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백련(白蓮)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6초

백련 종류에 따른 연근 크기와 수확량 (Yield and Size of Enlarged Rhizome among Different Kinds of White Lotus)

  • 임명희;박용서;조자용;박삼균;윤재길;장홍기;허북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2-48
    • /
    • 2009
  • 백련 4종류의 연근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2007년 4월 10일에 3.3 $m^2$ 당 비대근경 1개씩을 심은 후 2008년 2월 19일에 굴취하여 1 $m^2$ 당 수확량과 비대 근경의 크기를 조사하였다. 수확량은 '회산' 백련(3.0kg), '청양' 백련(2.5 kg),'가람' 백련(2.0 kg), '인취사' 백련(1.0 kg) 순으로 나타났다. 비대근경의 수는 '인취사' 백련 4.9개, '가람' 백련 4.3개,'회산' 백련 4.2개, '청양' 백련 4.1개 순이었다. 비대근경의 총 마디 수는 '회산' 백련(17.0개), '인취사' 백련(16.0), '청양' 백련(15.3개), '가람' 백련(14.1개) 순이었다. 뿌리의 길이는 '인취사' 백련과 '가람' 백련은 50 cm 이하인 것이 각각 76.3, 53.0%인 반면에 '회산' 백련과 '청양' 백련은 각각 38.2%와 40.3%를 나타내었다. 자생백련 비대근경의 첫 번째 마디는 다른 마디에 비해 긴 경향을 나타냈지만 직경과 횡경은 작아서 가늘었으며, 둘째 마디부터는 굵고 짧은 형태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백련근의 수확량 측면에서는 '회산' 백련이 제일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련(Nelumbo nucifera G.) 추출물 및 화장품에 첨가 시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y between Nelumbo nucifera G. Extracts and Cosmetics Adding Nelumbo nucifera G.)

  • 이진영;유미라;안봉전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241-1248
    • /
    • 2010
  • 백련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항산화능,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검증한 후 W/O/W multiple emulsion에 첨가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백련 부위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백련 잎 추출물이 213.5 mg/g 및 76.1 mg/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백련 부위별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백련 꽃과 잎 추출물 500 ppm에서 85%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능 측정 결과 백련 잎 추출물 1,000 ppm에서 60%로 가장 높은 유사활성능을 나타내었다. 백련 부위별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전반적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백련 잎 추출물이 백련 꽃과 뿌리줄기 추출물에 비해 저해능이 높았다. 미백효과 검증으로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백련 꽃 추출물 1,000 ppm에서 36%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주름억제 효과 측정 결과 백련 잎 추출물 1,000 ppm에서 30%의 elast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백련 부위별 추출물을 W/O/W multiple emulsion에 첨가하여 활성을 검증한 결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백련 꽃과 잎 추출물 100 ppm에서 6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백련 부위별 추출물을 첨가한 W/O/W multiple emulsion의 SOD 유사활성능 측정 결과 백련 잎 추출물 1,000 ppm에서 30%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백련 부위별 추출물 모두 비교적 낮은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백련 부위별 추출물을 첨가한 W/O/W multiple emulsion의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백련 꽃 추출물 1,000 ppm에서 34%의 활성을 나타내어 추출물과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elast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백련 잎 추출물 1,000 ppm에서 55%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목련과 홍련의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of White and Red Lotus)

  • 정창호;손기봉;강선경;심기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1호
    • /
    • pp.43-50
    • /
    • 2009
  • 백련과 홍련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잎과 뿌리로 구분한 후 화학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백련과 홍련 잎에서는 가용성 무질소물, 뿌리에서는 수분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K(380.44~1,516.34 mg/100g), Ca(36.67~1,323.92 mg/100g), P(84.02~473.13 mg/100g) 및 Na(57.73~304.07 mg/100g)이었으며,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유리당은 glucose 161.12~765.15 mg/100g) 및 fructose(100.57~901.12 mg/100g)였다. 백련과 홍련의 잎과 뿌리에 함유되어 있는 총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6,385.57, 1,162.93, 6,003.01 및 1,242.20 mg/100g이었고, 백련과 홍련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지만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phenylalanine arginine 및 tyrosine이었다. 백련 잎과 뿌리의 비타민 C함량은 각각 248.65 및 20.99 mg/100g이었으며, 홍련 잎과 뿌리의 비타민 C함량은 156.92 및 9.32 mg/100g이었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백련 잎에서 24.33 mg/g으로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In vitro에서 조릿대, 연근과 연잎이 인슐린 작용 및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sa Borealis and White Lotus Roots and Leaves on Insulin Action and Secretion In Vitro)

