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배합비율

검색결과 616건 처리시간 0.028초

쌀 품종과 누룩 배합비율에 따른 탁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according to different rice varieties and mixing ratio of Nuruk)

  • 임소연;백창호;백성열;박혜영;최한석;최지호;정석태;신우창;박희동;여수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92-902
    • /
    • 2014
  • 유용 양조용 효모를 선정하기 위해, 효모의 알코올 생성능을 조사한 결과, Y268 효모가 알코올 생성능이 가장 높았으며 그 중, 0.3% 접종한 효모를 최종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2종류의 양조용 곰팡이(A. luchuensis 34-1, Lich. ramose CN042)와 2종류의 쌀 품종(추청미, 한아름)으로 제조한 4종류 쌀누룩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쌀 품종에 관계없이 A. luchuensis 34-1 균주의 이화학적 특성이 우수하였고, 균주별 및 쌀 품종별로 제조된 4종류 누룩의 유기산과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에서 주요 유기산은 citric acid와 malic acid로 분석되었다. 유리 아미노산은 각각 25~28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균주별과 쌀 품종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균주별로 제조한 쌀누룩의 배합비율을 달리하여 4가지 조합(A. luchuensis 34-1: Lich. ramose CN042=1:0, 0:1, 1:1, 1:3)과 2종류 쌀 품종으로 빚은 탁주의 발효기간에 따른 특성을 분석한 결과, 누룩의 배합비율과 쌀 품종에 따라 이화학적 특성 차이를 보였고, 알코올 함량은 발효 6일째 16%로 가장 높았다. 제조한 탁주의 유기산과 유리 아미노산 분석 결과, 전체 7종류 이상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arginine, citrulline이었고, 누룩의 배합비율과 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탁주의 관능특성을 비교한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는A. luchuensis 34-1 누룩의 함량이 높을수록 높은 기호도를 보였고, 누룩 배합비율별로 비교했을 때는 쌀 품종에 관계없이 1:1 비율로 제조한 탁주가, 쌀 품종별로 비교했을 때는 한아름으로 제조한 탁주의 선호도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낙농단지 규모에 알맞는 소형사료가공시설의 모델 개발

  • 박경규;김태욱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3년도 가을 학술논문발표요지
    • /
    • pp.21-22
    • /
    • 1993
  • 현재 축산 낙농가에 급여되는 배합사료는 공장의 비전문화에 따르는 생산효율의 저하, 가축 사육농가의 조사료 및 부원료의 생산지의 조사료 및 부산물 사료를 고려하지 않은 배합비율, 과다한 투자 비용에 따르는 생산원가의 상승 등의 여러가지 문제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지역별로 또는 낙농단지별로 규모에 알맞는 소규모 젖소ㆍ비육우 전용 사료가공시설의 모델을 6가지 개발하였으며, (중략)

  • PDF

폴리머가 프리믹스 타입의 보수용 모르타르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lymer in Properties of Pre-mixed Type Mortar for Concrete Repair)

  • 송형수;이진용;민창식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53-159
    • /
    • 2006
  • 현재, 폴리머는 보수용 모르타르의 혼화재료로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보수용 모르타르에는 폴리머 이외에 각종 혼화재료가 첨가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폴리머의 배합비율에 따라 보수용 모르타르에 미치는 영향과 동일한 EVA계 폴리머가 제조사가 다른 제품에 따라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모르타르의 굳기 전 특성 및 역학적 특성에 대하여 시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시험결과 보수용 모르타르에 폴리머의 배합비율이 증가될수록 역학적 특성(압축강도, 휨 강도, 부착강도)이 개선되었으며, 또한 건조수축도 증가하였다.

Real-Time PCR과 Internal Standard Addition법을 이용한 돼지고기 소시지에 혼합된 닭고기의 정량 (Use of Real-Time PCR and Internal Standard Addition Method for Identifying Mixed Ratio of Chicken Meat in Sausages)

