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백과

검색결과 11,261건 처리시간 0.036초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소프트웨어 교과의 교수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Design of Software Education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 이영호;구덕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09-418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의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단원의 교수학습계획을 개발함으로써, 백워드 설계 모형이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구성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Wiggins와 McTighe의 백워드 설계 탬플릿에 기초하여,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단원의 교수설계를 개발하였다. 첫째, 교육부에서 제시한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운영 지침에 제시되어 있는 목표, 내용체계표, 성취기준, 단원목표 등을 확인함으로써,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단원에 대한 영속적 이해, 포괄적이고 본질적인 질문, 핵심 지식과 핵심 기능을 도출하였다. 둘째, GRASPS 기법을 활용하여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단원의 수행 과제와 총체적인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셋째,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단원을 효과적으로 수업하기 위하여, WHERETO 요소의 14개 활동으로 구성된 7차시 수업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백워드 설계 모형을 이용한 교육과정 구성이 소프트웨어 교육에 미치는 효용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백워드 설계 모형은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단원 및 수업 설계 개선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의 교수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Design of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Subject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 이병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24
    • /
    • 2011
  • 각 교과의 교사들이 효과적으로 수업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수업 전개 과정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으로 교수설계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모형으로는 딕과 케리, ADDIE, ASSURE 등이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교수설계 모형은 교과 내용이 소규모 단원으로 분절되어 있어서 학생들이 교과의 본질적인 이해에 이르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위깅스와 멕타이는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제안하였다. 백워드 설계 모형은 가르쳐야 할 내용과 활동을 결정하기 전에 먼저 평가를 고려하는 교수설계 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백워드 모형의 구조를 분석하고,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에 백워드 설계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정보활용교육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과 정보생활' 교과의 백워드 교수설계를 위해서 위깅스와 메타이가 고안한 템플릿을 적용하였다.

협소 대동맥 판막륜이 있는 환자에서의 인공판막치환술 1례 (Aortic Valve Replacement in Patient with Small Aortic Annulus)

  • 최강주;이상권;이상진;정신현;이양행;황윤호;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7호
    • /
    • pp.745-749
    • /
    • 1992
  • A 17-year-old male patient of aortic stenoinsufficiency with a small aortic annulus underwent aortic valve replacement[St. Jude Medical valve 21mm] with Rittenhouse-Man-ouguian procedure[patch enlargement of the area of the noncoronary sinus and anterior mitral leaflet] The used patch was made from tubular dacron graft[the longitudinal length was 35mm, the width 20mm]. The length of incision into anterior mitral leaflet was 10mm and the aortic annulus was enlarged in 10mm, The patient was evaluated with two-dimensional echocardiography at 4 month after operation and the result was excellent.

  • PDF

척수 자극기 삽입술을 받았던 환자에게 드물게 생긴 흉추부 경막내 표피양 낭종: 증례 보고 (A Rare Case of Thoracic Intradural Epidermoid Cyst after Spinal Cord Stimulator Insertion: A Case Report)

  • 민선하;이지혜;김재형;정명자;김성희;김지영;강미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938-944
    • /
    • 2022
  • 표피양 낭종은 척수에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양성 병변이다.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생길 수 있는데, 후천적 표피양 낭종은 주로 요천추부 높이에서 발생한다. 척수 자극기 삽입과 관련하여 표피양 낭종이 생긴 증례는 보고된 바 없다. 저자들은 척수 자극기 삽입술을 받았던 50세 여자 환자에서 표피양 낭종이 척수 자극기 끝의 위치와 인접한 흉추부 경막 내에 발생한 드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MRI 소견 및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악성 심막 종양으로 오인한 결핵성 심막염: 증례 보고 (Tuberculous Pericarditis Mimicking a Malignant Pericardial Tumor: A Case Report)

  • 박지영;한지연;박진영;신기원;윤수영;강미선;김다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1호
    • /
    • pp.197-203
    • /
    • 2024
  • 결핵성 심막염은 폐외 결핵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대부분 심막 비후, 심막 삼출과 석회화를 동반한다. 우리는 77세 남성에서 발견된 악성 심막 종양으로 오인된 결핵성 심막염에 대해 보고하려 한다. CT상 불규칙적이고 결절성 심막 비후로 관찰된 병변은 MRI T1 지방 억제 영상에서 고신호강도 및 테두리 조영증강을 보였다. 비특이적 영상 소견을 보이는 결핵성 심막염의 경우 MRI가 감별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유방에서 발생한 원발성 신경내분비암종: 증례 보고와 문헌고찰 (Primary Neuroendocrine Carcinoma of the Breast: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김정아;김지영;정명자;김성희;김수현;강미진;이지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460-466
    • /
    • 2023
  • 일반적으로 신경내분비암은 소화기나 호흡기에서 발생하고 그 외 장기에서 발견되는 경우는 전이에 의한 경우가 많다. 유방에서 원발성 신경내분비암종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여 정확한 임상양상, 영상의학적 소견, 치료와 예후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지금까지 발표된 문헌 보고는 소수에 불과하다. 본 증례에서는 51세 여자의 유방에서 보인 원발성 신경내분비 암종에 대한 영상 소견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폐에 발생한 고환 핵단백질 정중선 암의 영상의학적 소견: 증례 보고 (Radiologic Manifestations of Pulmonary Nuclear Protein in Testis Midline Carcinoma: A Case Report)