  • 고병섭;전동화;장진선;김주호;박선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4-120
    • /
    • 2006
  • 백련 뿌리 및 잎과 조릿대는 과거부터 약용으로 사용해 왔지만 아직까지 연구도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항당뇨 효과에 대한 연구도 거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백련 뿌리 및 잎과 조릿대의 추출물과 분획물이 in vitro에서 인슐린 작용, 인슐린 분비 또는 탄수화물의 소화에 효과적인지를 조사함으로 항당뇨에 효과적인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백련 뿌리 및 잎과 조릿대의 추출물은 각각 물로 추출하여 항당뇨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백련 뿌리 및 잎과 조릿대의 3 : 2 : 3으로 혼합하여 물로 추출한 후 이를 메탄올과 물을 섞은 용액으로 단계별로 XAD-4 column으로 분획하였다. 백련 뿌리 및 잎과 조릿대의 추출물과 혼합물의 분획물은 고농도(1 mg/mL)에서도 MTT 방법으로 측정하였을 때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백련 뿌리와 조릿대 물추출물은 인슐린 작용을 향상시키는 효능이 있었고, 백련잎 물추출물은 ${\alpha}-amylase$를 억제하여 탄수화물의 소화 흡수를 지연시켰다. 이에 백련 뿌리 및 잎과 조릿대를 3 : 2 : 3으로 혼합하였을 때 20과 80% 메탄올층은 3T3-L1 지방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인슐린의 작용을 향상시켜 포도당의 흡수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인슐린을 10 nM을 처리한 것 만큼 효과적으로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켰다. 이 층에는 3T3-L1 섬유아세포에 분화 유도물질과 함께 처리하였을 때 $PPAR-{\gamma}$ agonist인 rosiglitazone과 마찬가지로 지방 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키고 지방의 축적도 증가시켰다. 그러므로 80% 메탄올 층에는 $PPAR-{\gamma}$ agonist로 작용하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베타세포라인인 Min6 세포에 백련 뿌리 및 잎과 조릿대의 혼합물의 분획물을 처리한 후 저농도와 고농도 포도당 자극시 인슐린 분비를 측정하였을 때 두 농도에서 모두 인슐린 분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백련 뿌리 및 잎과 조릿대의 혼합물의 20, 60과 80% 메탄올 분획층은 탄수화물의 소화에 작용하는 효소인 ${\alpha}-amylase$의 활성을 16% 정도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백련 뿌리 및 잎과 조릿대의 추출물과 분획물에는 인슐린 분비나 탄수화물의 소화에 관여하는 성분이 없지만, 인슐린 작용을 향상시키는 인슐린 민감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초어 및 백련의 인공 번식에 관한 연구 (AN EXPERIMENT TO INDUCE SPAWNING OF CHINESE CARPS BY PITUITARY INJECTION)