  • 이남례;주재영;여용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9호
    • /
    • pp.1097-1105
    • /
    • 2017
  • 본 연구는 돼지고기로 제조된 소시지에 저가원료인 닭고기 혼합비율을 정량하기 위해 real-time PCR 법과 소량 함유된 닭의 정량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닭의 내부 표준물질을 첨가하는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소시지의 진위판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DNA 회수율과 PCR 증폭효율을 높이기 위해 QIAamp DNA Micro Kit을 사용하였고, 최종 PCR 반응액 $20{\mu}L$에 template DNA($5{\sim}10ng/{\mu}L$)는 $3.0{\sim}5.0{\mu}L$, primer 농도는 $0.5{\mu}L(10pmol)$, $2{\times}$ Cybrgreen buffer는 $10{\mu}L$로 조정하였을 때 가장 적합하였고, PCR 증폭조건은 annealing 온도를 $62^{\circ}C$, extension 온도를 $68^{\circ}C$, final extension 시간은 33초, 최종 PCR cycle은 40 cycle로 했을 때 가장 PCR 증폭효율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돼지와 닭의 DNA를 50 ng에서 0.05 ng으로 순차적으로 10배씩 희석한 template DNA를 이용해 민감도(최소 검출한계)를 확인한 결과 돼지와 닭 모두 0.05 ng 이상으로 각각 확인되었다. 표준곡선의 결정계수($R^2$)도 모두 0.995 이상으로 표준곡선의 linearity가 정량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돼지고기와 닭고기를 각각 70:30 비율로 혼합한 3점의 시료를 $70^{\circ}C$에서 10분간 열처리한 후 정량분석을 실시하여 기대치에 의한 측정치를 비교한 결과, 64.3:35.7의 비율로써 평균 5.7%의 차이를 나타내 생육(raw meat) 또는 가열처리된 시료의 상태에 따라 DNA에 영향을 주어 PCR 증폭효율 및 DNA 정량 값에 일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소시지에 함유된 돼지고기와 닭고기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돼지고기에 비해 닭고기 함량이 적은 소시지에서는 닭고기(6%, 12%, 25%, 38%)의 검출이 어려웠고, Ct(threshold cycle) 값에 따른 DNA 정량값이 매우 낮아 배합비율을 환산이 어려웠다. 그러나 소시지에 닭의 표준물질 DNA(50 ng)를 첨가함으로써 배합비율이 증가할수록 Ct값도 점차 낮아져서 배합비율을 반영하고 있음에 따라 Ct값의 평균치${\pm}$오차범위 값으로 간접적으로 배합비율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잔디 생산 특허기술의 현황 및 산업화 (Commercialization of Patented Technology on Turfgrass Production in Korea)

  • 윤정호;이재필;김두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7-118
    • /
    • 2006
  • 본 연구는 국내외 잔디 생산 특허 기술과 국내 잔디생산 특허기술의 산업화 사례를 소개하여 특허기술의 권리화와 산업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1948년 11월 20일부터 2005년 11월 30일까지 57년간 공개된 잔디관련 특허출원 및 등록 기술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특허기술의 사업화 사례는 특허등록번호 제 434389 호(다용도파종장치)와 제 478194 호(한지형 잔디 생산기술)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잔디 특허 검색대상은 잔디 산업분야 중 잔디 품종 및 생산에 관련된 특허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특허 자료의 분석은 한국특허기술정보원(www.kipris.or.kr) 홈페이지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 잔디 특허 생산기술은 합성수지로 된 플라스틱 필름 이용한 방법과 천연수지를 이용한 방법 있으며, 국외는 합성수지를 깐 후 상토층의 구성과 배합비율에 관한 내용으로 조사되었다. 2. 특허 등록된 다용도파종장치는 모래, 토양개량제, 비료, 농약 및 종자의 균일한 혼합뿐만 아니라 일시에 혼합토를 포설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영양번식 하는 지피식물의 줄기 및 뿌리를 상토와 혼합하여 포설할 수 있는 장치이다. 3. 특허 등록된 한지형 잔디 생산기술은 용도별(스포츠용, 조경용, 옥상용) 적합 상토의 조합 및 배합비율을 제시하였다. 조합 및 배합비율은 입자 직경이 $0.002{\sim}2.0mm$인 모래가 부피 기준으로 $50{\sim}90%$, 펄라이트가 $3{\sim}40%$, 토탄이 $1.5{\sim}20%$, 피트모스가 $1.5{\sim}20%$, 버미큘라이트가 $2{\sim}25%$, 제오라이트가 $1{\sim}20%$ 및 숯이 $1{\sim}20%$ 내외의 비율이다. 이상의 연구결과 잔디 관련 원천 특허기술은 주로 국외 의존하는 실정으로 국내외에서 통용될 수 있는 잔디 관련 특허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내 특허 출원의 목적은 판매나 계약의 수단, 벤처기업 확인, 정부의 정책적 금융적 중소기업 지원 혜택을 기대하면서 출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기술의 진보성, 독창성 및 사업성이 높은 특허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매실나무(Prunus mume) 겨우살이 막걸리의 제조 및 항산화활성 (Processing and Antioxidant Activity of Makgeolli Using Mistletoe Cultivated on Prunus mume)