  • 김정아;강미진;김정연;김지영;김성희;정명자;이지혜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498-503
    • /
    • 2023
  • 고환 핵단백질 정중선 암은 매우 드물고 분화가 나쁜, 악성 편평세포암의 한 하위 종양으로서 공격적으로 분화하여 예후가 좋지 않다. 특히 폐에서 발생하는 고환 핵단백질 정중선 암은 현재까지 국내에 보고된 증례가 많지 않고 다양한 조직학적 형태를 보일 수 있어 다른 암과 혼동될 수 있다. 영상의학적 소견의 보고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드문 편이다. 저자들은 25세 여성에서 발생한 폐 고환 핵단백질 정중선 암의 영상의학적 소견을 병리학적인 소견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소아기 특발성 관절염 환자에서 관절 내 종양형태로 나타난 쌀소체: 증례 보고 (Rice Bodies Presenting as Intra-Articular Masses in Pediatric Idiopathic Arthritis: A Case Report)

  • 김동현;이지혜;정명자;김성희;김지영;김수현;강미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731-735
    • /
    • 2023
  • 쌀소체는 성인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종종 발생하나 소아의 경우에는 성인에 비해 드물게 발생한다. 저자들은 무릎 통증으로 내원한 11세 여자 환자의 무릎 자기공명영상에서 관절강 내 종괴를 발견하였고 관절경 검사에서 뭉쳐진 쌀소체들을 확인하였다. 소아에서 관절강 내 종괴 형태로 나타난 쌀소체의 자기공명영상 소견을 보고하고자 한다.

부분파열로 오인된 긴엄지발가락폄근의 주힘줄의 완전파열과 동반된 보조힘줄: 증례 보고 (Complete Rupture of the Extensor Hallucis Longus Tendon with Accessory Slip Mimicking a Partial Rupture: A Case Report)

  • 김동현;이지혜;정명자;김성희;김지영;김수현;강미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726-730
    • /
    • 2023
  • 긴엄지발가락폄근의 보조힘줄은 긴엄지발가락폄근 변이의 일종이며 드물지 않게 관찰된다. 저자들은 긴엄지발가락폄근 힘줄이 파열된 38세 여성 환자에서 신체진찰상 긴엄지발가락폄근의 부분파열이 의심이 되어 보존적 치료를 고려하였으나 자기공명영상에서 주힘줄은 완전 파열되고 주힘줄과 나란히 주행하는 보조힘줄이 발견되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국내 백두산 분화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발전방향 제시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Mt. Baekdu in Korea)

  • 박숭환;이명진;이전희;이정호;정형섭
    • 환경정책연구
    • /
    • 제14권2호
    • /
    • pp.149-170
    • /
    • 2015
  • 현재까지 수행된 국내 백두산 관련 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방향 정립에 근거자료를 제시하고 향후 연구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백두산 관련 연구 현황을 연구 문헌 인벤토리로 정리하였다. 1980년대부터 2014년까지 총 34년간의 225건의 백두산 연구 문헌 정보를 수집하여 연구 분야, 연구내용 및 방법 등을 정리하여 문헌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인벤토리 기반으로 현재까지 개별 기관에서 진행된 국내 백두산 연구의 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백두산 관련 연구는 2010년 이전 69건, 2010년 이후 156건으로 2010년 들어 활발히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백두산 분화 감시예측 연구가 54.7%로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또한, 백두산이라는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대한 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GNSS 및 원격탐사 기반의 공간정보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에 따라 감시예측 분야 주무기관인 기상청 및 국립기상과학원의 연구보고서를 대상으로 연구방법, 활용자료를 중심으로 하는 공간정보 활용 문헌의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공간정보 활용 문헌의 인벤토리 분석결과 감시예측 관련연구가 81.6%를 차지하였으며, 공간정보자료 활용 연구가 54.7%로 나타났다. 그러나 백두산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20.1%에 그쳐 향후 실제 백두산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 중 백두산 분화와 관련된 공간정보를 직접적으로 활용 가능한 시스템이 구축이 된다면, 기존 백두산 관련 산재된 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하여 예상되는 연구비용 및 분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향후 백두산 관련 연구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보다 효율적인 연구의 한 축을 차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