  • 김인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9-26
    • /
    • 1970
  • 1969년 여름 부산수산대학 양어장에서 1963년 일본으로부터 도입하여 길러온 초어와 백련을 사용 채란과 부화실험을 하였는 바, 그 결과는 좋지 못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점을 지적한다. 1. 부산지방의 못에서 양식한 초어가 백련의 성숙 채란 적기는 6월 말부터 8원 초까지의 사이에 있다고 인정된다. 2. 산란 촉진용 뇌하수체는 동종 또는 근연종의 친어로부터 그들의 산란기이 진에 적출 보관하였다가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인정된다. 3. 백련은 체장 40cm(전장 48cm) 가량의 작은 개체도 6년생은 모두 채란 가능하였으며, 포란수는 체장 $40\~44.5cm$ 되는 것에서 $23\~26$ 만개로 추산되었다. 4. 부화 시설로서는 원추형 망부화기를 급수 파이프에 병렬하고, 각 부화기에는 수량 조절용 발브를 달아서 수중에 설치하는 것이 좋은 동작을 하였다. 5. 알의 발생 중, 분할된 할구(세포)가 배체 밖으로 방출되는 것이 생기면, 그 알은 예외없이 괴사하였다. 6. 친어의 사전 관리를 보다 철저히 하는 것이 긴요함을 느꼈으며, 좋은 먹이와 적절한 수심 및 수온을 유지시키도록 해야 할 것이다.

  • PDF

연(蓮) 잎과 뿌리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Lotus (Nelumbo nucifera) Leaf and Root)

  • 정창호;손기봉;김진희;강선경;박은영;서권일;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1-138
    • /
    • 2010
  • 연을 새로운 기능성 식품의 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잎과 뿌리로 구분한 후 항산화 및 항암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릭 화합물은 백련 잎에서 각각 12.84 mg/g 및 24.33 mg/g으로 높게 나타났다. 연의 부위별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백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다. 환원력도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환원력 또한 백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inoleic acid를 이용한 자동산화 억제활성을 실험한 결과 다른 분획물에 비하여 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과산화 억제활성을 나타내었고, tyrosinase 저해 활성 역시 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연의 부위별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아질산염 소거활성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백련과 홍련잎 부탄올 분획물을 1mg/mL의 농도로 첨가하였을 때 각각 95.61%와 92.15%의 높은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보였다. 폐암세포와 결장암세포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백련과 홍련잎의 부탄올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생육억제활성을 보였다.

연을 이용한 새로운 차 및 식품의 개발

  • 권주찬;조진희;서승염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3년도 추계정기총회 및 국제심포지엄
    • /
    • pp.81-84
    • /
    • 2003
  • TWO 협상의 결과로 농산물개방이 조만간 이루어지게 되면 쌀 생산을 중심으로 한 농업생산은 중국과 미국 등의 경쟁을 이기기가 상당히 어려워 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 쌀의 과잉생산으로 정부에서는 쌀 이외의 작물을 논에서 기르는 것을 장려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연재배 경제성과 재배된 연을 이용하여 다양한 차와 식품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하였다. 먼저 연을 품종을 선별하였다. 본사에서 소유한 100여종의 연을 재배하여 식품으로 개발하기에 최적인 연을 선별하였다. 여러 가지 관능적인 미각 테스트와 생산량의 검정을 통해서 선별하였다. 일반적으로 많은 연들이 아린 기운이 많아서 식품으로 개발하기 어려웠다. 색깔이 진하면 진할 수록 아린 맛이 진하였다. 그러나 백련만은 맛도 우수하였고 생산성도 우수하였다. 식품으로 개발하기에 가장 적절한 시기를 조사하였다. 백련의 향은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다가 잎이 누렇게 변하면서 향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전 후가 가장 좋은 시기였다. 생산량은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였지만 이 추석 후에는 잎이 누렇게 변하기 시작하여 실제적으로 변하기 시작하여 식품으로 사용 가능한 생산량이 떨어 졌다. 수확된 제품을 연차와 연식품으로 개발하였다.

  • PDF

왕송이(Tricholoma giganteum) 신품종 '백련'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 new variety "Backryeon" developed by crossing in Tricholoma giganteum)