  • 허정원;권유진;;박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86-86
    • /
    • 2018
  • 인공재배한 매실나무겨우살이를 이용한 기능성 막걸리를 개발하기 위해, 겨우살이, 기장과 쌀을 활용하여 원료의 배합비율 및 발효방법에 따른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비교하였다. 최적의 배합비율을 찾기 위해 백미 100%, 백미와 기장 7:3, 5:5, 3:7 및 기장 100%의 비율로 막걸리를 제조하였다. 발효방법은 Shaking incubator($30{\sim}35^{\circ}C$, 100 rpm, 19 days), Hand Shaking($21^{\circ}C$, per 12hr, 19days)하였고, 발효가 끝난 막걸리는 80 mesh 망으로 여과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Machine shaking과 Hand shaking 모두 쌀과 기장의 비율 7:3에 겨우살이를 10% 첨가한 막걸리가 각각 $795.83{\mu}g/ml$, $757.87{\mu}g/ml$로 가장 높았고, 기장 100% 막걸리가 각각 $503.73{\mu}g/ml$, $435.3{\mu}g/ml$로 가장 낮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Machine shaking, Hand shaking 모두 쌀과 기장의 비율이 7:3에 겨우살이를 10% 첨가한 막걸리가 $93.48{\mu}g/ml$, $84.56{\mu}g/ml$로 가장 높았고, 기장 100% 막걸리가 각각 $37.75{\mu}g/ml$, $21.86{\mu}g/ml$로 가장 낮았다.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겨우살이를 10% 첨가한 막걸 리가 가장 높았는데 Machine shaking은 평균 92.08%, Hand shaking은 평균 91.63%로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achine shaking은 쌀과 기장의 비율이 7:3일 때, 73.37%, Hand shaking은 기장 100% 막걸리가 64.03%로 가장 낮았다. 결론적으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기장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은 겨우살이를 첨가한 모든 막걸리에서 비교적 높았다. 발효방법은 Machine shaking이 Hand shaking 보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이 비교적 높아 발효방법으로 더 적합하였다.

  • PDF

MXene-CNT-WPU 복합소재 기반 면상발열체의 배합 비율에 따른 발열 특성 (Heating Characteristics of Planar Heater Fabricated with Different Mixing Ratios of MXene-CNT-WPU Composites)

  • 오효준;닷꾸이응우엔;이윤식;최춘기
    • 청정기술
    • /
    • 제28권4호
    • /
    • pp.278-284
    • /
    • 2022
  • 본 연구는 1차원의 Carbon nanotube (CNT)와 2차원의 MXene을 최적의 비율로 배합한 우수한 전기전도성과 발열특성을 가진 저차원 복합소재 기반 면상발열체를 제안한다. CNT와 MXene을 친환경 소재인 Waterborne polyurethane (WPU)과 배합하되, MXene과 CNT의 중량비율을 3:1, 1:1, 1:3, 1:7, 1:14로 다르게 적용하고 WPU는 동일한 비율로 적용하였다. 그 결과, CNT 비율이 높을수록 면저항이 낮아지고 발열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MXene과 CNT를 1:7, 1:14로 배합하는 경우 CNT-WPU 면상발열체보다 더 낮은 면저항과 높은 발열온도를 보여주었다. 이는 1차원 CNT와 2차원 MXene의 최적 배합으로 고밀도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평평한 표면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위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가진 저차원 복합소재는 플렉서블 소자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재섬유, 톱밥 및 녹차 이종복합보드의 정적 휨 강도성능에 미치는 녹차 및 톱밥 배합비율의 영향 (Effect of Green Tea and Saw Dust Contents on Static Bending Strength Performance of Hybrid Boards Composed of Wood Fiber, Saw Dust and Green Tea)

