금속 안정화 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금속(Cd, Cr, Zn) 표준용액의 농도(10-30 ppm)와 pH(pH 3-9)를 조절하여 적점토, 백토와 제올라이트에 대해 회분식 흡착실험을 행하였다. pH증가에 따라 모든 흡착원료에서 Cd와 Zn의 흡착률은 증가하였고 pH 5 이상에서는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Cr의 경우 pH증가에 따른 흡착률의 증가는 관찰할 수 없었고 오히려 적섬토와 백토를 혼합한 원료의 경우에는 pH 3에서의 흡착률에 비해 pH 5 이상에서는 50%의 흡착률 감소를 보였다 세 가지 중금속 Cd, Cr, Zn을 함께 혼합한 중금속 용액을 적점토에 대해 실험한 결과 흡착률은 Cd, Zn>Cr 순이었으나, Cu, Fe, Pb의 중금속이 추가적으로 첨가될 경우 Fe>Pb, Cu>Cr>Zn>Cd 순으로 흡착률이 변화하였다. 이는 공존 양이온의 종류가 흡착률을 좌우하며 주어진 조건에서 서로 경쟁적인 관계를 가지고 흡착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공존음이온으로 Cl$^{-}$와 SO$_4$$^{2-}$ 를 1-20 ppm까지 첨가한 경우 공존 양이온의 경우와는 달리 중금속 흡착률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염기 처리된 montmorillonite를 이용한 다이머산 메틸에스테르의 합성 (Synthesis of Dimer Acid Methyl Ester Using Base-treated Montmorillonite)

  • 육정숙;신지훈;김영운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5권2호
    • /
    • pp.132-138
    • /
    • 2019
  •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the effects of the acidic properties of montmorillonite (MMT), which is commonly used as a catalyst, on the conversion and selectivity of the dimer acid methyl ester (DAME) synthesis. We synthesize DAME by the dimeriza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methyl ester (CLAME) and oleic acid methyl ester using MMT KSF. Incidentally, trimer acid methyl ester was formed as a by-product during the DAME synthesis. There is a necessity to adequately adjust the strength and quantity of the acid site to control the selectivity of DAME. Therefore, we vary the pH of the MMT acid by using various metal hydroxid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yield of monocyclic dimer acid methyl ester, which is a substance with adequate physical propertie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e.g., lubricant and adhesive, etc.), using a heterogeneous catalyst. We report the dimerization of fatty acid methyl ester by using base treated-KSF, and apply it to conjugated soybean oil methyl ester. Then, we transmute the acid site properties of KSF, such as pH of 5 wt.% slurry KSF and various alkali metals (Li, Na, K, Ca). Characterization of base treated-KSF using a pH meter, x-ray diffraction, inductively coupled plasma-atomic emission spectrometer, Brunauer-Emmett-Teller surface analysis, and temperature-programmed desorption. We conduct an analysis of CLAME and DAME using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gas chromatography, and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hrough these experiments, we demonstrate the effects of the acidic properties of KSF on the conversion and selectivity of the DAME synthesis, and evaluate its industrial potential by application to waste vegetable oil.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omoharringtonine from Cephalotaxus koreana

  • Kim, Byung-Sik;Kim, Jin-Hyun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5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VI)
    • /
    • pp.351-354
    • /
    • 2005
  • 한국산 개비자나무로부터 alkaloid계 항암 활성 물질인 Homoharringtonine의 분리 및 정제 공정을 개발하였다. 추출 용매로 메탄올을사용하여 biomass와 mthanol을 1:8의 비율로 분씩 3회 추출할 경우 개비자나무로부터 대부분(>99%)의 Homoharringtonine이 추출됨을 알 수 있었다. 흡착 공정에서는 활성 백토(active clay)를 사용하여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식물유래 타르, 왁스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공정을 통해서 52% 이상의 Homoharringtonine을 정제하였다.

  • PDF

천연식용색소 개발을 위한 치자 황색색소의 정제도 (Pruification of Yellow Color from Gardenia(Gardenin jasminoides Ellis) for Development of Natural Food Color)

  • 김희구;이상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8-71
    • /
    • 1998
  • 현재 사용중인 합성색소 중에서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합성색소 중의 하나인 황색 4호의 대체용 천연색소를 치자에서 추출하였으며 추출조건은 추출온도 7$0^{\circ}C$, 추출시간 48시간, 추출 pH 7.0 및 기질농도는 10%였으며 이때의 추출수율은 61%였다. 추출한 조색소를 정제하기 위하여 활성백토를 사용하여 정제를 실시하였으며, 조색소액에서 배당체 성분과 색소성분을 각각 단일 peak로 분리하였다. 조색소액을 정제한 후 정제도는 약 27배 증가하였고, 수율은 96%로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