  • 장갑열;공원식;유영복;이강효;전창성;이정훈;성재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87-192
    • /
    • 2009
  • 주로 고온에서 재배되는 왕송이는 온도제어기를 사용하지 않고 재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여름철 냉방시설없이 재배할 수 있는 품종을 개발하고자 국내외에서 수집된 왕송이균을 교잡하여 새로운 품종 '백련'을 육성하였다. 백련 왕송이의 균배양온도는 $25^{\circ}C$~$30^{\circ}C$이며 자실체 발생온도와 생육온도 거의 동일하다. 다만 배양완료 후 복토를 해야하기 때문에 2차 균사생장기간이 있어 초발이소요일수가 다소 늦다. 하지만 복토를 하기 때문에 주야간 온도차이에도 버섯발생이 용이하고 습도관리가 쉬워 여름철 재배가 유리하다. 버섯의 모양은 순백색에 전형적인 우산형으로 강한 다발성을 가지며 대가 긴편이다. 특히, 병재배보다는 봉지재배를 할 경우 다발성은 더욱 강해지면 자실체의 크기도 증가한다. 적정배지는 포플라 40%+미송 40%+미강 20%를 혼합한 배지이며 평균수량은 병재배시 101g이나 봉지재배에서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쇠고기 스테이크 조리 시 백련 잎 추출물에 의한 Heterocyclic Amine류의 생성 및 돌연변이원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Nelumbo nucifera Leaf Extracts on the Formation of Heterocyclic Amines and Mutagenicity during Cooking Beef Steak)

  • 문승은;성지훈;신한승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63-569
    • /
    • 2011
  • 일상 생활에서 섭취하는 가열한 생선, 육류 등의 고단백질 식품에서는 돌연변이원, 발암가능성 물질인 heterocyclic amine류가 생성된다. 안전성 측면을 고려하고자 백련 잎을 이용한 마리네이드 소스를 첨가하여 쇠고기의 HCAs의 형성억제효과와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를 알아보았다. Ames assay 결과 백련 잎 butanol fraction을 2.0 g 첨가하여 가열한 쇠고기 스테이크에서 61.5%로 높은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지만 용매 별 fraction 첨가군 사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가열 전 쇠고기 마리네이드 소스에 식용이 가능한 백련잎 water fraction(2.0, 4.0, 8.0 g)을 첨가한 후 $190^{\circ}C$에서 가열한 결과 MeIQx(2-amino-3,8 dimethylimidazo[4,5-f]-quinoxalin)는 30.9-63.5%, PhIP(2-amino-1-methyl-6-pheny-limidazo[4,5-b]-pyridine)는 31.6-60.7% 억제되었다. $225^{\circ}C$에서의 가열된 쇠고기에서는 MeIQx가 38.1-65.3%, DiMeIQx (2-amino-3,4,8 trimethylimidazo[4,5-f]-quinoxaline)는 36.8-73.9%, PhIP는 33.9- 67.6%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백련 잎 추출물은 heterocyclic amine류 형성과 돌연변이 원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고단백질 식품 섭취시 안전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백련(白蓮)과 홍련(紅蓮)의 부위별 영양성분 (Nutritional Composition of White-flowered and Pink-flowered Lotus in Different Parts)

  • 허남칠;최경철;안양준;양호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4-19
    • /
    • 2007
  • 전남도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무안의 백련과 나주의 홍련을 대상으로 부위별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한 결과 품종별로 큰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두 품종 모두 무기영양성분 중 세포 내 액의 산${\cdot}$알칼리평형에 가장 중요한 mineral인 potassium이 월등히 높은 함량을 보였고 다음으로 sodium, calcium, magnesium이 주요 무기영양성분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것은 뿌리에서의 철분 함유량이 무안의 백련에서 14.70mg%, 나주 홍련에서 9.26mg%로 다른 농산물에 비해 높게 나타나 철 결핍성 빈혈환자나 임신, 출산 등으로 철분의 균형을 잃게 될 수 있는 여성에게 연근이 좋은 영양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리당 함유량은 부위별로 큰 차이를 보여 뿌리의 경우 sucrose가 월등히 많은 반면 잎의 경우는 glucose와 fructose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종자의 경우 sucrose, raffinose 및 stachyose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종자의 경우 oligosaccharide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된다. 구성아미노산 함유량 또한 부위별로 큰 차이를 보여 종자와 잎에서는 glutam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반면 연근의 경우 간 기능 회복과 숙취제거에 효과가 있는 aspartic acid가 월등히 높은 함유량을 보여 각각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