  • 박한민;이수경;석지훈;최남경;권창배;허황선;김종철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6호
    • /
    • pp.41-46
    • /
    • 2011
  •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에 부가하여, 목제품 생산 후 발생하는 부산물인 편백 톱밥의 효율적인 이용과 건축내장재로의 응용을 목표로 목재섬유와 편백톱밥 및 녹차분말을 혼합한 복합보드를 제조하여 정적 휨강도성능에 영향하는 톱밥 및 녹차의 배합비율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목재섬유-톱밥-녹차 복합보드의 휨 탄성계수는 0.956~1.18 GPa의 범위에 있었고, 목재섬유 : 톱밥 : 녹차의 배합비율 50 : 40 : 10에서 가장 높은 값을, 50 : 30 : 20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 값은 선행연구의 녹차-목재 섬유 복합보드보다 2.0~3.1배 낮은 값을 나타냈다. 목재섬유-톱밥-녹차 복합보드의 휨 강도는 8.99~11.5 MPa의 범위에 있었고, 구성요소의 배합비율에 따른 휨 강도의 변화는 휨 탄성계수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값은 선행연구의 녹차-목재섬유 복합보드보다 1.9~3.5배의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KS에 규정된 파티클보드 및 중밀도섬유판의 강도치보다 약간 낮은 값을 나타냈다. 따라서 이 복합보드를 산업화하기 위해서는 복합보드 구성요소의 배합비율의 조정, 이종재료와의 복합화 및 접착제의 전환 등으로 강도성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콩고일(一)지와 보리고일(一)지에서 원료배합(原料配合)에 의(依)한 효소력가(酵素力價)의 증산(增産)에 관(關)한 실험(實驗) (Experiments to increase the enzymic activities of soybean-koji and barley-koji by the admixture of raw-materials)

  • 김호식;이서래;조한옥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권
    • /
    • pp.23-28
    • /
    • 1961
  • 된장, 간장용 고일(一)지 원료(原料)의 배합비율(配合比率)을 달리하여 만든 고일(一)지의 효소역가(酵素力價)와 이에서 만든 된장의 숙성과정(熟成過程)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콩이나 보리를 단용(單用)한 고일(一)지보다 대두(大豆):정맥(精麥):소맥(小麥)의 비율(比率)을 $40{\sim}60:$60{\sim}40::20으로 배합(배합)한 고일(一)지가 호정화력(糊精火力), 당화력(糖化力), 단백질분해력(蛋白質分解力)에서 훨씬 우수(優秀)하였다. 2). 보리고일(一)지로 담근 된장보다 효소력(酵素力)이 강(强)한 배합고일(一)지로 담근 된장이단백질분해력(蛋白質分解力)와 환원당생성(還元糖生成)이 더 빠르며 많았다. 3) 국균(麴菌)의 당화력(糖化力). ${\alpha}-Amylase$력(力), Protease활성(活性)의 식염(食鹽)에 의(依)한 영향을 시험한 결과 3자(三子)가 각각 다른 정도오 억제(抑制)되는것을 알았다.

  • PDF

조리방법 및 재료 배합 비율이 약과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oking Methods and Ingredients Ratio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ckwa)

  • 임은영;오명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5-40
    • /
    • 1997
  • 약과의 튀김 온도와 반죽 횟수가 약과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혼합 계획(mixture experiment)에 따라 3가지 성된(참기름, 시럽, 소주)의 수준을 변경하여 재료 배합비가 약과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튀김 온도와 반죽 횟수에 따른 영향은 색도에서 L(명도)값은 $120^{\circ}C$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반죽 횟수가 많을 때 증가하였다. a(적색도)값은 온도가 높을 때 증가하였으나 반죽 횟수의 영향은 별로 없었다. b(황색도)값은 유의차가 없었다. 경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커졌으며 반죽 횟수가 많을 때 경도가 약간 커졌다. 지방 흡수율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반죽 횟수가 많을 때 약간 감소하였다. 집청 흡수율은 온도가 낮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반죽 횟수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재료 배합 비율에 따른 영향은 색도는 재료 배합 비율과의 사이에 뚜렷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도는 참기름, 소주의 양이 많아지면 단단해지고 시럽이 많아지면 연해졌다. 지방 흡수율은 참기름, 시럽의 함량이 증가할 때 증가하였으며, 집청흡수율은 참기름과 소주의 함량이 감소하고, 시럽의 함량이 증가할 때 증가하였다.

  • PDF